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內篇 2 齊物論 19~21
莊子 - 內篇 2 齊物論 19~21
30` 지극한 사람은 이해를 초월해 있다 (내편:2.제물론,19)
설결이 말했다.
“이롭고 해로운 것을 알지 못하신다면 지인은 이해(利害)를 알지 못하는 것입니까?”
왕예가 대답했다.
“지인이란 신묘한 것이다. 큰 연못을 말릴 뜨거운 불도 그를 뜨겁게 할 수 없고, 큰 강물을 얼어붙게 하는 추위도 그를 춥게 할 수 없다. 굉장한 천둥과 번개가 산을 무너뜨리고 바람이 바다를 뒤흔들어도 놀라는 일이 없다. 그런 사람은 구름을 타고 해와 달에 올라앉아 이 세상 밖에 노니는 것이다. 죽음과 삶도 그에게 변화를 가져올 수 없거늘 하물며 이해의 평가야 어떻겠느냐?”
- 莊子(內篇) ; 第2篇 齊物論[19]-
齧缺曰:「子不知利害, 則至人固不知利害乎?」
王倪曰:「至人神矣! 大澤焚而不能熱, 河漢沍而不能寒, 疾雷破山而不能傷, 飄風振海而不能驚. 若然者, 乘雲氣, 騎日月, 而遊乎四海之內. 死生無變於己, 而況利害之端乎!」
(설결왈:자부지리해, 즉지인고부지리해호?
왕예왈:지인신의! 대택분이불능열, 하한호이불능한, 질뇌파산이불능상, 표풍진해이불능경, 약연자, 승운기, 기일월, 이유호사해지내. 사생무변어기, 이황리해지단호!)
焚 불사를 분 1. 불사르다 2. 타다 3. 태우다 4. 넘어지다 5. 넘어뜨리다
熱 더울 열 1. 덥다, 따뜻하다 2. 더워지다, 타다 3. 태우다 4. 바쁘다, 성하다(盛--: 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5. 몸이 달다, 흥분하다(興奮--) 6. 친밀해지다(親密---) 7. 열(熱) 8. 더위, 더운 기운 9....
沍 얼 호 1. 얼다, 얼어붙다 2. 차다, 몹시 춥다 3. 마르다, 물기가 없어지다 4. 굳다, 단단하다 5. 막다, 막히다, 폐쇄되다(閉鎖--) 6. 추위
振 [zhèn] 발음 듣기 HSK丁단어장 추가
1.[동사][물리] 진동하다.
2.[동사] 흔들다. 진동시키다.
3.[동사] 떨쳐일어나다. 분발하다.
31` 가치의 차별 없이 있는 그대로 본다 (내편:2.제물론,20)
- 장자(내편) ; 제2편 제물론[20]-
구작자가 장오자에게 물었다.
“공자에게 「성인은 세상일에 종사하지 않으며, 이로움도 쫓지 않고 해로움도 피하지 않는다. 무엇을 추구하지도 않고 도를 따르지도 않는다. 말하지 않아도 말한 것과 같이 표현되며, 말을 해도 말하지 않은 것과 같다. 먼지 묻은 세상 밖에 노닌다.」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공자는 이 말을 터무니없는 말이라 하였지만, 내 생각에는 묘한 도를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것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장오자가 말했다. “그것은 황제(黃帝)가 들었다 하더라도 당황할 말입니다. 그러니 내가 어찌 그것을 알 수 있겠습니까? 또한 당신은 너무 서두르고 있습니다. 달걀을 보고 닭이 울기를 바라고, 탄환을 보고서 새 구이를 바라는 것과 같습니다. 내가 당신을 위해 말해 줄 테니 한번 들어보도록 하십시오.
성인이란 해와 달을 의지하여 행동하고 우주를 옆에 끼고 있는 것처럼 모든 것을 알고 있습니다. 행동은 자연에 합치되고 몸은 혼돈 속에 두며, 모든 사람들을 존중합니다. 보통사람들은 고생스럽게 몸과 마음을 쓰지만 성인은 아무 생각 없이 지냅니다. 억만년에 걸친 변화 가운데 몸을 맡기면서도 다만 한결같이 순수한 도를 지켜나갑니다. 만물을 모두 있는 그대로 두고, 인정하는 따듯이 마음으로 이것을 감싸는 것입니다.”
- 莊子(內篇) ; 第2篇 齊物論[20]-
瞿鵲子問乎長梧子曰:「吾聞諸夫子:‘聖人不從事於務, 不就利, 不違害, 不喜求, 不緣道. 无謂有謂, 有謂无謂, 而遊乎塵垢之外.’ 夫子以爲孟浪之言, 而我以爲妙道之行. 吾子以爲奚若?」
長梧子曰:「是皇帝之所聽熒也, 而丘也何足以知之! 且汝亦大早計, 見卵而求時夜, 見彈而求鴞炙.
「予嘗爲女妄言之, 女以妄聽之奚? 旁日月, 挾宇宙, 爲其脗合, 置其滑涽, 以隸相尊. 衆人役役, 聖人愚芚, 參萬歲而一成純. 萬物盡然, 而以是相蘊.
(구작자문호장오자왈:오문제부자:’성인부종사어무, 불취리, 불위해, 불희구, 불연도. 무위유위, 유위무위, 이유호진구지외.’ 부자이위맹랑지언, 이아이위묘도지행. 오자이위해약?
장오자왈:시황제지소청형야, 이구야하족이지지! 차여역대조계, 견난이구시야, 견탄이구호적. +
여상위녀망언지, 녀이망청지해? 방일월, 협우주, 위기문합, 치기활혼, 이예상존. 중인역역, 성인우춘, 참만세이일성순. 만물진연, 이이시상온.)
瞿 놀랄 구,창 구 1. 놀라다 2. (가슴이)두근거리다 3. 두려워하다(=懼) 4. 놀라서 보는 모양 5. (사방으로 통하는)거리 6. 창(槍: 무기의 하나), 병기(兵器) 이름
鵲 까치 작 1. 까치 2. 땅의 이름 3. 산(山) 이름
就 나아갈 취,관대할 여 1. 나아가다 2. 이루다 3. 좇다, 따르다 4. 마치다, 끝내다 5. (길을)떠나다 6. (한바퀴)돌다 7. 좋다, 아름답다 8. 곧, 이에 9. 만일(萬一), 가령(假令) 10. 잘, 능(能)히, 능(能)하게 a. 관대하다(寬大--)...
違 어긋날 위 1. 어긋나다 2. 어기다 3. 다르다 4. 떨어지다 5. 피하다(避--) 6. 달아나다 7. 멀리하다 8. 원망하다(怨望--) 9. 간사하다(奸邪--: 마음이 바르지 않다) 10. 허물
緣 인연 연,부인 옷 이름 단 1. 인연(因緣), 연줄 2. 연분(緣分) 3. 가장자리, 가선(-縇: 의복의 가장자리를 딴 헝겊으로 가늘게 싸서 돌린 선) 4. 까닭, 이유(理由) 5. 가설(架設) 6. 장식(裝飾) 7. 겉(물체의 바깥 부분) 8. 연유...
塵 티끌 진 1. 티끌 2. 때, 시간(時間) 3. 유업 4. 소수 이름 5. 더럽히다 6. 묵다
垢 때 구 1. 때, 티끌 2. 수치(羞恥), 부끄러움 3. 때 묻다 4. 더럽다 5. 나쁘다
浪 물결 랑,물결 낭 1. 물결 2. 파도(波濤) 3. 함부로 4. 마구 5. 물결이 일다 6. 표랑하다(漂浪--) 7. 유랑하다 8. 눈물 흐르다 9. 방자하다(放恣--) 10. 방종하다(放縱--) 11. 터무니없다 12. 허망하다(虛妄--)
孟浪 [mènglàng]
1.[형용사][문어] 경솔하다. (성격이) 거칠고 차분하지 못하다. 경망하다. 경망스럽다. 덜렁덜렁하...
2.[동사] (각지를) 떠돌아다니다.
熒 등불 형 1. 등불 2. 개똥벌레(반딧불이) 3. 강(江)의 이름 4. 빛나다 5. 번쩍이다 6. 비치다 7. 현혹하다(眩惑--) 8. 어지럽히다 9. 아찔하다
早 이를 조 1. 이르다(앞서거나 빠르다) 2. 서두르다 3. 젊다 4. 일찍 5. 서둘러, 급(急)히, 빨리 6. 젊어서, 젊었을 때에 7. 새벽, 이른 아침
鴞 부엉이 효 1. 부엉이(올빼밋과의 새) 2. 수리부엉이(올빼밋과의 새) 3. 솔개(수릿과의 새) 4. 올빼미(올빼밋과의 새) 5. 물고기의 이름 6. 망상어(망상엇과의 바닷물고기)
炙 구울 자,구울 적 1. 굽다 2. 가까이하다 3. 고기 구이 a. 굽다 (적) b. 가까이하다 (적) c. 고기 구이 (적)
予 나 여,줄 여,미리 예 1. 나(=余) 2. 주다(=與) 3. 하사하다(下賜--) 4. 승인하다(承認--) 5. 허락하다(許諾--), 용서하다(容恕--) 6. 인정하다(認定--) 7. 팔다 8. 매각하다(賣却--) 9. 함께하다 10. 함께 a. 미리 (예) b....
旁 곁 방,달릴 팽 1. 곁, 옆 2. 널리, 두루 3. 도움, 보좌(補佐ㆍ輔佐) 4. 방(한자의 오른쪽) 5. 튼튼하고 힘이 센 모양 6. 기대다, 의지하다(依支--) 7. 왕래하다(往來--) 8. 뒤섞이다, 혼합되다(混合--) 9. 치우다 a....
挾 낄 협 1. 끼다 2. 끼우다 3. 끼어 넣다 4. 두루 미치다(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하여지다)(=浹) 5. 두루 통하다(通--) 6. 돌다 7. 만나다 8. 모이다 9. 몸에 지니다 10. 믿고 의지하다(依支--) 11. 휴...
脗 꼭 맞을 문,입술 문,물결 가없는 모양 민 1. 꼭 맞다 2. 합하다(合--) 3. 입술 a. 물결 가없는 모양 (민)
滑 미끄러울 활,익살스러울 골
1. 미끄럽다 2. 미끄럽게 하다 3. 반드럽다 4. 부드럽게 하다 5. 교활하다(狡猾--) a. 익살스럽다 (골) b. 어지럽다 (골) c. 다스리다 (골) d. 물이 흐르다 (골) e. 흐리(게하)다 (골)
涽 흐릴 혼 1. 흐리다 2. 어둡다, 희미하다(稀微--) 3. 어리석다 4. 생각이 어지러운 모양 5. 정하여지지 아니하는 모양 6. 흐린 물
隸 종 예,종 례,미칠 이,미칠 대 1. 종 2. 죄인(罪人) 3. 서체(書體) 이름 4. 붙다, 종속하다 5. 좇다 6. 부리다 7. 살피다 8. 조사하다(調査--) 9. 익히다 a. 미치다(공간적 거리나 수준 따위가 일정한 선에 닿다), 닿다 (이) b. 미치다(공간적...
尊 높을 존,술 그릇 준 1. 높다 2. 높이다 3. 공경하다(恭敬--) 4. 우러러보다 5. 중(重)히 여기다 6. 소중(所重)히 생각하다 7. 따르다, 좇다 8. (어떤 경향으로)향하다(向--) 9. 어른 10. 높은 사람 11. 관리(官吏), 벼슬아치...
愚 어리석을 우 1. 어리석다 2. 우직하다 3. 고지식하다 4. 어리석게 하다 5. 나(자기의 겸칭) 6. 어리석은 사람 7. 어리석은 마음 8. 자기(自己)에 관계(關係)되는 사물(事物)에 붙이는 겸칭
芚 싹 나올 둔,어리석을 춘 1. 싹이 나오다 2. 나무의 싹 3. 채소(菜蔬) 이름 a. 어리석다 (춘) b. 어리석은 모양 (춘)
参 [cān] 번체 (參) 참가할 참 (叅) 참가할 참 1.[동사] 참가하다. 가입하다. 참여하다. 가담하다. 2.[동사] 뵙다. 알현하다. 배알하다. 3.[동사] 참고하다. 참조하다. 蕴 [yùn] 발음 듣기 단어장 추가
蘊 간직할 온 1.[동사][문어] 품다. 내포하다. 포함하다. 함유하다. 2.[명사][문어] 심오한 내용. 의미가 깊은 사상〔말〕. 심원한 문제〔이론〕. 깊은 속.
32` 사람들의 판단은 불완전한 것이다 (내편:2.제물론,21)
- 장자(내편) ; 제2편 제물론[21]-
내 어찌 삶을 즐기는 것이 미혹한 일이 아님을 알겠는가? 내 어찌 죽음을 싫어하는 것이 어려서 고향을 떠나 고향으로 돌아갈 줄 모르는 사람과 같지 않음을 알겠는가?
여희는 예 땅의 경계를 지키는 관리의 딸이었다. 진나라에서 그녀를 처음 데려왔을 때에는 슬픔에 옷깃이 젖도록 눈물을 흘렸다. 그러나 임금의 방에 들어가서 임금과 호사스러운 자리를 같이 하고 맛있는 음식을 먹게 되자, 그녀는 처음에 울었던 일을 후회했다.
내 어찌 죽는 사람이 그가 처음에 삶을 희구했던 일을 후회하지 않음을 알겠는가?
- 莊子(內篇) ; 第2篇 齊物論[21]-
「予惡乎知說生之非惑邪! 予惡乎知惡死之非弱喪而不知歸者邪! 麗之姬, 艾封人之子也, 晉國之始得之也, 涕泣沾襟. 及其至於王所, 與王同筐牀, 食芻豢, 而後悔其泣也. 予惡乎知夫死者不悔其始之蘄生乎!
(「여오호지설생지비혹야! 여오호지오사지비약상이부지귀자야! 려지희, 예봉인지자야, 진국지시득지야, 체읍점금. 급기지어왕소, 여왕동광상, 식추환, 이후회기읍야. 여오호지부사자불회기시지기생호!」)
艾 쑥 애,다스릴 예 1. 쑥, 약쑥 2. 미모(美貌) 3. 푸른빛 4. 늙은이 5. 햇수, 나이 6. 남색(男色: 비역. 사내끼리 성교하듯이 하는 짓) 7. 늙다 8. 다하다, 끝나다 9. 갚다, 보답하다(報答--) 10. 예쁘다 11. 기르다, 양...
封 봉할 봉 1. 봉하다(封--) 2. 흙더미를 쌓다, 높이다 3. 북(식물의 뿌리를 싸고 있는 흙)을 돋우다(도드라지거나 높아지게 하다), 배양하다(培養--) 4. 크다, 거대하다 5. 후하게 하다, 돈독하게 하다 6. 가멸다(재산이...
涕 눈물 체 1. 눈물 2. 울다 3. 눈물을 흘리며 울다
泣 울 읍,바람 빠를 립,바람 빠를 입,원활하지 않을 삽 1. 울다 2. 울리다, 울게 하다 3.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걱정하다 4. 울음 5. 눈물 6. 별자리 이름 a. 바람이 빠르다 (립) b. 바람이 빠른 모양 (립) c. 바람이 거세게 부는 모양 (립)...
沾 더할 첨,젖을 점,경망할 접 1. 더하다 2. 첨가하다(添加--) 3. 엿보다, 관찰하다(觀察--) 4. 강(江)의 이름 a. 젖다(물이 배어 축축하게 되다) (점) b. 적시다 (점) c. 넘치다 (점) d. 누리다, 혜택을 받다 (점) e. 만족(滿足)하는...
襟 옷깃 금 1. 옷깃 2. 앞섶(두루마기나 저고리의 깃 아래에 달린 긴 헝겁) 3. 가슴 4. 마음, 생각
筐 광주리 광 1. 광주리(대, 싸리, 버들 따위를 재료로 하여 만든 그릇) 2. 평상(平床: 네모진 침상) 3. 작은 비녀(여자의 쪽 찐 머리가 풀어지지 않도록 꽂는 장신구)
牀 평상 상 1. 평상(平牀ㆍ平床) 2. 상 3. 마루 4. 우물 난간(欄干ㆍ欄杆) 5. 기물(器物)을 세는 단위(單位) 6. (상 위에서)졸다
芻 꼴 추 1. 꼴(말이나 소에게 먹이는 풀) 2. 꼴꾼(말이나 소에게 먹일 꼴을 베는 사람) 3. 짚(이삭을 떨어낸 줄기와 잎) 4. 풀 먹는 짐승 5. 기르다
豢 기를 환 1. (가축을)기르다 2. 치다 3. (음식을)잘 이바지하다 4. (미끼로)꾀다 5. 탐하다(貪--) 6. 가축(家畜)
芻豢 ①풀을 먹는 소ㆍ말ㆍ양 등(等)과 곡식(穀食)을 먹는 개ㆍ돼지 등(等)을 통틀어 이르는 말 ②가축(家畜)을 기르는 일 ③썩 잘차린 음식(飮食)을 이르는 말
蘄 풀 이름 기,재갈 기,당귀 근 1. 풀 이름 2. 신감채(辛甘菜: 승검초.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3. 재갈(말을 부리기 위하여 아가리에 가로 물리는 가느다란 막대) 4. 나무의 이름 5. 구하다(求--) 6. 바라다 a. 당귀(當歸: 신감채의...
玂 개 새끼 한 마리 낳을 기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