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조금씩배워보자/莊子

莊子 - 外篇 11 在宥 7~8

莊子 - 外篇 11 在宥 7~8



110` 나라는 인위가 아닌 자연에 맡겨라 (외편:11.재유,7) 

- 장자(외편) ; 제11편 재유[7]- 

보통사람들은 모두 남이 자기에게 찬동하는 것을 좋아하고, 남이 자기와 의견이 다르면 싫어한다. 자기에게 찬동하는 것을 바라고, 자기와 의견이 다르기를 바라지 않는 것은 여러 사람 가운데서 뛰어나고 싶은 심리에서이다. 여러 사람 가운데서 뛰어나고 싶은 심리를 지녔다고 해서 어찌 늘 여러 사람들 가운데서 뛰어날 수가 있겠는가? 

여러 사람의 중론을 따라 편히 지내는 것이 좋고, 여러 사람들의 재주가 많을수록 좋은 것이다. 그런데도 인위적으로 나라를 다스리려는 사람들은 우왕·탕왕·문왕의 이 점만을 보고 그들의 환란은 보지 않는 사람들이다. 그러니 인위적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요행을 바라는 것이다. 

요행을 바라면서도 그의 나라를 잃지 않은 사람이 얼마나 있겠는가? 그의 나라를 온전히 보전한 사람은 만 명 중에 한 명도 안될 것이다. 그리고 그의 나라를 잃은 사람은 한 사람이 보존하였으면 만 명은 잃었을 것이다. 

슬프다!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들의 무지함이여! 나라를 다스린다는 것은 큰 물건을 소유하는 것이다. 큰 물건을 소유한 사람은 작은 물건들에 구애되어서는 안 된다. 사물을 다스리면서도 사물에 구애받지 않으면 모든 사물이 제대로 보존되게 된다. 사물을 제대로 보존하는 사람이 사물에 구애받지 않음을 알았다면 어찌 다만 천하 백성들을 다스리는 일만이 그렇지 않을 수가 있겠는가. 

천지사방을 드나들고 온 세상에 노닐되, 홀로 갔다 홀로 오는 것을 두고 일체를 홀로 소유하게 되는 독유(獨有)라 부르는 것이다. 홀로 모든 것을 소유하게 된 사람을 두고 지극히 귀한 사람이라 부르는 것이다. 


- 莊子(外篇) ; 第11篇 在宥[7]- 

世俗之人, 皆喜人之同乎己而惡人之異於己也. 同於己而欲之. 異於己而不欲者, 以出乎衆爲心也. 夫以出乎衆爲心者, 曷常出乎衆哉! 因衆以寧所聞, 不如衆技衆矣. 而欲爲人之國者, 此攬乎三王之利而不見其患者也. 此以人之國僥倖也. 幾何僥倖而不喪人之國乎! 其存人之國也, 無萬分之一. 而喪人之國也, 一不成而萬有餘喪矣. 悲夫, 有土者之不知也! 

夫有土者, 有大物也. 有大物者, 不可以物. 物而不物, 故能物物. 明乎物物者之非物也, 豈獨治天下百姓而已哉! 出入六合, 遊乎九州, 獨往獨來, 是謂獨有. 獨有之人, 是謂至貴. 

(세속지인, 개희인지동호기이오인지이어기야. 동어기이욕지. 이어기이불욕자, 이출호중위심야. 부이출호중위심자, 갈상출호중재! 인중이녕소문, 불여중기중의. 이욕위인지국자, 차람호삼왕지리이불견기환자야. 차이인지국요행야. 기하요행이불상인지국호! 기존인지국야, 무만분지일. 기상인지국야, 일불성이만유여상의. 비부, 유토자지부지야!

부유토자, 유대물야. 유대물자, 불가이물. 물이불물, 고능물물. 명호물물자지비물야, 기독치천하백성이이재! 출입육합, 유호구주, 독왕독래, 시위독유. 독유지인, 시위지귀.)


曷 어찌 갈,막을 알,할단새 할   1. 어찌, 어찌하여 2. 언제, 어느 때에 3. 누가, 누군가 4. 전갈(全蠍) 5. 어찌 ~하지 아니하냐? 6. 그치다 7. 해치다, 상하게 하다 [부수]曰(가로왈)

攬 가질 람,가질 남  1. 가지다 2. 잡아당기다 3. 손에 쥐다 4. 따다 5. (가려 뽑아서)취하다(取--) 6. 보다(=覽) [부수]扌(재방변)

僥倖 ①(거의 가능성(可能性)이 없는 어려운 일이)우연(偶然)히 잘 되어 다행(多幸)함  ②뜻밖에 얻는 행복(幸福)

僥 요행 요,속일 교  1. 요행(僥倖ㆍ徼幸) 2. 난쟁이 3. 기다란 모양 4. 바라다, 구하다(求--) a. 속이다 (교) b. 거짓말 하다 (교) [부수]亻(사람인변)

倖 요행 행  1. 요행(僥倖ㆍ徼幸) 2. 괴다 3. 사랑하다 4. 총애하다(寵愛--) [부수]亻(사람인변)

悲夫! [bēifū!]  1. 슬프도다!

土 [tǔ] 1.[건축] 흙. 토양. 2.[명사] 토지. 땅(덩이). 국토. 3.[형용사] 촌스럽다. 촌티 나다. 시류에 맞지 않다. 유행에 뒤지다. 고리타분하다. ↔[洋(yáng)]

岂 [qǐ] 번체 (豈) 어찌 기 1.[부사][문어] 어찌 …하겠는가, 어찌 …이란 말인가. [반어를 나타내며, ‘哪(nǎ)’·‘可(kě)’... 2.[명사] (Qǐ) 성(姓). 3. 고어에서 ‘凯(kǎi)’·‘恺(kǎi)’와 같음.

懷 품을 회  1. 품다 2. 임신하다(妊娠--) 3. 생각하다 4. 싸다, 둘러싸다 5. 따르다 6. 위로하다(慰勞--) 7. 달래다 8. 보내다, 보내어 위로하다(慰勞--) 9. 길들이다, 따르게 하다 10. 편안하다(便安--) 11. 이르다(어떤... [부수]忄(심방변)





111` 위대한 사람이란 아무것도 없는 사람이다 (외편:11.재유,8) 

- 장자(외편) ; 제11편 재유[8]- 

위대한 사람의 가르침은 형체에 그림자가 따르고 소리에 울림이 따르는 것처럼 질문이 있으면 거기에 응답을 하여 자기가 품고 있는 생각을 다 털어놓는다. 그래서 온 천하의 반려가 된다. 

그는 아무 소리도 없는 고요함에 몸을 두고, 일정한 방향도 없는 자유로운 행동을 한다. 허둥지둥 왔다갔다하고 있는 그대들을 이끌어 무한한 경지에 노닐게 할 것이다. 

그는 드나듦에 있어 의지하는 곳이 없고, 태양처럼 시작도 끝도 없다. 그의 신체의 모양은 만물과 크게 하나가 되어 있으며, 크게 하나가됨으로써 자기가 없다. 자기가 없는데 어찌 사물의 존재를 인식하겠는가? 

존재를 인식하고 있는 사람이란 옛날의 군자이며, 무만을 보고 있는 사람은 하늘과 땅의 벗인 것이다. 

- 莊子(外篇) ; 第11篇 在宥[8]- 

大人之敎, 若形之於影, 聲之於響. 有問而應之, 盡其所懷, 爲天下配. 處乎无響, 行乎无方. 挈汝適復之撓撓, 以遊无端. 出入无旁, 與日无始. 頌論形軀, 合乎大同, 大同而无己. 無己, 惡乎得有有! 覩有者, 昔之君子. 覩无者, 天地之友. 

(대인지교, 약형지어영, 성이어향. 유문이응지, 진기소회, 위천하배. 처호무향, 행호무방. 설여적복지요요, 이유무단. 출입무방, 여일무시. 송륜형구, 합호대동, 대동이무기. 무기, 오호득유유! 도유자, 석지군자. 도무자, 천지지우.)


挈 손에 들 설,새길 계  1. 손에 들다, 휴대하다(携帶--) 2. 거느리다, 이끌다 3. 이루다, 다스리다 4. 전하다(傳--), 나타내 보이다 5. 돕다 6. 알다, 총명하다(聰明--) 7. 급(急)한 모양 a. 새기다, 파서 새기다 (계) b. 끊다,... [부수]手(손수)

頌 칭송할 송,기릴 송,얼굴 용  1. 칭송하다(稱頌--), 기리다 2. 낭송하다(朗誦--) 3. 외우다, 암송하다(暗誦--) 4. 시체(詩體) 이름 5. 문체(文體) 이름 6. 점사(占辭: 점괘에 나타난 말) a. 얼굴, 용모(容貌) (용) b. 용서하다(容恕--),... [부수]頁(머리혈)

軀 몸 구  1. 몸, 신체(身體) 2. 좌(座: 불상을 세는 말) 3. 허우대 4. (말을 몰아 앞으로)나아가다

[부수]身(몸신) 

覩 볼 도  1. 보다(=覩) 2. 가리다, 분간하다(分揀--) 3. 분별하다(分別--) 4. 자세(仔細ㆍ子細)히 보다 5. 알다, 예견하다(豫見--) 6. 국명(國命) [부수]見(볼견)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 外篇 12 天地 1~2  (0) 2016.06.13
莊子 - 外篇 11 在宥 9  (0) 2016.06.10
莊子 - 外篇 11 在宥 6  (0) 2016.06.08
莊子 - 外篇 11 在宥 4~5  (0) 2016.06.04
莊子 - 外篇 11 在宥 1~3  (0) 2016.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