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조금씩배워보자/莊子

莊子(雜篇) ; 第33篇 天下 10

莊子(雜篇) ; 第33篇 天下 10


353` 법가(法家)의 사상 (잡편:33.천하,10) 

- 장자(잡편) ; 제33편 천하[10]- 

공정하여 편벽 되지 않고 평이하므로 사심을 갖지 않고, 모든 관계를 끊고 주로 내세우는 것이 없으며, 사물을 따르고 자기와 남의 구별을 세우지 않는다. 여러 가지 일에 대하여 생각하고 근심하려 하지 않고, 지혜로써 계책을 쓰지 않는다. 외물에 대하여 자기 위주로 가리는 것이 없으며, 외물과 어울려 함께 행동한다. 

옛날의 도술을 닦은 사람들 중에 이러한 입장을 견지한 사람이 있었다. 팽몽과 전변과 신도가 그런 학설을 듣고 좋아했다. 그들은 만물은 모두 평등한 것임을 첫째로 내세우면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하늘이 사람을 덮어주기는 하지만 위에 실어주지는 못한다. 땅은 사람을 위에 실어주기는 하지만 덮어주지는 못한다. 위대한 도는 모든 것을 포용하지만 그것을 말로 표현하지는 못한다.” 

그들은 만물에는 가능한 것도 있지만 불가능한 것도 있음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자기 생각에 따라 선택을 하게 되면 모든 물건에 공평할 수 없고, 말로써는 도를 다 표현할 수 없다. 도는 모든 것을 남김없이 포용하는 것이다.” 


- 莊子(雜篇) ; 第33篇 天下[10]- 

公而不黨, 易而无私, 決然无主, 趣物而不兩, 不顧於慮, 不謀於知, 於物无擇, 與之俱往, 古之道術有在於是者. 彭蒙田騈愼到聞其風而悅之. 齊萬物以爲首, 曰:「天能覆之而不能載之, 地能載之而不能覆之, 大道能包之而不能辯之.」 知萬物皆有所可, 有所不可, 故曰:「選則不徧, 敎則不至, 道則无遺者矣.」 

(공이불당, 역이무사, 결연무주, 취물이불량, 불고어려, 불모어지, 어물무택, 여지구왕, 고지도술유재어시자, 맹몽전병신도문기풍이열지. 제만물이위수, 왈:[천능부지이불능재지, 지능재지이불능부지, 대도능포지이불능변지.] 지만물개유소가, 유소불가, 고왈:[선즉불편, 교즉부지, 도즉무유자의.])


法家 제자백가의 하나. 법가는 전국시대에 출현해서 유가의 자연법적인 예에 대해 실정법적인 법의 우위를 주장했다. 예(禮)가 지연적ㆍ혈연적 공동체를 결합하는 것이었지만, 춘추 중기 이후의 생산력의 발전에 의한 공동체의 붕괴는 예를 대신한 법에 의한 지배를 요구했다. 이 사실을 간파한 법가의 사상가들은 한결같이 발전적 역사관을 갖고 시대에 부응하는 지배를 실시할 것을 주장하였다. 거기에는 또 하나의 인간관이 있다. 즉 법의 실질은 상과 벌이지만, 법의 유효성의 전제는, 인간이 욕망의 충족을 추구하는 존재이며, 그것은 또한 상벌에 의해 통제할 수 있다고 하는 견해이다.

이 역사관ㆍ인간관에 의거하여 군주의 일원적 지배와 부국강병을 달성하는 방법이 법가 이론의 중추가 된다. 위(魏)의 문후(文侯)로 일했던 이리(李理, B.C. 445~396)는 농업 정책에 개혁을 꾀하는 법령을 편찬하고, 상앙(, B.C. ? ~338)은 법령을 편집ㆍ공개하여 그에 따른 신상필벌(信賞必罰)을 단행, 부국강병책을 이루었다. 신불해(申不害, B.C. ? ~341)는 독특한 술론(術論)을 지녔는데, 그 술(術)이란 군주가 뜻하는 바를 신하가 모르게 하여 상벌의 위력으로써 신하로 하여금 그 능력을 다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신도(愼到, 생몰년 미상)는 인간 사회의 권위를 중시하여 권위에 의해 세(勢)를 이용할 때야말로 사람은 자기의 능력에 관계없이 타인을 제압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비자(韓非子)는 상앙의 법, 신불해의 술, 신도의 세를 비판 종합하여 법가 이론을 완성하였다. 이사(李斯, B.C. 280년경~208)는 한비자의 이론을 전면적으로 계승하여 진(秦)나라의 지배에 구체적으로 적용했다. 한(漢)나라도 표면적으로는 유교를 국교로 한 덕치주의를 표방했지만 그 내실은 법치주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법가 [法家] (철학사전, 2009., 중원문화)

黨 무리 당  1. 무리(모여서 뭉친 한 동아리), 한동아리 2. 마을, 향리(鄕里) 3. 일가(一家), 친척(親戚) 4. 바(所), 곳, 장소(場所) 5. 혹시(或是: 그러할 리는 없지만 만일에), 아마도 6. 거듭, 빈번히(頻繁-) 7.... [부수]黑(검을흑)

決 결단할 결,빠를 혈  1. 결단하다(決斷--), (승부를)가리다 2. 결정하다(決定--), 분별하다(分別--), 판단하다(判斷--) 3. 과감하다(果敢--) 4. 틔우다, 흐르게 하다 5. 터지다, 열리다 6. 자르다, 절단하다(切斷ㆍ截斷--)... [부수]氵(삼수변)

兩 두 량,두 양,냥 냥,냥 양  1. 두, 둘 2. 짝, 쌍 3. 두 쪽 4. 동등(同等)한 것 5. 기량(技倆ㆍ伎倆), 기능(機能) 6. 수레를 세는 단위(單位). 50승(乘) 7. 대(隊: 편제 단위. 25인) 8. 무게의 단위(單位) 9. 필(길이의 단위) 10....[부수]入(들입)

慮 생각할 려,생각할 여,사실할 록,사실할 녹  1. 생각하다 2. 이리저리 헤아려 보다 3.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4. 걱정하다 5. 어지럽게 하다 6. 맺다, 연결하다 7. 꾀하다 8. 흩뜨리다(흩어지게 하다) 9. 생각 10. 계획(計劃ㆍ計畫)... [부수]心(마음심)

往 갈 왕  1. 가다 2. (물품을)보내다, 보내 주다 3. 향하다(向--) 4. 과거(過去) 5. 옛날, 이미 지나간 일 6. 이따금 7. 일찍 8. 언제나 9. 뒤, 이후(以後) [부수]彳(두인변)

彭 성씨 팽,곁 방  1. 성(姓)의 하나 2. 땅의 이름 3. 나라의 이름 4. 부풀어 오르다, 불룩해지다 5. 띵띵하다(살이 몹시 찌거나 붓거나 하여 아주 팽팽하다) 6. 북치는 소리 a. 곁, 옆 (방) b. 방패(防牌ㆍ旁牌) (방) c.... [부수]彡(터럭삼)

騈 나란히 할 병,나란히 할 변  1. 나란히 하다 2. 늘어놓다 3. 늘어서다 4. 두 말이 한 멍에 매다 5. 패를 짓다 6. 굳은살, 혹(병적으로 불거져 나온 살덩어리) 7. 사물(事物)의 형용(形容) 8. 이웃 9. 땅의 이름 a. 나란히 하다 (변)... [부수]馬(말마)

覆 다시 복,덮을 부  1. 다시 2. 도리어 3. 엎어지다 4. 넘어지다 5. 되풀이하다 6. 사뢰다(웃어른에게 말씀을 올리다) 7. 알리다 8. 배반하다(背反ㆍ背叛--) a. 덮다 (부) b. 퍼지다 (부) c. 노리다 (부) d. 덮개 (부) e.... [부수]襾(덮을아)

辯 말씀 변,두루 미칠 편  1. 말씀 2. 이리저리 둘러대는 말 3. 문체(文體)의 이름 4. 말을 잘하다 5. (말에)조리(條理)가 있다 6. 교묘(巧妙)하게 말하다 7. 말다툼하다, 논쟁하다(論爭--) 8. 다투다, 변론하다(辯論--) 9. 말하다,... [부수]辛(매울신)

遺 남길 유,따를 수  1. 남기다, 남다 2. 끼치다, 전하다(傳--) 3. 잃다 4. 버리다, 유기하다(遺棄--) 5. 잊다 6. 두다, 놓다 7. 떨어지다, 떨어뜨리다 8. 빠지다, 빠뜨리다 9. 쇠퇴하다(衰退ㆍ衰頹--) 10. 빠르다 11. 더하다,... [부수]辶(책받침)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