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조금씩배워보자

公孫丑章句上 - 02 (3/3) <浩然之氣> 20150503 3/3 20150503 02-22 曰伯夷伊尹何如 曰不同道 非其君不事 非其民不使 治則進 亂則退 伯夷也 何事非君 何使非民 治亦進 亂亦進 왈백이이윤하여 왈부동도 비기군불사 비기민불사 치즉진 난즉퇴 백이야 하사비군 하사비민 치역진 난역진 伊尹也 可以仕則仕 可以止則止 可以久則久 可以速則速 孔子也 皆古聖人也 吾未能有行焉 乃所願則學孔子也이윤야 가이임즉임 가이지즉지 가이구즉구 가이속즉속 공자야 개고성인야 오미능유행언 급소원즉학공자야 “백이나 이윤은 어떻습니까?” “서로 걸어 온 길이 다르다. 군왕다운 군왕이 아니면 섬기지 않고, 백성다운 백성이 아니면 부리지 않고, 평화시절에는 나아가고, 난세에는 물러 선 이가 백이요, 누구를 섬긴들 군왕이 아니며, 누구를 부린들 백성이 아니랴. 평화시절에도 나아 가고. 난세에도 나아.. 더보기
公孫丑章句上 - 02 (2/3) <浩然之氣> 20150502 2/3 20150502 02-11 敢問夫子 惡乎長 曰我知言 我善養吾浩然之氣 감문부자 오호장 왈아지언 아선양오호연지기浩(호)넓을, (고)술 거를 “그러면 선생님이 남보다 나으신 점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나는 말을 알고, 나는 나의 넓고 큰 기상을 잘 기를 줄 안다.” 02-12 敢問何爲浩然之氣 曰難言也 감문하위호연지기 왈난언야 “넓고 큰 기상이란 도대체 무엇을 말하는 것입니까? “한 마디로 말하기는 어렵다. 02-13 其爲氣也 至大至剛 以直養而無害 則塞於天地之間 기위기야 지대지강 이직양이무해 즉한어천지지간 그 기상이란 매우 크고 아주 강해서 그대로 흠결 없 이 길러 내면,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히 차게 된다. 02-14 其爲氣也 配義與道 無是 餒也 기위기야 배의여도 무시 뇌야 餒(뇌)주릴 / 配(.. 더보기
公孫丑章句上 - 02 (1/3) <浩然之氣> 20150501 1/3 20150501 02-01 公孫丑問曰 夫子加齊之卿相 得行道焉 雖由此覇王 不異矣 如此則動心 否乎 孟子曰 否我四十不動心 공손추문왈 부자가제지경상 득행도언 수유차패왕 불이의 여차즉동심 부호 맹자왈 부아사십부동심夫子덕행이 높아 모든 사람의 스승이 될 만한 사람의 높임말, 남편의 높임말, 공자의 높임말 /卿(경)벼슬覇(패)으뜸, 두목 공손추가 묻기를 “선생님이 제나라 재상의 지위에 올라 도(道)를 실천하실 수 있게 된다면 비록 패도가 되었거나 왕도가 되었거나 달리 여기실 것이 없을 것 같 은데 그러시다면 마음이 흔들리시겠습니까? 그렇지 않으시겠습니까?” “아니다. 내 나이 40이라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다.” 02-02 曰若是則夫子過孟賁 遠矣 曰是不難 告子 先我不動心 왈양시즉부자과맹분 원의 왈시불난 고자 선.. 더보기
公孫丑章句上 - 01 <管仲晏子> 20150429 公孫丑章句上 20150429 01-01 公孫丑問曰 夫子當路於齊 管仲晏子之功 可復許乎 공손추문왈 부자당로어제 관중안자지공 가부허호晏(안)늦을 01-02 孟子曰 子誠齊人也 知管仲晏子而已矣 맹자왈 자성제인야 지관중안자이이의 01-03 或問乎曾西曰 吾子與子路孰賢 曾西蹴然曰 吾先子之所畏也 曰然則吾子與管仲孰賢 曾西艴然不悅曰 혹문호증서왈 오자여자로숙현 증서축연왈 오선자지소외야 왈연즉오자여관중숙현 증서불연부열왈蹴(축)찰 /艴(불, 발)발끈할 / 悅(열)기쁠 爾何曾比予於管仲 管仲 得君 如彼其專也 行乎國政 如彼其久也 功烈 如彼其卑也 爾何曾比予於是이하증비여어관중 관중 득군 여피기전야 행호국정 여피기구야 공렬 여피기비야 이하증비여어시爾(이)너 /烈(열,렬)매울, 세찰 /卑(비)낮을 01-04 曰管仲 曾西之所 不爲也 而子爲我願.. 더보기
梁惠王章句下 - 16 <嬖人臧倉> 20150428 20150428 16-01 魯平公將出 嬖人臧倉者 請曰他日君出則必命有司所之 今乘輿已駕矣 有司未知所之 敢請 노평공장출 폐인장창자 청왈타일군출즈필명유사소지 금승여이가의 유사미지소지 감청嬖(폐)사랑할 /臧(장)착할 /倉(창)곳집 / 駕(가)멍에 孟子 曰何哉 君所謂輕身 以善於匹夫者 以爲賢乎 禮義由賢者出而孟子之後喪 踰前喪 맹자 왈하재 군소위경신 이선어필부자 이위현호 예의유현자출이맹자지후상 유전상踰(유)넘을, (요)멀 君無見焉 公曰諾군무견언 공왈낙諾(낙)허락할, 16-02 樂正子入見曰 君奚爲不見孟軻也 曰或告寡人曰 孟子之後喪 踰前喪 是以不往見也 曰何哉 약정자입견왈 균계위불견맹가야 왈혹고과인왈 맹자지후상 유전상 시이불왕견야 왈하재軻(가)수레, 사람이름 君所謂踰者 前以士 後以大夫 前以三鼎而後以五鼎與 曰否 謂棺槨衣衾之美也 .. 더보기
梁惠王章句下 - 15 <效死勿去> 20150427 20150427 15-01 滕文公問曰 滕小國也 竭力以事大國 則不得免焉 如之何則可 孟子對曰 昔者 大王 居邠 狄人侵之 등문공문왈 등소국야 갈력이사대국 즉부득면언 여지하즉가 맹자대왈 석자 대왕 거빈 적인침지竭(갈,걸)다할 /免(면)면할, (문)해산할 /邠(빈)나라이름 事之以皮幣 不得免焉 事之以犬馬 不得免焉 事之以珠玉 不得免焉 乃屬其耆老而告之曰 狄人之所欲者 사지이피폐 부득면언 사지이견마 부득면언 사지이주옥 부득면언 내속기기로이고지왈 적인지소욕자幣(폐)화폐, 비단 / 耆(기)늙을, (지)이룰 吾土地也 吾聞之也 君子不以其所以養人者 害人 二三者 何患乎無君 我將去之 去邠踰梁山 오토지야 오문지야 군자불이기소이양인자 해인 이삼자 하환호무군 아장거지 거빈유양산踰(유)넘을, (요)멀 /梁(량, 양)들보 邑于岐山之下居焉 邠人曰.. 더보기
梁惠王章句下 - 14 <齊人將築薛> 20150426 20150426 14-01 滕文公問曰 齊人 將築薛 吾甚恐 如之何則可 등문공문왈 제인 장축설 오심공 여지하즉가薛(설)성씨 / 恐(공)두려울 14-02 孟子對曰 昔者大王 居邠 狄人侵之 去之岐山之下 居焉 非擇而取之 不得已也 맹자대왈 석자대왕 거빈 적인침지 거지기산지하 거언 비택이취지 부득이야邠(빈)나라이름 / 狄(적)오랑캐 / 岐(기)갈림길 /擇(택)가릴, (역)사람이름 14-03 苟爲善 後世子孫 必有王者矣 君子創業垂統 爲可繼也 若夫成功則天也 君如彼何哉 彊爲善而已矣 구위선 후세자손 필유왕자의 군자창업수통 위가계야 약부성공즉천야 군여피하재 강위선이이의苟(구)진실로, 구차할 /垂(수)드리울 /繼(계)이을 / 彊(강)굳셀, 힘쓰다 ● 등문공이 묻기를 “제나라 사람들이 설(薛) 땅에다가 성을 쌓으려 하는데 저는 적지.. 더보기
梁惠王章句下 - 13 <間於齊楚> 20150425 20150425 13-01 滕文公問曰 縢小國也 間於齊楚 事齊乎 事楚乎 등문공문왈 등소국야 간어제초 사제호 사초호滕(등)물 솟을 / 藤(등)등나무 13-02 孟子對曰 是謀非吾所能及也 無已則 有一焉 鑿斯池也 築斯城也 與民守之 效死而民弗去 則是可爲也 맹자대왈 시모비오소능급야 무이즉 유일언 착사지야 축사성야 여민수지 효사이민불거 즉시가위야鑿(착)뚫을, (조)구멍, (촉)새길 /斯(사)이, 천할 / 效(효)본받을 등문공이 묻기를 “등나라는 조그마한 나라입니다. 제·초 두 나라 사이에 끼어 있으니 제나라를 섬길까요? 초나라를 섬길까요?” “그런 정책에 대해서는 나는 무어라 이야기할 수 없습니다. 꼭 어떻게 하여 달라시 면 한 가지 방법은 있습니다. 연못을 더 파고 성벽을 더 쌓아 민중들과 함께 지키 되 죽더라도 백..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