매일조금씩배워보자/莊子

莊子 - 外篇 20 山木 4

baraboda 2016. 9. 8. 09:29

莊子 - 外篇 20 山木  4


195` 자신을 드러내지 않으면 해를 입지 않는다 (외편:20.산목,4) 명예` 사명` 사명감` 숨김` 

- 장자(외편) ; 제20편 산목[4]- 

공자가 진나라와 채나라 중간에서 사람들에게 포위를 당하여 칠일 동안이나 더운 음식을 먹지 못했다. 

그때 태공임이 찾아와서 공자를 위문하여 말했다. 

“선생님은 죽게 될 것 같습니다.” 

공자가 답했다. “그렇소.” 

태공임이 말했다. “선생님은 죽는 것을 싫어하십니까?” 

공자가 답했다. “그렇소.” 

태공임이 말했다. 

“제가 시험삼아 죽지 않는 법을 얘기해 보겠습니다. 동해에 새가 있는데 그 이름을 의태라 부릅니다. 그 새는 본성이 느려서 아무 능력도 없는 듯이 보이지요. 날 때에는 다른 새들이 서로 이끌어 주어야 날고, 쉴 때에는 다른 새들과 붙어 있습니다. 나아갈 때에는 감히 다른 새들의 앞에 서지 않고, 물러설 때에는 다른 새들보다 뒤서지 않습니다. 먹이를 먹을 때도 감히 다른 새보다 앞서 맛보지 않고, 반드시 다른 새가 먹고 난 나머지를 먹습니다. 그래서 그 새는 다른 새들 무리에게 배척 당하는 일이 없고, 사람들에게도 해를 입지 않는 것입니다. 따라서 재난을 면하고 있습니다. 

곧은 나무는 먼저 잘리고, 맛있는 우물은 먼저 마르는 법입니다. 선생을 생각해보면 자신의 지식을 꾸며 어리석은 사람들을 놀라게 하고, 몸을 닦아 남의 허물을 들추어내고, 마치 해와 달을 걸고 가듯이 훤하게 자신을 내세우기에 환난을 면치 못하는 것입니다. 

옛날에 내가 위대한 덕을 이룬 사람에게서 들은 바에 의하면, 스스로 뽐내는 자는 공이 없게 되고, 공을 이루고 물러나지 않는 자는 실패하게 되며, 명성을 이루고 그대로 머물고자 하는 자는 욕을 보게 된다고 했습니다. 

어느 누가 과연 공명을 마다하고 보통 사람들과 같이 처신하겠습니까? 그의 도가 널리 행하여져도 자기의 이름을 밝히지 않고, 그의 덕이 세상에 시행되어도 명성을 받아들이지 않으며, 마음을 순수하게 가지고, 언제나 한결같이 행동하여 마치 미친 사람인 양 무심하게 공적을 남기지 않고, 권세를 버리며 공명을 추구하지 않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그러면 남을 책잡을 일도 없고, 남에게 책잡힐 일도 없을 것입니다. 지인은 세상에 알려지지 않는 법이거늘 선생께서는 어찌하여 공명을 좋아하는 것입니까?”

이 말을 들은 공자는 곧 사람들과의 교류를 끊고 제자들을 버리고 큰 늪지에 숨어살면서 도토리와 밤을 주워 먹으며 살았다. 그리하여 짐승들 사이로 들어가도 무리가 흩어지지 않았고, 새들 틈에 들어가도 그 행렬이 흐트러지지 않았다. 새와 짐승들도 그를 싫어하지 않았으니 하물며 사람들이야 어떠했겠는가! 


- 莊子(外篇) ; 第20篇 山木[4]- 

孔子圍於陳蔡之間, 七日不火食. 

大公任往弔之曰:「子幾死乎?」 曰:「然.」 

「子惡死乎?」 曰:「然.」 

任曰:「予嘗言不死之道. 東海有鳥焉, 其名曰意怠. 其爲鳥也, 翂翂翐翐, 而似无能. 引援而飛, 迫脅而棲. 進不敢爲前, 退不敢爲後. 食不敢先嘗, 必取其緖. 是故其行列不斥, 而外人卒不得解, 是以免於患. 直木先伐, 甘井先竭. 子其意者飾知以驚愚, 修身以明汙, 昭昭乎如揭日月而行, 故不免也. 昔吾聞之大成之人曰:‘自伐者无功, 功成者墮, 名成者虧.’ 孰能去功與名而還與衆人! 道流而不明居, 德行而不名處. 純純常常, 乃比於狂. 削迹捐勢, 不爲功名. 是故无責於人, 人亦无責焉. 至人不聞, 子何喜哉? 

孔子曰:「善哉!」 辭其交遊, 去其弟子, 逃於大澤. 依裘褐, 食杼與栗. 入獸不亂群, 入鳥不亂行. 鳥獸不惡, 而況人乎! 

(공자위어진채지간, 칠일불화식.

대공임왕조지왈:[자기사호?] 왈:[연.]

[자오사호?] 왈:[연]

임왈:[여상언불사지도. 동해유조언, 기명왈의태. 기위조야, 분분질질, 이사무능. 인원이비, 박협이서. 진불감위전, 퇴불감위후. 식불감선상, 필취기제. 시고기행례불척, 이외인졸부득해, 시이면어환. 직목선벌, 감정선갈, 자기의자포지이경우, 수신이명한, 소소호여갈일월이행, 고불면야. 석오문지대성지인왈:’자벌자무공, 공성자타, 명성자휴.’ 숙능거공여명이환여중인! 도류이불명거, 덕행이불명처. 순순상상, 내비어광. 삭적연세, 불위공명. 시고무적어인, 인역무적언. 지인불문, 자하희재?

공자왈:[선재!] 사기교유, 거기제자, 도어대택. 의구갈, 식서여율. 입수불난군, 입조불난행. 조수불오, 이황인호!)


蔡 성씨 채,내칠 살  1. 성(姓)의 하나 2. 풀 3. 거북(거북목의 동물 총칭) 4. 법(法) 5. 나라의 이름 6. 먼지 7. 쇠약해지다(衰弱---) 8. 줄이다 9. (풀이)흐트러지다 a. 내치다 (살) b. 추방하다(追放--) (살) [부수]艹(초두머리)

幾 1. 몇, 얼마, 어느 정도 2. 그 3. 거의 4. 어찌 5. 자주, 종종 6. 조용히, 조용하고 공손(恭遜)하게 7. 바라건대, 원하건대 8. 가, 언저리 9. 기미(幾微ㆍ機微), 낌새 10. 조짐(兆朕), 징조(徵兆) 11. 고동(기계 장치), 기틀, 요령(要領) 12. 때, 기회(機會) 13. 위태하다(危殆--), 위태롭다(危殆- -) 14. 가깝다, 가까워지다 15. 살피다, 자세히 살펴보다 16. 헌걸차다(매우 풍채가 좋고 의기가 당당한 듯하다) 17. 바라다, 원하다(願--) 18. 시작하다(始作--) 19. 다하다, 끝나다 

翂 천천히 날 분  1. 천천히 나는 모양 2. 낮게 나는 모양 [부수]羽(깃우)

翐 나는 모양 질  1. 나는 모양 2. 천천히 나는 모양 [부수]羽(깃우)

援 도울 원  1. 돕다 2. 당기다 3. 잡다 4. 매달리다 5. 구원하다(救援--) 6. 뽑다 7. 도움 [부수]扌(재방변)

脅 위협할 협,겨드랑이 협  1. 위협하다(威脅--) 2. 으르다(무서운 말이나 행동으로 위협하다) 3. 꾸짖다 4. 책망하다(責望--) 5. 비난하다(非難--) 6. 웅크리다 7. 움츠리다 8. 겨드랑이 9. 옆구리 10. 갈빗대 11. 곁 [부수]月(육달월)

嘗 맛볼 상  1. 맛보다 2. 음식을 맛보다 3. 경험하다(經驗--) 4. 시험하다(試驗--) 5. 체험하다(體驗--) 6. 겪다 7. 가을의 제사(祭祀) 8. 일찍이 9. 과거에(過去-) 10. 이전에 11. 시험삼아 [부수]口(입구) 

斥  물리칠 척,방자할 탁,성씨 자  1. 물리치다, 내쫓다 2. 엿보다, 망보다(望--), 몰래 살피다 3. 가리키다, 손가락질 하다 4. 나타나다, 드러나다 5. 열다, 열리다, 넓히다, 개척하다(開拓--) 6. 크다, 큼직하다 7. 붉다 8. 늪, 못, 소... [부수]斤(날근)

墮 떨어질 타,무너뜨릴 휴  1. 떨어지다 2. 떨어뜨리다 3. 낙하하다(落下--) 4. 빠지다, 탈락하다(脫落--) 5. 게으르다, 태만하다(怠慢--) a. 무너뜨리다, 훼손하다(毁損--) (휴) b. 황폐해지다(荒弊---), 버려지다 (휴) c. (실어)보내다... [부수]土(흙토)

削 깎을 삭,채지 소,칼집 초  1. 깎다 2. 빼앗다 3. 모질다 4. 약해지다 5. 작다 6. 지근대다 7. 창칼 a. 채지(采地: 공신에게 내리던 채읍(采邑)) (소) b. 화락하다(和樂--: 화평하게 즐기다) (소) c. 칼집 (초) [부수]刂(선칼도방)

迹 자취 적  1. 자취(어떤 것이 남긴 표시나 자리), 발자취 2. 업적(業績), 공적(功績) 3. 행적(行跡ㆍ行績ㆍ行蹟) 4. 관습(慣習), 선례 5. 길, 정도(正道) 6. 왕래(往來) 7. 명성(名聲: 세상에 널리 퍼져 평판 높은... [부수]辶(책받침)

捐 버릴 연  1. 버리다 2. 없애다 3. 객사하다(客死--) 4. 주다, 바치다, 내놓다, 기부하다(寄附--) 5. 덜다 6. (벼슬을)사다 7. 기부(寄附) 8. 헌납(獻納) 9. 수레바퀴 [부수]扌(재방변)

勢 형세 세  1. 형세(形勢) 2. 권세(權勢) 3. 기세(氣勢: 기운차게 뻗치는 형세) 4. 기회(機會) 5. 동향(動向) 6. 시기(時期) 7. 불알,고환(睾丸) 8. 언저리 [부수]力(힘력)

依 의지할 의  1. 의지하다(依支--), 기대다 2. 전과 같다 3. 좇다 4. 따르다, 순종하다(順從--) 5. 동의하다(同意--), 허락하다(許諾--), 용서하다(容恕--) 6. 우거지다 7. 돕다 8. 믿다 9. 비기다, 견주다(어떠한 차이가... [부수]亻(사람인변)

裘 갖옷 구  1. 갖옷(짐승의 털가죽으로 안을 댄 옷) 2. 갖옷을 입다 [부수]衣(옷의)

褐 갈색 갈,굵은 베 갈  1. 갈색 2. 베옷 3. 굵은 베 4. 털옷 5. 다색(茶色) 6. 천한 사람 7. 성(姓)의 하나 [부수]衤(옷의변)

杼북 저,상수리나무 서  1. 북(베틀에서, 날실의 틈으로 왔다 갔다 하면서 씨실을 푸는 기구) 2. 매자기(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 3. 벽, 담 4. 얇다 5. 펴다, 말하다 6. 길다 a. 상수리나무 (서) b. 물통, 개수통(--桶: 음식 그릇을... [부수]木(나무목)

栗 밤 률,밤 율,두려워할 률,두려워할 율,찢을 렬,찢을 열  1. 밤, 밤나무 2. 많은 모양 3. 단단하다, 견실하다(堅實--) 4. (결실이)좋다, 잘 여물다 5. 공손하다(恭遜--), 삼가다(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6. 엄숙하다(嚴肅--), 위엄(威嚴) 있다 7. 춥다 8.... [부수]木(나무목)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