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內篇 4 人間世 13~16
莊子 - 內篇 4 人間世 13~16
56` 쓸모 없음이 곧 쓸모이다 (내편:4.인간세,13)
- 장자(내편) ; 제4편 인간세[13]-
남백자기가 상구에 가서 큰 나무를 보았는데 특이했다. 말 4천 마리를 매어 놓아도 그 그늘에 완전히 가려질 정도였다.
자기가 말했다. “이건 무슨 나무일까? 이것은 분명 특이한 재목감이 되겠지?”
머리를 들어 그 나무의 작은 가지들을 보니 모두 구불구불하여 서까래나 기둥으로 쓸 수가 없었다. 머리를 숙여 그 나무의 뿌리를 보니 속이 텅 비어 관을 만들 재목으로 쓸 수도 없었다. 그 잎새를 따서 맛을 보니 입이 얼얼해 지고 상처가 났다. 그 냄새를 맡아보니 사람을 취하게 만들어 사흘동안이나 깨어나지 못하게 만들었다.
자기가 말했다.
“이것은 재목으로 쓸 수 없는 나무여서 이처럼 크게 자랄 수 있었구나. 아, 신인(神人)들은 이래서 재능을 갖지 않는 것이구나.”
- 莊子(內篇) ; 第4篇 人間世[13]-
南伯子綦遊乎商之丘, 見大木焉, 有異, 結駟千乘, 將隱芘其所藾. 子綦曰:「此何木也哉? 此必有異材夫?」仰而視其細枝, 則拳曲而不可以爲棟樑. 俯而視其大根, 則軸解而不可以爲棺槨. 咶其葉, 則口爛而爲傷. 嗅之, 則使人狂酲, 三日而不已.
子綦曰:「此果不材之木也, 以至於此其大也. 嗟乎神人, 以此不材!」
(남백자기유호상지구, 견대목언, 유이, 결사천승, 장은비기소뢰. 자기왈:차하목야재? 차필유이재부? 앙이시기세지, 즉권곡이불가이위동량. 부이시기대근, 즉유해이불가이위관곽. 시기엽, 즉구란이위상. 후지, 즉사인광정, 삼일이불이.
자기왈:차과부재지목야, 이지어차기대야. 차호신인, 이차부재!)
綦 연둣빛 비단 기 1. 연둣빛 비단(緋緞) 2. 무늬 비단(緋緞) 3. 빛깔 이름 4. 들메끈(신을 발에 동여매는 끈) 5. 바탕 6. 신 자국 7. 물의 이름 8. 끝가다 9. 지극하다(至極--)
駟 사마 사 1. 사마(駟馬: 한 채의 수레를 끄는 네 필의 말) 2. 사마(駟馬) 수레 3. 말 4. 용 네 마리 5. 별 이름 6. (네 사람이)함께 수레를 타다 7. 쫓다
隱 숨을 은 1. 숨다 2. 점치다(占--) 3. 가엾어 하다 4.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5. 음흉하다(陰凶--) 6. 쌓다 7. 무게 있다 8. 기대다 9. 수수께끼
芘 당아욱 비 1. 당아욱(唐--: 아욱과의 두해살이풀) 2. 나무의 이름 3. 가리다 4. 덮다 5. 감싸다
藾 맑은대쑥 뢰,맑은대쑥 뇌 1. 맑은대쑥(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2. 덮다 3. 비호하다
拳 주먹 권 1. 주먹 2. 오그려 쥔 손 3. 권법(拳法) 4. 쇠뇌활(여러 개의 화살이나 돌을 잇따라 쏘는 큰 활) 5. 주먹질 6. 힘 7. 정성(精誠)껏 지키는 모양 8. 주먹을 쥐다 9. 주먹질하다 10. 힘쓰다, 부지런하다...
俯 구부릴 부 1. 구부리다 2. (고개를)숙이다 3. 눕다, 드러눕다 4. 숨다, 잠복하다 5. 가지런하지 아니하다
軸 굴대 축 1. 굴대(한가운데에 뚫린 구멍에 끼우는 긴 나무 막대나 쇠 막대) 2. 북 3. 바디(베틀, 가마니틀, 방직기 따위에 딸린 기구의 하나) 4. 자리 5. 축 6. 두루마리의 심목 7. 나아가다 8. 앓다
咶 핥을 시,핥을 지,숨 쉴 할 1. 핥다 2. 말하다 3. 이야기하다 4. 숨 쉬다 5. 말씀 6. 호흡(呼吸) a. 핥다 (지) b. 숨 쉬다 (할)
爛 빛날 란,빛날 난,문드러질 란,문드러질 난 1. 빛나다, 밝다 2. 화미하다(華美--), 화려하다(華麗--) 3. 곱다 4. 무르익다, (꽃이)흐드러지다 5. 문드러지다, 문드러지게 하다 6. (불에)데다 7. 너무 익다, 지나치게 익히다 8. 다치어 헐다 9. 부스러지다..
嗅 맡을 후 1. (냄새)맡다
酲 숙취 정 1. 숙취(宿醉) 2. 술병(-病) 3. (술이)깨다 4. 물리다, 싫증을 느끼다 5. 길다(=長)
嗟 탄식할 차 1. 탄식하다(歎息ㆍ嘆息--) 2. 감탄하다(感歎ㆍ感嘆--) 3. 탄식(歎息ㆍ嘆息) 4. 감탄(感歎ㆍ感嘆) 5. 창졸(倉卒)간에, 갑작스럽게
57` 재능이 있음으로 재난을 당하게 된다 (내편:4.인간세,14)
- 장자(내편) ; 제4편 인간세[14]-
송나라에 형씨라는 곳이 있었는데, 개오동나무와 잣나무와 뽕나무가 잘 자랐다. 그러나 그 둘레가 한두 줌 되는 나무가 있으면 원숭이를 매어놓을 말뚝을 찾은 사람들이 베어 갔다. 서너 아름이 되는 나무가 있으면 큰집의 마루판이 필요한 사람들이 베어갔다. 일여덟 아름이 되는 나무가 있으면 귀족이나 부유한 사람들의 집에서 관을 만들 재목을 찾는 사람들이 베어 갔다. 그래서 그곳의 나무들은 타고난 제 수명대로 다 살지를 못하고 중도에 도끼에 찍혀 일찍 죽었다.
이것이 재능이 있는 것들의 재난이다.
그런데 액운을 쫓는 제사에는 이마에 흰털이 난 소와 코가 위로 올라간 돼지와 치질이 있는 사람은 제물로 적당치 않아 강물에 던지지 않는다. 이러한 것들에 대해서는 모두 무당이나 축관들이 이미 알고 있어서 상서롭지 않은 물건들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이것은 신인(神人)이 크게 상서로운 것이라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 莊子(內篇) ; 第4篇 人間世[14]-
「宋有荊氏者, 宜楸柏桑. 其拱把而上者, 求狙猴之杙者斬之. 三圍四圍, 求高名之麗者斬之. 七圍八圍, 貴人富商之家求樿傍者斬之. 故未終其天年, 而中道之夭於斧斤, 此材之患也. 故解之以牛之白顙者與豚之亢鼻者, 與人有痔病者不可以適河. 此皆巫祝以知之矣. 所以爲不祥也. 此乃神人之所以爲大祥也.」
(송유형씨자, 의추백상. 기공파이상자, 구저후지익자참지. 삼위사위, 구고명지려자참지. 칠위팔위, 귀인부상지가구선방자참지. 고미종기천년, 이중도지요어부근, 차재지환야. 고해지이우지백상자여돈지항비자, 여인유치병자불가이적하. 차개무축이지지의. 소이위불상야. 차내신인지소이위대상야.)
宜 마땅 의 1. 마땅하다, 알맞다 2. 마땅히 ~하여야 한다 3. 화목하다(和睦--), 화순하다(和順--: 온화하고 양순하다) 4. 형편(形便)이 좋다, 사정이 좋다 5. 아름답다, 선미하다 6. 마땅히 7. 과연(果然), 정말 8....
楸 가래나무 추 1. 가래나무(가래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2. 호두나무(胡桃--: 가래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3. 개오동나무(능소화과의 낙엽 활엽 교목) 4. 바둑판
柏 측백 백 1. 측백, 측백나무 2. 측백나무의 잎 3. 잣, 잣나무 4. 가까워지다, 다가오다 5. 크다
桑 뽕나무 상 1. 뽕나무 2. 뽕잎을 따다
拱 팔짱 낄 공,보옥 공 1. 팔짱 끼다 2. (두 손을)마주 잡다 3. 두르다 4. 껴안다 5. 거두다, 가지다 6. 아름 7. 아무 일도 하지 않는 모양 8. 보옥(寶玉)
把 잡을 파,긁을 파 1. 잡다, 한손으로 쥐다 2. 가지다 3. 묶다 4. 긁다 5. 한 움큼(손으로 한 줌 움켜쥘 만한 분량을 세는 단위), 줌 6. 묶음, 다발(꽃이나 푸성귀, 돈 따위의 묶음) 7. 자루(끝에 달린 손잡이), 손잡이 8....
杙 말뚝 익 1. 말뚝 2. 마소를 매는 나무 말뚝
斬 벨 참 1. 베다 2. 끊다 3. 끊기다 4. 재단하다(裁斷--) 5. 다하다 6. 도련(刀鍊)하지 않은 상복(喪服: 상중에 있는 상제나 복인이 입는 예복) 7. 가장 8. 매우 9. 심히
樿 회양목 전,회양목 선 1. 회양목 2. 전나무 3. 벚나무 4. 관판(棺板: 널빤지 한장으로 널 한쪽 온판이 되는 관재) a. 회양목 (선) b. 전나무 (선) c. 벚나무 (선) d. 관판(棺板: 널빤지 한장으로 널 한쪽 온판이 되는 관재)...
傍 곁 방 1. 곁, 옆 2. 가까이 3. 방(한자 구성에서 오른쪽에 붙어있는 부수) 4. 흐릿한 모양 5. 성대(盛大)한 모양 6. 분주(奔走)하게 응대(應待)하는 모양 7. 방황하다(彷徨--) 8. 엇갈리다 9. 거스르다 10. 기대다...
顙 이마 상 1. 이마(앞머리) 2. 머리 3. 꼭대기 4. 뺨 5. 절하다 6. 이마를 땅에 대어 절하다
豚 돼지 돈 1. 돼지 2. 새끼돼지 3. 자기(自己) 아들의 겸칭(謙稱) 4. 흙부대 5. 혼돈한 모양 6. 지척거리다 7. 숨다, 은둔하다
亢 높을 항 1. 높다 2. 극진(極盡)히 하다 3. 지나치다 4. 가리다, 덮다 5. 겨루다, 필적하다(匹敵--: 능력이나 세력이 엇비슷하여 서로 맞서다) 6. 높이 오르다 7. 자부하다(自負--), 자만하다(自慢--) 8. 목, 목줄기...
鼻 코 비 1. 코 2. 구멍, 맞트이게 뚫은 자국 3. 시초(始初), 처음 4. 손잡이 5. 종, 노복(奴僕: 사내종) 6. (코를)꿰다
痔 치질 치 1. 치질(痔疾)
巫 무당 무 1. (여자)무당 2. 무녀(巫女) 3. 의사(醫師) 4. 고을 이름 5. 산(山) 이름 6. 망령되다(妄靈--), 터무니없다
祝 빌 축,저주할 주 1. 빌다, 기원하다(祈願--) 2. 축하하다(祝賀--) 3. 하례하다(賀禮--) 4. 부탁하다(付託--) 5. 축원하다(祝願--) 6. 축문하다(祝文--) 7. 끊다, 자르다 8. (베를)짜다 9. 경사(慶事), 기쁨 10. (신에게...
乃 이에 내,노 젓는 소리 애 1. 이에, 곧 2. 그래서 3. 더구나 4. 도리어 5. 비로소 6. 의외로, 뜻밖에 7. 또 8. 다만 9. 만일(萬一) 10. 겨우 11. 어찌 12. 이전에 13. 너, 당신(當身), 그대 14. 이와 같다 a. 노 젓는 소리 (애)...
[nǎi] (迺|廼) 이에 내 1.[동사][문어] …이다. 바로 …이다. 정말이지 …이다. 2.[부사][문어] 이에. 그래서. 이리하여. 그리하여. 3.[부사][문어] 비로소. 단지 …이어야만.
58` 부족함으로 수명대로 살 수 있다 (내편:4.인간세,15)
- 장자(내편) ; 제4편 인간세[15]-
지리소라는 사람은 턱이 배꼽 아래 감추어지고, 어깨가 머리보다 높으며, 머리꼬리가 하늘로 치솟아 있고, 오장은 위쪽에 붙어 있고, 두 다리가 옆구리에 와 있었다. 그러나 바느질을 하여 먹고살기에는 충분했다. 키질을 하여 쌀을 고르면 열 식구는 먹여 살릴 수 있었다. 나라에서 군인을 징집하여도 지리소는 팔을 휘저으며 그 곳에서 자유롭게 행동했다. 나라에 큰 공사가 있다 하더라도 지리소는 언제나 장애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노역에 끌려나가지 않았다. 나라에서 장애인들에게 곡식을 나눠주게 되면 상당한 양의 곡식과 열 다발의 땔나무를 받았다.
그의 형체를 잊을 수 있는(형체가 불완전한) 사람은 그러면서도 그 자신을 충분히 보양할 수 있고, 그가 타고난 목숨대로 다 살 수 있는 것이다. 그러니 그의 덕을 잊고 있는 사람은 어떻겠는가?
- 莊子(內篇) ; 第4篇 人間世[15]-
支離疏者, 頤隱於臍, 肩高於頂, 會撮指天, 五管在上, 兩髀爲脇. 挫鍼治繲足以餬口. 鼓筴播精, 足以食十人. 上徵武士, 則支離攘臂而遊於其間. 上有大役, 則支離以有常疾不受功. 上與病者粟, 則受三鍾與十束薪. 夫支離其形者, 猶足以養其身, 終其天年, 又況支離其德者乎!
(지리소자, 이은어제, 견고어정, 회촬지천, 오관재상, 양비위협. 좌침치해족이호구. 고협파정, 족이식십인. 상징무사, 즉지리양비이유어기간. 상유대역, 즉지리이유상질불수공. 상여병자속, 즉수삼종여십속신. 부지리기형자, 유족이양기신, 종기천년, 우황지리기덕자호!)
頤 턱 이 1. 턱(발음하거나 씹는 일을 하는 기관) 2. 아래턱 3. 괘(卦)의 이름 4. 기르다 5. 보양하다(保養--: 잘 보호하여 기르다) 6. 부리다 7. 이사하다(頤使--: 턱으로 부리다. 사람을 마음대로 부리다)
臍 배꼽 제 1. 배꼽(배의 중앙에 있는 탯줄의 자국) 2. 오이가 달린 꼭지(과실이 달린 줄기)
頂 정수리 정 1. 정수리(頂--: 머리의 최상부) 2. 이마(앞머리) 3. 꼭대기 4. 쥐독 5. 아주 6. 대단히, 상당히(相當-) 7. 머리로 받치다 8. 머리에 이다 9. 무릅쓰다 10. 지탱하다(支撐--), 버티다 11. 해내다, 감당...
撮 모을 촬,사진 찍을 촬 1. 모으다, 취합하다(聚合--) 2. (사진을)찍다 3. 빼내다, 골라내다 4. (손가락으로)집다 5. 취하다(取--) 6. 자밤(손가락 끝으로 집을 만한 분량) 7. 취포관(緇布冠: 검은 베로 만든 관) a. 수레 이름...
髀 넓적다리 비,넓적다리 폐 1. 넓적다리 2. 넓적다리뼈(넙다리뼈), 넙다리뼈(골반과 무릎 사이에 뻗어 있는 넙다리의 뼈) 3. 장딴지(종아리 살이 불룩한 부분) 4. 비장(脾臟) a. 넓적다리 (폐) b. 넓적다리뼈(넙다리뼈), 넙다리뼈(골반과...
脇 위협할 협,겨드랑이 협 1. 위협하다(威脅--) 2. 으르다(무서운 말이나 행동으로 위협하다) 3. 꾸짖다 4. 책망하다(責望--) 5. 비난하다(非難--) 6. 웅크리다 7. 움츠리다 8. 겨드랑이 9. 옆구리 10. 갈빗대 11. 곁
挫 꺾을 좌 1. 꺾다, 부러지다 2. (기세가)꺾이다 3. 창피(猖披)를 주다, 손상시키다(損傷---) 4. 묶다, 결박하다(結縛--) 5. 문지르다, 주무르다
鍼 침 침 1. 침(針: 바늘) 2. 바늘 3. 가시 4. 바느질하다 5. 침을 놓다 6. 찌르다
繲 헌 옷 해 1. 헌 옷 2. (옷을)빨다(주물러서 때를 없애다) 3. 빨래하다
餬 죽 호,풀칠할 호 1. 죽(粥: 오래 끓여 알갱이가 흠씬 무르게 만든 음식) 2. 풀 3. (죽을)먹다 4. 풀칠하다, 바르다 5. (입에)풀칠하다 6. 흐릿하다 7. 모호하다(模糊--)
鼓 북 고
1. 북, 악기(樂器)의 하나 2. 북소리 3. 맥박(脈搏), 심장의 고동(鼓動) 4. 시보(時報), 경점(更點: 북이나 징을 쳐서 알려 주던 시간) 5. 되(분량을 헤아리는 데 쓰는 그릇 또는 부피의 단위) 6. 무게의...
筴 낄 협,점대 책 1. 끼다 2. 집다 3. 기뻐하다 4. 집게 a. 점대(占-: 점을 치는 데에 쓰는 댓가지) (책) b. 대쪽 (책) c. 계책(計策) (책) d. 꾀 (책) e. 꾀하다 (책)
播 뿌릴 파 1. (씨를)뿌리다 2. 퍼뜨리다 3. 흩다(한데 모였던 것을 따로따로 떨어지게 하다), 흩뜨리다 4. 베풀다(일을 차리어 벌이다, 도와주어서 혜택을 받게 하다), 널리 미치게 하다 5. 까불다, 키질을 하다...
精 정할 정,찧을 정 1. 정하다(精--: 정성을 들여서 거칠지 아니하고 매우 곱다) 2. 깨끗하다 3. 정성스럽다(精誠---) 4. 찧다(쌀을 곱게 쓿다) 5. 뛰어나다, 우수하다(優秀--) 6. 가장 좋다, 훌륭하다 7. 총명하다(聰明--),...
徵 부를 징,음률 이름 치 1. 부르다 2. 징집하다(徵集--) 3. 소집하다(召集--) 4. 구하다(求--), 모집하다(募集--) 5. 거두다, 징수하다(徵收--) 6. 징계하다(懲戒--) 7. 밝히다 8. 증명하다(證明--), 검증하다(檢證--) 9. 이루다...
攘 물리칠 양,어지러울 녕,어지러울 영 1. 물리치다, 내쫓다 2. 제거하다(除去--), 없애다 3. 훔치다, 가로 채다 4. 침탈하다(侵奪--), 빼앗다 5. 어지럽히다 6. 겸손하다(謙遜ㆍ謙巽--) 7. 물러나다 8. 사양하다(辭讓--) 9. 걷다, 걷어 올리다...
臂 팔 비 1. 팔(어깨와 손목 사이의 부분) 2. 팔뚝 3. 쇠뇌(여러 개의 화살이나 돌을 잇따라 쏘는 큰 활) 자루(끝에 달린 손잡이)
鍾 쇠북 종,술병 종 1. 쇠북 2. 술잔(-盞) 3. 술병(-甁) 4. 되(분량을 헤아리는 데 쓰는 그릇 또는 부피의 단위) 이름 5. 부피의 단위(單位) 6. 시부모 7. 모으다, 모이다 8. 거듭하다, 늘리다 9. 당하다(當--) 10. 주다,...
束 묶을 속,약속할 속 1. 묶다, 동여매다(두르거나 감거나 하여 묶다) 2. 결박하다(結縛--) 3. (잡아)매다, (띠를)매다 4. 합치다(合--) 5. 단속하다(團束--) 6. 삼가다(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잡도리하다 7. 약속하...
薪 섶 신 1. 섶(땔나무를 통틀어 이르는 말) 2. 잡초(雜草), 풀 3. 봉급(俸給) 4. (땔감으로)만들다 5. 나무를 하다
離 떠날 리,떠날 이,붙을 려,붙을 여,교룡 치 1. 떠나다 2. 떼어놓다, 떨어지다 3. 갈라지다 4. 흩어지다, 분산하다 5. 가르다, 분할하다(分割--) 6. 늘어놓다 7. 만나다, 맞부딪다 8. 잃다, 버리다 9. 지나다, 겪다 10. 근심 11. 성(姓)의 하나 13....
況 상황 황,하물며 황 1. 상황(狀況), 정황(情況) 2. 형편(形便) 3. 모양 4. 종소리의 형용(形容) 5. 하물며, 더군다나, 게다가 6. 더욱, 더욱 더 7. 때마침, 우연히(偶然-) 8. 곧, 이에 9. 견주다(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기...
59` 무용의 쓰임은 아무도 모른다 (내편:4.인간세,16)
- 장자(내편) ; 제4편 인간세[16]-
공자가 초나라로 가는데 초광접여가 객사 문 앞을 지나며 노래를 했다.
봉새야, 봉새야, 어찌하여 그대 덕이 쇠하였나?
장래는 기대할 수 없는 것이고 과거는 돌이킬 수 없는 것
천하에 올바른 도가 있으면 성인은 교화를 이룩하고,
천하에 올바른 도가 없으면 성인은 자기 삶을 보전한다.
지금 시국에는 근근히 형벌을 면하기도 바쁘네
복은 새의 깃털보다 가벼운데
아무도 그것을 잡을 줄을 모르고
화는 땅보다 무거운데
아무도 그것을 피할 줄을 모르네
아서라, 아서라, 덕을 사람들에게 내세우는 짓을
위태롭고도 위태롭구나 땅을 가려가며 쫓아다니는 것이
밝음을 가리고 가려서 나의 갈 길을 그르치지 말아라
발길을 삼가고 삼가서 나의 발을 다치지 않게 하라
산의 나무는 스스로 베이도록 자라고
기름불은 스스로를 태워 버린다
육규는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에 의해서 잘려지고
옻나무는 옻칠에 쓰이기 때문에 또한 껍질이 벗겨진다
사람들은 모두 유용(有用)의 쓰임은 알지만
무용(無用)의 쓰임은 아무도 모르는구나.
- 莊子(內篇) ; 第4篇 人間世[16]-
孔子適楚, 楚狂接輿遊其門曰:
「鳳兮鳳兮, 何如德之衰也! 來世不可待, 往世不可追也. 天下有道, 聖人成焉. 天下無道, 聖人生焉. 方今之時, 僅免刑焉. 福輕乎羽, 莫之知載. 禍重乎地, 莫之知避. 已乎已乎, 臨人以德! 殆乎殆乎, 畫地而趨! 迷陽迷陽, 無傷吾行! 吾行郤曲, 無傷吾足!」
(공자적초, 초광접여유기문왈:
봉혜봉혜, 하여덕지쇄야! 내세불여대, 왕세불가추야. 천하유도, 성인성언. 천하무도, 성인생언. 방금지시, 근면형언. 복경호우, 막지지재. 화중호지, 막지지피. 이호이호, 임인이덕! 태호태호, 화지이추! 미야미양, 무상오행! 오행극곡, 무상오족!)
鳳 봉새 봉 1. 봉새(鳳-) 2. 봉황(鳳凰) 3. 산(山) 이름
衰 쇠할 쇠,상옷 최,도롱이 사 1. 쇠하다(衰--) 2. 약하다(弱--) a. 상옷 (최) b. 줄다, 줄이다 (최) c. 도롱이(짚, 띠 따위로 엮어 허리나 어깨에 걸쳐 두르는 비옷) (사)
載 실을 재,떠받들 대 1. 싣다 2. (머리에)이다(물건을 머리 위에 얹다)(=戴) 3. 오르다, 올라 타다 4. 행하다(行--), 시행하다(施行--) 5. 비롯하다, 개시하다(開始--) 6. 맡다 7. 진설하다(陳設--: 음식을 법식에 따라 상...
趨 달아날 추,재촉할 촉 1. 달아나다 2. 달리다, 달려가다 3. 뒤쫓다, 추구하다(追求--) 4. 따라 행하다(行--) 5. 종종걸음치다 6. 빨리 걷다, (걸음이)빠르다 7. 붙쫓다 8. 추창하다(趨蹌--: 예도(禮度)에 맞게 허리를 굽히고...
郤 틈 극 1. 틈, 벌어진 틈 2. 구멍 3. 흠, 결점(缺點) 4. 겨를, 여가(餘暇), 짬 5. 원한(怨恨), 불화(不和) 6. 놀리고 있는 땅 7. 갈라지다, 터지다 8. 비다, 경작(耕作)하지 않다 9. 이웃하다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