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조금씩배워보자/莊子

莊子 - 外篇 18 至樂 2

baraboda 2016. 8. 17. 11:05

莊子 - 外篇 18 至樂 2


173` 지극한 명예는 명예를 초월하는 데 있다 (외편:18.지락,2) 

무위는 지극한 즐거움이며 몸을 살리는 길이다  

- 장자(외편) ; 제18편 지락[2]- 

지금 세속에서 하는 짓이나 즐기는 것을 보아도 나는 그 즐거움이 정말 즐거움인지 정말 즐거움이 아닌지를 알지 못한다. 내가 세속에서 즐기는 것을 관찰한 바로는 모두가 무리 지어 나가면서 꼭 해야할 말, 안하고는 못 배길 일처럼 하면서 모두가 즐겁다고 말하고 있지만, 나는 그것이 즐거운 것인지, 즐겁지 못한 것인지 알지 못한다. 과연 즐거움이란 있는 것일까, 없는 것일까? 

나는 무위야말로 진실한 즐거움이라 여기고 있다. 그러나 세속에서는 그것을 크게 괴로운 것으로 여기고 있다. 그러므로 지극한 즐거움이란 즐거움을 초월하는데 있고, 지극한 명예란 명예를 초월하는데 있다고 하는 것이다. 

세상의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은 정말로 단정할 수 없는 것이다. 그렇지만 무위만은 옳고 그름의 판단에 단정을 내릴 수가 있다. 지극한 즐거움과 몸을 살려주는 길은 오직 무위에 있어서만 존재하는 것이다. 

하늘은 무위한데 그로 인해 맑다. 땅은 무위한데 그로 인해 안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들 두 가지 무위가 서로 합쳐져 만물 모두가 변화하는 것이다. 

아득하고 아련하여 그 근원을 알 수가 없다. 아득하고 아련하여 그 형체를 알 수가 없다. 만물이 번성하고 있지만 모두가 무위로부터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은 무위이면서도 하지 않는 것이 없다고 말하는 것이다. 

세상 사람으로 그 누가 무위할 수 있겠는가?  

- 莊子(外篇) ; 第18篇 至樂[2]- 

今俗之所爲與其所樂, 吾又未知樂之果樂邪, 果不樂邪? 吾觀夫俗之所樂, 擧群趣者誙誙然如將不得已, 而皆曰樂者, 吾未知之樂也, 亦未知之不樂也. 果有樂无有哉? 吾以无爲誠樂矣, 又俗之所大苦也. 故曰:「至樂无樂, 至譽无譽.」 

天下是非果未可定也. 雖然, 无爲可以定是非. 至樂活身, 唯无爲幾存. 請嘗試言之. 天无爲以之淸, 地无爲以之寧, 故兩无爲相合, 萬物皆化生. 芒乎芴乎, 而无從出乎! 芴乎芒乎, 而无有象乎! 萬物職職, 皆從无爲殖. 故曰天地无爲也而无不爲也, 人也孰能得无爲哉! 

(금속지소위여기소락, 오우미지락지과락야, 과불락야? 오관부속지소락, 거군취자경경연여장부득이, 이개왈락자, 오미지지락야, 역미지지불락야. 과유락무유재? 오이무위성락의, 우속지소대고야. 고왈:[지락무락, 지예무예.]

천하시비과미가정야. 수연, 무위가이정시비. 지락활신, 유무위기존. 청상시언지. 천무위이지청, 지무위이지녕, 고양무위상합, 만물개화생. 황호홀호, 이무종출호! 홀호황호, 이무유상호! 만물직직, 개종무위식. 고왈천지무위야이무불위야, 인야숙능득무위재!)


譽 기릴 예,명예 예  1. 기리다 2. 즐기다(=豫) 3. 찬양하다(讚揚--) 4. 칭찬하다(稱讚--) 5. 바로잡다 6. 명예(名譽) 7. 영예(榮譽) 8. 좋은 평판 9. 칭찬(稱讚) 10. 찬양(讚揚) [부수]言(말씀언)

幾 몇 기  1. 몇, 얼마, 어느 정도 2. 그 3. 거의 4. 어찌 5. 자주, 종종 6. 조용히, 조용하고 공손(恭遜)하게 7. 바라건대, 원하건대 8. 가, 언저리 9. 기미(幾微ㆍ機微), 낌새 10. 조짐(兆朕), 징조(徵兆) 11....[부수]幺(작을요)

嘗 맛볼 상  1. 맛보다 2. 음식을 맛보다 3. 경험하다(經驗--) 4. 시험하다(試驗--) 5. 체험하다(體驗--) 6. 겪다 7. 가을의 제사(祭祀) 8. 일찍이 9. 과거에(過去-) 10. 이전에 11. 시험삼아 [부수]口(입구)

芒 까끄라기 망,황홀할 황  1. 까끄라기(벼, 보리 따위의 깔끄러운 수염) 2. 가시, 비늘 3. 빛, 빛살 4. 억새 5. 칼날, 봉망(鋒鋩: 창, 칼 따위의 뾰족한 끝) 6. 독초(毒草) 이름 7. 북망산(北邙山: 사람이 죽어서 묻히는 곳을 이르는...[부수]艹(초두머리)

芴 황홀할 홀,순무 물  1. 황홀하다 2. 희미하다(稀微--) 3. 밝지 아니하다 4. 어리석다 5. 아둔한 모양 a. 순무(십자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물) b. 빽빽하다 (물) [부수]艹(초두머리)

職 직분 직  1. 직분(職分) 2. 직책(職責) 3. 벼슬 4. 공물(貢物) 5. 일 6. 사업(事業) 7. 맡다 8. 오로지 9. 주로 [부수]耳(귀이)

殖 불릴 식  1. 붇다, 번성하다(蕃盛ㆍ繁盛--) 2. (초목이)번식하다(繁殖ㆍ蕃殖ㆍ蕃息--) 3. 자라다 4. 불리다, 늘어나다 5. 키우다 6. (모종을)심다 7. 세우다, 수립하다(樹立--) 8. 바르다, 반듯하다 [부수]歹(죽을사변)

孰 누구 숙,익을 숙  1. 누구 2. 무엇 3. 어느 4. 익다 5. 여물다 6. 무르익다 7. 익히다 8. 정통하다 9. 무르게 되다 10. 숙련하다(熟鍊ㆍ熟練--) 11. 익숙하다 [부수]子(아들자)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