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外篇 11 在宥 1~3
莊子 - 外篇 11 在宥 1~3
104` 천하는 인위적으로 다스려서는 안 된다 (외편:11.재유,1)
- 장자(외편) ; 제11편 재유[1]-
천하를 있는 그대로 내버려두지 않고 천하를 다스리려고 해서는 안 된다. 천하를 있는 그대로 두는 것은 천하 사람들이 그들의 본성을 잃게 될까 두렵기 때문이다. 천하를 내버려두는 것은 그들이 타고난 덕이 바뀔까 두렵기 때문이다.
천하사람들이 그들의 본성을 잃지 않고 그들의 타고난 덕이 바뀌지 않는데도 천하를 다스려야 한다고 할 사람이 있겠는가?
옛날 요임금이 천하를 다스릴 때에는 천하 사람들로 하여금 즐거이 받아들이게 하면서 누구나 다 그의 본성을 즐기도록 했다. 이것은 고요히 둔 것은 아니다. 걸왕이 천하를 다스릴 때에는 세상사람들로 하여금 고생하면서 누구나 그의 본성을 괴롭히도록 했다. 이것은 즐기도록 둔 것은 아니다. 고요히 두지 않는 것이나 즐기도록 두지 않는 것은 모두가 타고난 덕에 어긋나는 것이다. 타고난 덕에 어긋나면서도 오래 갈 수 있는 것이란 세상에 없다.
사람들이 크게 기뻐하면 양으로 치우치게 되며, 크게 노하면 음으로 치우치게 된다. 음이나 양으로 다 같이 치우쳐지면 사계절이 제대로 오지 않고 추위와 더위의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음과 양이 어긋나면 사람들의 몸을 상하게 한다. 사람들로 하여금 기쁨과 노여움의 도를 잃게 하고, 사는 곳이 일정치 않게 하고, 생각이나 사고가 제대로 되지 않게 하고, 도에 알맞은 조화를 이루지 못하게 한다. 그렇게 되면 온 세상 사람들의 뜻도 고르지 않게 되고, 행동도 고르지 않게 되어 도척이나 증삼, 사추와 같은 행실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온 세상을 들어 그 선한 것을 상 주려 한다 해도 다 줄 수가 없고, 온 세상을 들어 그 악한 것을 벌하려 해도 다 벌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세상이 크다고는 하지만 다 상주고 벌할 수가 없는 것이다. 하·은·주 3대 이후로는 시끄럽게 내내 상벌로 일을 삼았으니 그의 본성과 운명의 진실함에 편안히 지낼 겨를이 어디 있었겠는가?
또한 눈 밝은 것을 좋아한 결과 빛깔에 빠지게 되었고, 어짊을 좋아한 결과 타고난 덕을 어지럽히게 되었고, 의로움을 좋아한 결과 의리에 어긋나게 되었고, 예의를 좋아한 결과 겉치레에 자기를 잃게 되었고, 음악을 좋아한 결과 음탕함에 자신을 잃게 되었고, 성인을 좋아한 결과 재주에 자신을 잃게 되었고, 지혜를 좋아한 결과 남의 허물 찾기에 자신을 잃게 되었다.
온 천하가 그의 본성과 운명의 진실함에 편안하려면 이상의 여덟 가지의 것은 있어도 좋고 없어도 좋은 것들이다. 온 천하가 그의 본성과 운명의 진실함에 편안하지 않으려면 이 여덟 가지 것들이 곧 엉키고 뒤섞이면서 천하를 어지럽히는 것이다. 그러면 온 천하가 비로소 그것을 존중하고 아끼게 되는 것이다.
세상의 미혹됨은 너무도 지나치다. 어찌 그대로 지나가는 대로 가게 둘 수 없는가. 그들은 재계를 하고 그에 대한 얘기를 하고, 무릎 꿇고 바로 앉아 그것들을 전하면서, 그것을 북 치고 노래하고 춤을 출 정도로 좋아하고 있으니, 아무도 이것을 어쩔 수가 없다.
- 莊子(外篇) ; 第11篇 在宥[1]-
聞在宥天下, 不聞治天下也. 在之也者, 恐天下之淫其性也. 宥之也者, 恐天下之遷其德也. 天下不淫其性, 不遷其德, 有治天下哉! 昔堯之治天下也, 使天下欣欣焉人樂其性, 是不恬也. 桀之治天下也, 使天下瘁瘁焉人苦其性, 是不愉也. 夫不恬不愉, 非德也. 非德也而可長久者, 天下無之.
人大喜邪? 毘於陽. 大怒邪? 毘於陰. 陰陽竝毘, 四時不至, 寒暑之和不成, 其反傷人之形乎! 使人喜怒失位, 居處無常, 思慮不自得, 中道不成章, 於是乎天下始喬詰卓鷙, 而後有盜跖.曾.史之行. 故擧天下以賞其善者不足, 擧天下以罰其惡者不給, 故天下之大, 不足以賞罰. 自三代以下者, 匈匈焉終以賞罰爲事, 彼何暇安其性命之情哉!
而且說明邪? 是淫於色也. 說聰邪? 是淫於聲也. 說仁邪? 是亂於德也. 說義邪? 是悖於理也. 說禮邪? 是相於技也. 說樂邪? 是相於淫也. 說聖邪? 是相於禮也. 說知邪? 是相於疵也. 天下將安其性命之情, 之八者, 存可也, 亡可也. 天下將不安其性命之情, 之八者, 乃始臠券獊囊而亂天下也. 而天下乃始尊之惜之, 甚矣天下之惑也! 豈直過也而去之邪? 乃齋戒以言之, 跪坐以進之, 鼓歌以儛之, 吾若是何哉!
(문재유천하, 불문치천하야. 재지야자, 공천하지음기성야. 유지야자, 공천하지천기덕야. 천하불음기성, 불천기덕, 유치천하재! 석요지치천하야, 사천하흔흔언인락기성, 시불념야. 순지치천하야, 사천하췌췌언인고기성, 시불유야. 부불념불유, 비덕야. 비덕야이가장구자, 천하무지.
인대희야? 비어양. 대노야? 비어음. 음양양비, 사시부지, 한서지화불성, 기반상인지형호! 사인희노실위, 거처무상, 사려부자득, 중도불성장, 어시호천하시교힐탁지, 이후유도척.증.사지행. 고거천하이상기선자부족, 거천하이벌기악자불급, 고천하지대, 부족이상벌. 자삼대이하자, 흉흉언종이상벌위사, 피하가안기성명지정재!
이차설명야? 시음어색야. 설총야? 시음어성야. 설인야? 시란어덕야. 설의야? 시패어리야.설례야? 시상어기야. 설악야? 시상어음야. 설성야? 시상어례야. 설지야? 시상어자야.천하장안기성명지정, 지팔자, 존가야, 망가야. 천하장불안기성명지정, 지팔자, 내시련권창낭이난천하야. 이천하내시존지석지, 심의천하지혹야! 기직과야이거지야? 내제계이언지, 궤좌이진지, 고가이무지, 오약시하재!)
宥 너그러울 유 1. 너그럽다 2. 용서하다(容恕--) 3. 너그럽고 어질다 4. 돕다, 보우하다(保佑--) 5. 보좌하다(補佐ㆍ輔佐--) 6. 사로잡히다, 국한되다(局限--) 7. (식사나 술을)권하다(勸--) 8. 심원하다(深遠--), 넓고... [부수]宀(갓머리)
淫 음란할 음,장마 음,요수 요,강 이름 염 1. 음란하다(淫亂--) 2. 탐하다(貪--), 욕심내다 3. 과하다(過--), 지나치다 4. 간사하다(奸邪--: 마음이 바르지 않다), 사악하다(邪惡--) 5. 도리(道理)에 어긋나다 6. 어지럽다 7. 어지럽히다, 미혹... [부수]氵(삼수변)
遷 옮길 천 1. 옮기다 2. 옮겨 가다 3. 떠나가다 4. 내쫓다, 추방하다(追放--) 5. 벼슬이 바뀌다 6. 달라지다 7. 바꾸다, 변경하다(變更--) 8. 오르다, 올라가다 9. 붙좇다, 따르다 10. 천도(遷都) 11. 벼랑, 낭떠러지 [부수]辶(책받침)
恬 편안할 념,편안할 염 1. 편안하다(便安--), 안일하다(安逸--) 2. 평온하다(平穩--) 3. 고요하다 4. 담담하다(淡淡--) 5. 조용하다 [부수]忄(심방변)
瘁 병들 췌 1. 병들다(病--) 2. 여위다 3.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4. 무너지다 5. 수고롭다 6. 파리하다(핏기가 전혀 없다) [부수]疒(병질엄)
苦 쓸 고,땅 이름 호 1. 쓰다 2. 괴롭다 3. 애쓰다, 힘쓰다 4. 많다, 오래 계속되다(繼續--) 5. 거칠다 6. 엉성하다, 졸렬하다 7. 무르다 8. 욕되다(辱--), 욕보이다(辱---) 9. 싫어하다 10. 씀바귀(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부수]艹(초두머리)
愉 즐거울 유,구차할 투 1. 즐겁다 2. 기뻐하다, 즐거워하다 3. 화열하다(和悅--: 마음이 화평하여 기쁘다) 4. 깨우쳐 주다, 효유하다(曉諭ㆍ曉喩--) 5. 노래 a. 구차하다(苟且--) (투) b. 군색하다(窘塞--) (투) c. 훔치다 (투) [부수]忄(심방변)
毘 도울 비 1. 돕다 2. 힘을 보태다 3. 밝다 4. 떨어지다 5. 벗겨지다 6. 쇠퇴하다(衰退ㆍ衰頹--) 7. 쓸모없이 되다 [부수]比(견줄비)
喬 높을 교 1. 높다 2. (높이)솟다 3. 뛰어나다 4. 교만하다(驕慢--) 5. 교활하다(狡猾--), 악랄하다(惡辣--) 6. (마음이)평온하지 못하다 7. 창(槍) 갈고리 8. 위쪽으로 굽은 가지 [부수]口(입구)
詰 물을 힐,꾸짖을 힐 1. 묻다 2. 따지다 3. 금지하다(禁止--) 4. 못하게 하다 5. 경계하다(警戒--) 6. 꾸짖다 7. 다스리다 8. 벌하다(罰--) 9. 죄주다 10. 굽다 11. 조사하다(調査--) [부수]言(말씀언)
卓 높을 탁 1. 높다 2. 멀다, 높고 멀다 3. 높이 세우다 4. 뛰어나다 5. 멈추다, 세우다, 정지하다(停止--) 6. 탁자(卓子) 7. 마침, 바로 그때 8. 홀로 [부수]十(열십)
鷙 맹금 지,의심할 질 1. 맹금(猛禽: 수릿과나 맷과의 새와 같이 성질이 사납고 육식을 하는 종) 2. 치다 3. 굳세다 4. 사납다 a. 의심하다(疑心--) (질) [부수]鳥(새조)
罰 벌할 벌 1. 벌하다(罰--) 2. 벌주다(罰--) 3. 벌(罰) 4. 죄 [부수]罒(그물망머리)
給 줄 급 1. 주다 2. 대다, 공급하다(供給--) 3. 제때에 대다 4. 더하다, 보태다 5. 넉넉하다 6. 두루 미치다(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하여지다) 7. (말을)잘하다 8. 갖추어지다 9. 급여(給與) 10. 보탬... [부수]糸(실사)
匈 오랑캐 흉,가슴 흉 1. 오랑캐 2. 가슴 3. 시끄럽게 의논하는 소리 4. (인심이)흉흉하다, 인심이 수선스럽다 5. 떠들썩하다 6. 술렁술렁하여 험악하다(險惡--) [부수]勹(쌀포몸)
暇 틈 가,겨를 가 1. 틈, 틈새 2. 겨를 3. 틈이 있는 날 4. 한가히 놀다 5. 한가하다(閑暇--) 6. 크다 [부수]日(날일)
而且 [érqiě] 1.[접속사] 게다가. 뿐만 아니라. 또한. [앞에 ‘不但(bùdàn)’이나 ‘不仅(bùjǐn)’등과 호응하여 쓰임]
悖 [bèi] 발음 듣기 (誖) 어지러울 패 1.[동사][문어] 위배되다. 상반되다. 2.[형용사][문어] 혼미하다. 미혹되다. 3.[형용사][문어] 틀리다. 상식에 어긋나다. 사리에 벗어나다. ≒[违(wéi), 反(fǎn)]
거스를 패,우쩍 일어날 발 1. 거스르다 2. 어그러지다 3. 어지럽다 4. 혼란스럽다(混亂---) 5. 가리다, 엄폐하다(掩蔽--) 6. 거칠다, 나쁘다 a. 우쩍 일어나다 (발) b. 성(盛)한 모양 (발) c. 안색을 바꾸는 모양 (발) [부수]忄(심방변)
疵 허물 자,노려볼 제,앓을 새 1. 허물 2. 흠, 결점(缺點) 3. 흉 4. 흑반(黑斑), 혹 5. 재앙(災殃) 6. 흉보다 7. 알랑거리다 8. 헐뜯다, 비난하다(非難--) a. 노려보다 (제) b. 앓다 (새) [부수]疒(병질엄)
臠 저민 고기 련,저민 고기 연 1. 저민 고기 2. 여윈 모양 3. 여위다 4. 파리하다(핏기가 전혀 없다) [부수]肉(고기육)
券 문서 권 1. 문서(文書), 증서(證書), 증표(證票) 2. 계약서(契約書) 3. 화폐(貨幣) 4. 엄쪽(어음을 쪼갠 한 쪽) 5. 언약하다(言約--) 6. 분명하다(分明--), 확실하다(確實--) 7. 일치하다(一致--), 힘쓰다 [부수]刀(칼도)
獊 두려울 창 1. 두렵다 [부수]犭
囊 주머니 낭 1. 주머니 2. 자루(헝겊 따위로 길고 크게 만든 주머니) 3. 불알, 고환(睾丸) 4. (주머니에)넣다 5. (싸서)동여매다(두르거나 감거나 하여 묶다) [부수]口(입구)
跪 꿇어앉을 궤 1. 꿇어앉다 2. 무릎 꿇고 절하다 3. 발 4. 집게발 [부수]𧾷(발족변)
儛 춤 출 무 1. 춤 추다 2. 뛰어다니다, 날아다니다 3. 희롱하다(戱弄--) 4. 북돋다 5. 고무하다(鼓舞--), 부추기다 6. 조롱하다(操弄--) 7. 춤, 무용(舞踊) [부수]亻(사람인변)
105` 천하는 그대로 내버려두어야 한다 (외편:11.재유,2)
- 장자(외편) ; 제11편 재유[2]-
군자가 부득이 천하를 다스리게 되었다면 아무런 작위도 가하지 않는 무위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 아무런 작위도 가하지 않아야만 사람의 본성과 운명의 진실함에 편안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의 몸을 천하를 다스리는 것보다 귀하게 여기는 사람에게는 천하를 맡겨도 괜찮다. 자기 몸을 천하를 다스리는 것보다 사랑하는 사람에게는 천하를 다스리게 해도 괜찮다.
그러므로 군자는 진실로 오장에 깃들인 생명을 흩트리지 않고, 그의 귀 밝음과 눈 밝음을 드러내지 않는다. 조용히 있다가 용처럼 나타나고, 심연처럼 침묵을 지키다가 우레 같은 소리를 내며, 자기 정신이 움직이면 자연의 변화가 그를 따르고, 조용히 아무런 작위도 가하지 않지만 만물은 저절로 움직여진다. 그런데 또 무슨 천하를 다스릴 필요가 있겠는가?
- 莊子(外篇) ; 第11篇 在宥[2]-
故君子不得已而臨莅天下, 莫若无爲. 无爲也而後安其性命之情. 故曰:「貴以身爲天下, 則可以託天下. 愛以身爲天下, 則可以寄天下.」 故君子苟能无解其五藏, 无擢其聰明. 尸居而龍見, 淵黙而雷聲, 神動而天隨, 從容无爲而萬物炊累焉. 吾又何暇治天下哉!
(고군자부득이이림리천하, 막약무위. 무위야이후안기성명지정. 고왈:[귀이신위천하, 즉가이탁천하. 애이신위천하, 즉가이기천하] 고군자구능무해기오장, 무탁기총명. 시거이용관, 연묵이뢰성, 신동이천수, 종용무위이만물취루언. 오우하가치천하재!)
臨 임할 림,임할 임 1. 임하다(臨--: 어떤 사태나 일에 직면하다) 2. 내려다보다 3. 다스리다, 통치하다(統治--) 4. 대하다(對--), 뵙다 5. 비추다, 비추어 밝히다 6. 본떠 그리다 7. 접근하다(接近--) 8. 지키다 9. 치다,... [부수]臣(신하신)
莅 다다를 리,다다를 이 1. 다다르다 2. 지위(地位) 3. 녹 4. 수목이 바람에 흔들리는 소리 [부수]艹(초두머리)
苟 진실로 구,구차할 구 1. 진실로(眞實-), 참으로 2. 다만, 단지(但只) 3. 겨우, 간신히 4. 만약(萬若) 5. 구차하게(苟且--) 6. 바라건대 7. 잠시(暫時) 8. 구차하다(苟且--), 구차(苟且)하게 굴다 9. 미봉하다(彌縫--: 일의... [부수]艹(초두머리)
擢 뽑을 탁 1. 뽑다, 뽑아 내다, 뽑아 버리다 2. 빼내다 3. 버리다, 제거하다(除去--) 4. 발탁하다(拔擢--), 뽑아 올리다 5. 솟다, 빼어나다, 뛰어나다 6. 길다, 길게 늘이다 [부수]扌(재방변)
淵 못 연 1. 못(넓고 오목하게 팬 땅에 물이 괴어 있는 곳) 2. 소(沼: 늪), 웅덩이 3. 모이는 곳 4. 근원(根源), 근본(根本) 5. 출처(出處) 6. 북소리 7. 깊다 8. 조용하다 [부수]氵(삼수변)
黙 묵묵할 묵 1. 묵묵하다(말없이 잠잠하다) 2. 고요하다 3. 모독하다(冒瀆--) [부수]黑(검을흑)
隨 따를 수,게으를 타 1. 따르다 2. 추종하다(追從--) 3. 부화하다(附和--: 주견이 없이 경솔하게 남의 의견에 따르다) 4. 좇다, 추구하다(追求--) 5. 발 6. 발꿈치 7. 괘(卦)의 이름 8. 따라서 9. 즉시, 곧바로 a. 게으르다... [부수]阝(좌부변)
炊 불 땔 취 1. 불을 때다 2. (밥을)짓다 3. (입으로)불다 4. (바람에)흩날리다 [부수]火(불화)
累 여러 루,여러 누,자주 루,자주 누,벌거벗을 라,벌거벗을 나,땅 이름 렵,땅 이름 엽 단어장 추가
1. 여러 2. 자주 3. 묶다 4. 거듭하다 5. 포개다 6. 폐를 끼치다 7. 더럽히다 8. 연하다(連--: 잇닿아 있다) 9. 폐, 누 10. 연좌 11. 연루(連累ㆍ緣累) a. 벌거벗다 (라) b. 땅 이름 (렵) [부수]糸(실사)
106` 인심은 종잡을 수 없는 것이다 (외편:11.재유,3)
- 장자(외편) ; 제11편 재유[3]-
최구가 노자에게 물었다.
“천하를 인위적으로 다스리지 않는다면 어떻게 인심을 이끌어갈 수 있습니까?”
노자가 말했다.
“인심을 교란시키지 않도록 조심하십시오. 인심이란 억누르면 내려가고 밀면 올라가는 것입니다.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는 사이에 우쭐해지기도 하고 화가 나기도 합니다. 그 부드러움은 억세고 강한 것을 유하게도 만듭니다. 모나고 날카로워서 모든 것을 깎아 다듬으려 들기도 합니다. 뜨겁게 달아오르면 타오르는 불길 같고, 차갑게 식으면 꽁꽁 언 얼음과도 같게 됩니다. 마음의 빠르기는 잠깐 사이에 이 세상 밖에까지 갔다오는 정도입니다. 가만히 있으면 심연처럼 고요하지만, 움직이기 시작하면 하늘로 날아 오릅니다. 성냈다 뽐냈다 하여 잡아매 둘 수가 없는 것이 인심인 것입니다.”
- 莊子(外篇) ; 第11篇 在宥[3]-
崔瞿問於老聃曰:「不治天下, 安臧人心?」
老聃曰:「女愼無攖人心. 人心排下而進上, 上下囚殺, 淖約柔乎剛疆. 廉劌彫琢, 其熱焦火, 其寒凝氷. 其疾俛仰之間而再撫四海之內, 其居也淵而靜, 其動也懸而天. 僨驕而不可係者, 其唯人心乎!
(최구문어노담왈:[불치천하, 안장인심?]
노담왈:[여진무영인심. 인심배하이진상, 상하수살, 뇨약유호강강. 렴귀조탁, 기열초화, 기한응빙. 기질면앙지간이재무사해지내, 기거야연이정, 기동야현이천. 분교이불가계자, 기유인심호!])
崔 성씨 최,높을 최 1. 성(姓)의 하나 2. 움직이는 모양 3. 높다 4. 높고 크다 5. 뒤섞이다 6. 헛되이 보내다 [부수]山(뫼산)
瞿 놀랄 구,창 구 1. 놀라다 2. (가슴이)두근거리다 3. 두려워하다(=懼) 4. 놀라서 보는 모양 5. (사방으로 통하는)거리 6. 창(槍: 무기의 하나), 병기(兵器) 이름 [부수]目(눈목)
聃 귓바퀴 없을 담 1. 귓바퀴가 없다 2. 주(周)의 나라의 이름 3. 노자(老子)의 이름 [부수]耳(귀이)
臧 착할 장 1. 착하다 2. 좋다 3. 감추다 4. 숨다 5. 종, 노복 6. 곳집(곳간(庫間)으로 지은 집) 7. 오장(五臟) 8. 회뢰 9. 뇌물(賂物) [부수]臣(신하신)
攖 얽힐 영 1. 얽히다 2. 어지럽다 3. 구속하다(拘束--) 4. 묶다 5. (잡아당겨)매다 6. 집다 7. 다가서다 8. 접근하다(接近--) [부수]扌(재방변)
排 밀칠 배,풀무 배 1. 밀치다, 밀어젖히다, 밀어 열다 2. 밀어내다 3. 물리치다, 배척하다(排斥--) 4. 늘어서다, 차례(次例)로 서다 5. 바로잡다, 교정하다(矯正--) 6. 박두하다(迫頭--), 눈앞에 다가오다 7. 소통하다(疏通--),... [부수]扌(재방변)
囚 가둘 수 1. 가두다, 갇히다, 자유를 빼앗다 2. 갇히다, 감금되다(監禁--) 3. 사로잡다 4. 죄인(罪人), 죄를 짓고 갇힌 사람 5. 옥사(獄舍) 6. 포로(捕虜), 인질(人質) [부수]囗(큰입구몸)
淖 진흙 뇨,진흙 요,얌전할 작 1. 진흙 2. 진창(땅이 질어서 질퍽질퍽하게 된 곳) 3. 젖다(물이 배어 축축하게 되다) 4. 온화하다(溫和--) 5. 보드랍다 6. 빠지다 a. 얌전하다 (작) [부수]氵(삼수변)
約 맺을 약,부절 요,기러기발 적 1. 맺다 2. 약속하다(約束--) 3. 묶다, 다발을 짓다 4. 검소(儉素)하게 하다, 줄이다 5. 오그라들다 6. 인색하다(吝嗇--), 아끼다 7. 멈추다, 말리다 8. 쇠하다(衰--) 9. 갖추다 10. 구부리다 11. 따르다,... [부수]糸(실사)
剛 굳셀 강 1. 굳세다 2. 강직하다(剛直--) 3. 억세다 4. 단단하다 5. 성하다(盛--: 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한창이다 6. 강철(鋼鐵) 7. 강일(剛日: 일진(日辰)의 천간(天干)이 갑(甲)ㆍ병(丙)ㆍ무(戊)ㆍ... [부수]刂(선칼도방)
疆 지경 강 1. 지경(地境: 땅의 가장자리, 경계) 2. 끝, 한계(限界) 3. 나라, 국토(國土) 4. 강토(疆土: 나라의 경계 안에 있는 땅), 강역(疆域: 영토의 구역) 5. 지경(地境: 땅의 가장자리, 경계) 정하다(定--) 6.... [부수]田(밭전)
廉 청렴할 렴,청렴할 염,살필 렴,살필 염 1. 청렴하다(淸廉--), 결백하다(潔白--) 2. 검소하다(儉素--), 검박하다(儉朴--: 검소하고 소박하다) 3. 살피다, 살펴보다 4. 날카롭다, 예리하다(銳利--) 5. 끊다, 끊어지다 6. 곧다, 바르다 7. 값싸다,... [부수]广(엄호)
劌 상처 입힐 귀,상처 입힐 궤 1. 상처(傷處) 입히다 2. 쪼개다, 가르다 3. 만나다 4. 가시, 침 a. 상처(傷處) 입히다 (궤) b. 쪼개다, 가르다 (궤) c. 만나다 (궤) d. 가시, 침 (궤) [부수]刂
彫 새길 조 1. 새기다, 칼 따위로 파다 2. 꾸미다, 수식하다 3. 아로새기다, 금은 보석(寶石) 따위를 박다 4. 쪼다, 쪼아먹다 5. 다스리다 6. 시들다 7. 줄의 열매 [부수]彡(터럭삼)
琢 다듬을 탁 1. (옥을)다듬다 2. 닦다, 연마하다(硏磨ㆍ練磨ㆍ鍊磨--) 3. (부리로)쪼다 4. 꾸미다 5. 선택하다(選擇--) 6. 골라 뽑다 [부수]王(구슬옥변)
焦 탈 초 1. 타다 2. 그을리다 3. 태우다 4. 탄내 나다 5. 바삭바삭하다 6. 초조(焦燥)하게 굴다 7. 안달하다(속을 태우며 조급하게 굴다) 8. 애태우다 [부수]灬(연화발)
凝 엉길 응 1. 엉기다(한 덩어리가 되면서 굳어지다), 한데 뭉치어 붙다 2. 얼다, 얼어붙다 3. 차다, 춥다 4. 굳다, 굳어지다, 굳어지게 하다 5. 모으다, 집중하다(集中--) 6. 머무르다, 한 곳에 멎다 7. 그치다,... [부수]冫(이수변)
氷 얼음 빙,엉길 응 1. 얼음, 고체(固體) 2. 기름 3. 지방(脂肪) 4. 전동(箭桐) 뚜껑 5. 식히다, 서늘하게 하다 6. 얼다 7. 깨끗하다, 투명하다(透明--) a. 엉기다(한 덩어리가 되면서 굳어지다) (응) b. 얼어붙다 (응) [부수]水(물수)
疾 병 질 1. 병(病), 질병(疾病) 2. 괴로움, 아픔 3. 흠, 결점(缺點) 4. 불구자(不具者) 5. 높은 소리 6. 해독(害毒)을 끼치는 것 7. 빨리, 급(急)히, 신속하게(迅速--) 8. (병을)앓다, 걸리다 9. 괴롭다, 괴로워하다... [부수]疒(병질엄)
俛 힘쓸 면,숙일 부 1. 힘쓰다 2. 노력하다(努力--) 3. 부지런히 일하는 모양 a. 숙이다 (부) b. 굽히다 (부) [부수]亻(사람인변)
仰 우러를 앙 1. 우러러보다, 경모하다(景慕--), 앙모하다(仰慕--) 2. 의지하다(依支--), 의뢰하다(依賴--) 3. 머리를 쳐들다 4. 높다 5. 마시다 6. 명령(命令) [부수]亻(사람인변)
撫 어루만질 무 1. 어루만지다 2. (손으로)누르다 3. (손에)쥐다 4. 치다, 두드리다 5. 위로하다(慰勞--) 6. 기대다 7. 사랑하다 8. 좇다, 따르다 9. 덮다 10. 돌다, 순찰하다(巡察--) [부수]扌(재방변)
懸 달 현 1. 달다, 매달다, 달아매다 2. 매달리다, 늘어지다 3. (상을)걸다 4. 현격하다 5. 멀다 6. 멀리 떨어지다, 동떨어지다 7. 헛되다 8. 빚 9. 헛되이 10. 멀리 [부수]心(마음심)
僨 넘어질 분 1. 넘어지다 2. 실패하다(失敗--) 3. 움직이다, 떨치다 4. 세찬 기세(氣勢) 5. 막을 수 없는 기세(氣勢) [부수]亻
驕 교만할 교 1. 교만하다(驕慢--) 2. 경시하다(輕視--) 3. 오만하다(傲慢--) 4. (말이)길들여지지 않다 5. (말이)굳세다 6. 씩씩하다 7. 속이다, 기만하다(欺瞞--) 8. 사랑하다, 총애하다(寵愛--) 9. 제멋대로 하다...[부수]馬(말마)
係 맬 계 1. 매다 2. 이어매다 3. 묶다 4. 잇다 5. 얽다 6. 매달다 7. 매달리다 8. 끈, 줄 9. 혈통(血統) 10. 핏줄 11. 죄수(罪囚) 12. 실마리 13. 계사(繫辭: 주역의 괘의 설명) 14. 사무 구분(區分)에서 가장... [부수]亻(사람인변)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