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Machina, 2015]
이런 구성의 영화가 좋다.
간결하다.
출연자가 4명 정도...
몰입감이 있다.
간단한 스토리 라인을 통해 주제에 대한 전달력이 강하다.
그리고 개연성이 있다.
언젠가 충분히 우리 옆에 발생 가능하리라는 생각이 든다.
칼렙은 젊은 인공지능 전문 프그로그래머. 그는 아마도 사내 인공지능관련 경시대회 같은 데서 우승을 하여
그 부상으로 회장(네이든)의 집에 일주일간 스테이 하는 부상을 받게 된다.
어느 깊은 산속에 비밀 아지트 처럼 지어진 네이든의 집은 그대로 하나의 거대한 실험실이기도 하고
여기에 초대된 목적은 네이든이 새로 개발한 안드로이드 '에이바'의 인간성(?)테스트...
여기서 안드로이드 에이바와 칼렙은 매일 매일의 테스트를 위한 대화를 통해서 서로 교감이 이루어진다.
그러면서 네이든과 칼렙과의 대립. 네이든이 만들고 테스트 해 왔던 안드로이드들에 대한 내용이
서서이 벗겨 지면서 결국...
인공지능이라해도 이것이 어느 수준 이상의 인간화가 진행된다면 당연히 자신의 아이덴터티를 보존 - 생명에의
욕구가 생기게 될 거라고 예측되는바 이 부분에 관련된 수많은 영화들이 있었고, 결국엔 서로의 생존권을
주장하다 보면 인간과 안드로이드는 서로 경쟁 - 전쟁 -서로의 존재를 부정하는 사태가 생길수도 있지 않을까
하고 생각해 보게 된다.
요즘 CG의 발전은 정말 대단하다.
대학때였던가 토이 스토리를 처음 보면서 '어쩌면 가까운 미래에 인간연기자를 쓰지 않으면서도 실사 같은 영화제작'이
가능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던 때가 있었는데...
이미 그 수준에 가까이 근접한 거 같다.
몰입도도 좋았고 던져 주는 메시지도 좋았고, 배우들의 연기도 괜찮았던 영화다.
2015.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