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外篇 14 天運 1
莊子 - 外篇 14 天運 1
141` 상황이란 (외편:14.천운,1)
- 장자(외편) ; 제14편 천운[1]-
“하늘은 움직이고 있는 것인가? 땅은 제자리에 그대로 있는 것인가? 해와 달은 서로 자리를 놓고 다투고 있는 것인가? 누가 이것들을 주관하는가? 누가 이것들을 질서 있게 유지하는가? 누가 아무 일도 하지 않으면서 이것들을 밀어 그렇게 되게 하는가?
땅은 틀로 묶여 있어 그렇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인가? 하늘은 움직이며 돌아서 스스로 멈출 수도 없게 되어 있는 것인가? 구름이 비를 오게 하는가? 비가 구름을 만드는가? 누가 구름이 일고 비를 내리게 하는가? 누가 아무 일도 하고 있지 않으면서 재미로 그렇게 추진하는가? 바람은 북쪽에서 생겨나서 서쪽으로 불었다 동쪽으로 불었다 하기도 하며, 위쪽으로 불면서 빙빙 돌기도 한다. 누가 바람을 불고 마시고 하는 것일까? 누가 아무 일도 하고 있지 않으면서 바람을 부채질하는가? 어째서 그런지 알고 싶다.”
무함이 말했다. “내가 말해드리지요. 하늘에는 육극(六極)과 오상(五常)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제왕이 이것을 따르면 나라가 다스려지고 이것을 거스르면 흉해지는 것입니다. 구주(九疇)와 낙서(洛書)에 기록된 것을 보면, 정치가 완성되고 덕이 갖추어지면 온 세상을 햇볕처럼 비추게 되어, 세상사람들은 그 임금을 떠받들게 되는데, 이런 분을 상황(上皇)이라 부르는 것입니다.”
- 莊子(外篇) ; 第14篇 天運[1]-
「天其運乎? 地其處乎? 日月其爭於所乎? 孰主張是? 孰維綱是? 孰居无事而推行是? 意者其有機緘而不得已邪? 意者其運轉而不能自止邪? 雲者爲雨乎? 雨者爲雲乎? 孰隆施是? 孰居无事淫樂而勸是? 風起北方, 一西一東, 在上彷徨, 孰噓吸是? 孰居无事而披拂是? 敢問何故?」
巫咸祒曰:「來! 吾語女. 天有六極五常, 帝王順之則治, 逆之則凶. 九洛之事, 治成德備, 監照下土, 天下戴之, 此謂上皇.」
(천기운호? 지기처호? 일월기쟁어소호? 숙주장시? 숙유강시? 숙거무사이추행시? 의자기유기함이부득이야? 의자기운전이불능자지야? 운자위우호? 우자위운호? 숙륭시시? 숙거무사음락이권시? 풍기북방, 일서일동, 재상방황, 숙허흡시? 숙거무사이피불시? 감문하고?)
무함초왈:[래, 오어녀. 천유육극오상, 제왕순지즉치, 역지즉흉. 구락지사, 치성덕비, 감조하토, 천하재지, 차위상황.])
爭 다툴 쟁 1. 다투다 2. 논쟁하다(論爭--) 3. 다투게 하다 4. 간하다(諫--: 웃어른이나 임금에게 옳지 못하거나 잘못된 일을 고치도록 말하다) 5. 경쟁하다(競爭--) 6. 모자라다 7. 차이(差異) 나다 8. 다툼 9. 싸움...[부수]爪(손톱조)
張 베풀 장 1. 베풀다(일을 차리어 벌이다, 도와주어서 혜택을 받게 하다) 2. 어떤 일을 벌이다 3. 기세(氣勢)가 오르다 4. 세게 하다, 성(盛)하게 하다 5. 넓히다, 크게 하다 6. 크게 떠벌이다 7. 내밀다, 드러내다... [부수]弓(활궁)
維 벼리 유 1. 벼리(그물 코를 꿴 굵은 줄ㆍ일이나 글의 뼈대가 되는 줄거리) 2. 바(밧줄) 3. 구석 4. 오직 5. 발어사(發語辭) 6. 조사(助詞) 7. 생각하다 8. 유지하다 9. 매다
[부수]糸(실사)
綱 벼리 강 1. 벼리(그물 코를 꿴 굵은 줄ㆍ일이나 글의 뼈대가 되는 줄거리) 2. 사물(事物)을 총괄하여 규제 하는 것 3. 대강(동류의 사물을 구별한 유별) 4. 줄(무엇을 묶거나 동이는 데에 쓸 수 있는 가늘고 긴... [부수]糸(실사)
機 틀 기 1. 틀, 기계 2. 베틀 3. 기틀, 고동(기계 장치) 4. 재치 5. 기교(技巧) 6. 거짓 7. 허위 8. 기회(機會) 9. 때, 시기(時期) 10. 계기(契機) 11. 권세(權勢) 12. 갈림길, 분기점(分岐點) 13. 찌(글을 써서...[부수]木(나무목)
緘 봉할 함 1. 봉하다(封--) 2. 꿰매다 3. 묶다 4. 새끼줄 5. 서류함(書類函) 6. 봉투(封套) 7. 편지(便紙ㆍ片紙) 8. 서신(書信) [부수]糸(실사)
隆 높을 륭,높을 융 1. 높다 2. 높이다 3. 두텁다 4. 성하다(盛--: 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5. 후하다(厚--) 6. 성대하다(盛大--) [부수]阝(좌부변)
淫 음란할 음,장마 음,요수 요,강 이름 염 1. 음란하다(淫亂--) 2. 탐하다(貪--), 욕심내다 3. 과하다(過--), 지나치다 4. 간사하다(奸邪--: 마음이 바르지 않다), 사악하다(邪惡--) 5. 도리(道理)에 어긋나다 6. 어지럽다 7. 어지럽히다, 미혹... [부수]氵(삼수변)
彷 헤맬 방,비슷할 방 1. 헤매다, 거닐다 2. 배회하다(徘徊--) 3. 비슷하다, 어울리다 4. 확연히 구별할 수 없는 모양 5. 벌레 이름 [부수]彳(두인변)
徨 헤맬 황 1. 헤매다, 방황하다(彷徨--) 2. 노닐다 3. 배회하다(徘徊--) 4. 어정거리다 5. (마음이)불안하다(不安--) [부수]彳(두인변)
噓 불 허 1. 불다 2. 숨을 바깥으로 내보내다 3. 울다 4. 흐느껴 울다 5. 거짓말하다 6. 풍치다 7. 탄식하다(歎息ㆍ嘆息--) [부수]口(입구)
吸 마실 흡 1. 마시다, 빨다 2. 숨 들이쉬다 3. (피리를)불다 4. 끌다, 잡아당기다 5. 모이다, 모으다 6. 구름이 움직이는 모양 [부수]口(입구)
披 헤칠 피 1. 헤치다, 펴다 2. (끈을)풀다 3. 열다, 개척하다(開拓--) 4. 나누다, 쪼개다 5. 찢다, 찢어지다 6. (옷을)입다, 걸치다 7. 폭로하다(暴露--), 들추어내다 8. 쓰러지다, 넘어지다 9. 관 줄 [부수]扌(재방변)
拂 떨칠 불,도울 필 1. 떨치다 2. 사악(邪惡)함을 털다 3. 먼지를 털다 4. 거스르다 5. 어기다, 어긋나다, 위배되다(違背--) 6. 닦다, 씻다 7. 비틀다, 베다, 자르다 8. 멸시하다(蔑視--), 반대하다(反對--) 9. 덮다, 덮어... [부수]扌(재방변)
祒 사람 이름 초 1. 사람 이름 [부수]示(보일시)
洛 물 이름 락,물 이름 낙 1. 물의 이름 2. 강(江)의 이름 3. 서울 이름 4. 물방울 듣는 소리 5. 잇닿다(서로 이어져 맞닿다), 잇다 6. 다하다 [부수]氵(삼수변)
監 볼 감 1. 보다 2. 살피다 3. 경계하다(警戒--) 4. 독찰하다(督察--: 단속하여 살피다) 5. 거울삼다 6. 비추어보다 7. 감옥(監獄) 8. 마을 9. 관청(官廳), 관아(官衙) 10. 감찰(監察) 11. 거울 12. 성(姓)의 하나 [부수]皿(그릇명)
照 비칠 조 1. 비치다 2. 비추다 3. 밝다, 환하다 4. 견주어 보다 5. 대조하다(對照--) 6. 알리다 7. 빛, 햇빛 8. 영상 9. 거울 10. 증서(證書) 11. 증거(證據) [부수]灬(연화발)
六極五常 : 六種極凶惡的事。指凶短折、疾、憂、貧、惡、弱。見書經˙洪範。
父義﹑母慈﹑兄友﹑弟恭﹑子孝等五種倫常道德。書經˙泰誓下:「今商王受,狎侮五常。」孔穎達˙正義:「五常即五典,謂父義﹑母慈﹑兄友﹑弟恭﹑子孝五者。」
上下四方者 上'下+四方
四方者 前'後'左'右 或曰:東'南'西'北
上下四方 共計有六 曰:六合 曰:六極
(一)《書泰誓》狎侮五常(疏)五常即五典,謂父義、母慈、兄友、弟恭、子孝,五者人之常倫也。
(二)《禮》合生氣之和,道五常之行。(史記注)鄭玄曰:生氣陰陽也,五常五行也。
(三)《莊子天運》天有六極五常。(疏)五常謂五行,金木水火土,人倫之常性也。(四)《白虎通》五常者何?仁、義、禮、智、信也。
無有六極五常:其他版本譯成“天有六極五常”。原因是原文中的“無”字是簡化字无,“無”的簡化字无與“天”形近,或是排字時誤把“无”排成“天”字,因爲這樣看起來句子才通,而且六極注成東南西北加上上下這六方,有的版本五常注成金、木、水、火、土這五行,有的版本五常指仁、义、礼、智、信。表面上看,天有這六方五行象似很相配,但五常為仁、义、礼、智、信更合理。實際上這兩個解釋的版本六方五常都大不通,因爲這個無是指自然之道,不是指任何物相,即使是天也並不是頭上這個藍天白雲的天,這天也是道之空寂與自然。道是沒有方位的,道是虛無空寂、沒有任何物質具象和方位方所的,如果有這六極五常,就不是道,就不是天。道沒有方位方所,道沒有金、木、水、火、土這五行,道也沒有仁、义、礼、智、信這五常,道乃虛空寂滅之自然天成。 所以,“天有六極五常”這句話是不通的。如果原句是“無有六極五常”,從理上講看似合理,因爲“無”即空,即道之體,即道之相,天之實相。既是如此,那“無有六極五常”又極大之不通,道怎麽有六極五常?如把“無”字當有無之無,那麽這句就是“沒有六極五常”,此句便成了無頭有尾的句子,成了一句沒用的廢話。不管原文是天字還是無字,這句話的原始作者都是個不懂道的人,不管多麽會編故事撰文章,多麽盡心於道,都是用沙在煮飯。道非此篇所能談及。(注:此《天運》的作者並非莊子本人,而是莊子的崇拜者即後學所作)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