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조금씩배워보자/孟子

盡心章句上 - 03~04 < 求則得之 舍則失之> 20150922 20150922 03-01 孟子曰 求則得之 舍則失之 是求有益於得也 求在我者也 맹자왈 구즉득지 사즉실지 시구유익어득야 구재아자야 맹자가 말하기를 “구하면 얻을 것이요, 버리면 잃을 것이니, 그런 것을 구하면 얻음에 유익할 것이니, 이는 내게서 구하기 때문이다. 03-02 求之有道 得之有命 是求無益於得也 求在外者也 구지유도 득지유명 시구무익어득야 구재외자야 구하는 데에는 순리에 따라야 하고, 얻고 못얻음은 운명인 것이니, 그 밖의 것을 구하면 얻어도 별것 없다. 자기밖에 것을 구하기 때문이다.” - 준이생각 :나에게 있는 것을 구하면 그것을 얻는 것이 유익하지만, (나의) 밖에 있는 것을 구하면 그것을 얻는 것이 무익하다. 구함에 있어서는 도道가 있어야 하고, 얻음에 있어서는 명命이 .. 더보기
盡心章句上 - 01~02 <盡其心者 知其性也> 20150921 盡心章句上 20150921 01-01 孟子曰 盡其心者 知其性也 知其性則知天矣 맹자왈 진기심자 지기성야 지기성즉지천의盡(진)다할할,1. 다하다 2. 완수하다(完遂--) 3. 극치(極致)에 달하다(達--) 4. 최고에 달하다(達--) 5. 다 없어지다 6. 사망하다(死亡--) 7. 죽다 8. 모든 9. 전부의(全部-) 10. ~만 11. 다만 ~뿐性(성)성품,1. 성품(性品), 타고난 사람의 천성(天性) 2. 바탕 3. 성질(性質), 사물(事物)의 본질(本質) 4. 생명(生命), 목숨 5. 마음 6. 만유(萬有)의 원인(原因) 7. 성별(性別) 8. 남녀(男女), 자웅(雌雄)의 구별(區別)... 맹자가 말하기를 “자기의 마음을 다하면 자기의 본성을 알 수 있으니, 자기의 본성을 알면 하늘을 아는 것이다 01.. 더보기
告子章句下 - 16 <予不屑之敎誨> 20150918 20150918 16-01 孟子曰 敎亦多術矣 予不屑之敎誨也 者 是亦敎誨之而已矣 맹자왈 교역다술의 여불설지교회야 자 시역교회지이이의予(여)나,줄,(예)미리/屑(설)가루,달갑게 여길/誨(회)가르칠 맹자 “교육하는 데도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것이니, 내가 그를 가르치고 깨우쳐 주는 것을 그리 흔쾌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도, 그것도 그를 가르치고 깨우쳐 주는 한 방법인 것이다.” - 준이생각 : 배우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상대가 흔쾌히 가르치고 깨우쳐 주려 하지 않아도 깨우침을 얻을수 있다라고 생각해본다. 배우고자 하는 사람의 마음가짐이 문제이지, 그 환경이 어떠하니, 돈이 있니 없니, 이런 것은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뜻이 아닐까 나름 진지하게 생각해본다. - 참고자료 : 다술(多術)은 한 가지가 아님을 말한다... 더보기
告子章句下 - 15 <知生於憂患而死於安樂> 20150917 20150917 15-01 孟子曰 舜發於畎畝之中 傅說 擧於版築之間 膠隔擧於魚鹽之中 管夷吾 擧於士 孫叔敖 擧於海 맹자왈 순발어견무지중 부열 거어판축지간 교격거어어염지중 관이오 거어사 손숙오 거어해畎(견)밭도랑/畝(무,묘)이랑/發(발)필/膠(교)아교,(호)어긋날,(뇨,요)어지러운모양/管(관)대롱,주관할/傅(부)스승/說(설)말씀,(세)달랠,(열)기뻐할,(탈)벗을/傅說-중국(中國) 은(殷)나라 고종(高宗) 때의 재상(宰相), 토목(土木) 공사(工事)의 일꾼이었는데, 당시(當時)의 재상(宰相)으로 등용(登用ㆍ登庸)되어 중흥(中興)의 대업을 이루었음 百里奚 擧於市백리해 거어시 맹자 “순은 밭갈이 하다가 출세하고, 부열은 토수 노릇 하다가 등용되고, 교격은 생선장사 하다가 등용되고, 관이오,는 감옥지기에서 등용되고,.. 더보기
告子章句下 - 13~14 <魯欲使樂正子 爲政> 20150916 20150916 13-01 魯欲使樂正子 爲政 孟子曰 吾聞之 喜而不寐 노욕사요정자 위정 맹자왈 오문지 희이불매樂(락,낙)즐길,(악)노래,(요)좋아할/寐(매)잘 노나라에서 악정자에게 정치를 맡기려 하니 맹자가 말하기를 “나는 이 소식을 듣고 기뻐서 잠을 못 이루었다.” 13-02 公孫丑曰 樂正子 强乎 曰否 有知慮乎 曰否 多聞識乎 曰否 공손추왈 요정자 강호 왈부 유지려오 왈부 다문식호 왈부慮(려,여)생각할,근심할(록,녹)사실할 공손추가 말하기를 “악정자는 굳센 사람인가요?”“아니다.”“지혜가 있는 사람인가요?”“아니다.”“학식이 뛰어난가요?”“아니다.” 13-03 然則 奚爲喜而不寐 연즉 해위희이불매 “그렇다면 어찌하여 기뻐서 잠을 못 이루시었는지요?” 13-04 曰其爲人也 好善 好善 足乎 왈기위인야 호선 호선.. 더보기
告子章句下 - 12 <惡乎執> 20150915 20150915 12-01 孟子曰 君子不亮 惡乎執 맹자왈 군자불량 오호집亮(량,양)밝을/執(집)잡을맹자가 말하기를 “군자가 미덥지 않으면 무엇을 어떻게 하자는 것인가.” - 참고 : 주희의 해설에 따르면 오호집惡乎執은 모든 일이 구차해져 잡고 지킬 것이 없다는 말이다.군자는 값싼 신의에 사로잡혀 낡은 전통을 고집하는 일을 싫어한다. 보다 실재적인 융통성이 요구된다는 의미이다. 군자가 작은 신의를 지키지 않는 것은 그로 인해 한가지만 고집하게 되는 것을 싫어하기 때문이다. - 준이생각 : 맹자의 철학에도 융통성은 요구된다. 이래서 종교가 아니라 철학인 것인가... 더보기
告子章句下 - 11 <白圭曰 丹之治水也> 20150914 20150914 11-01 白圭曰 丹之治水也 愈於禹 백규왈 단지치수야 유어우愈(유)나을,(투)구차할 백규가 말하기를 “제가 치수하는 법은 우왕보다 낫습니다.” 11-02 孟子曰 子過矣 禹之治水 水之道也 맹자왈 자과의 우지치수 수지도야 맹자가 말하기를 “그대는 잘못이요. 우왕이 치수하였던 법은 물의 도를 따랐던 것입니다. 11-03 是故禹以四海爲壑 今吾子以隣國爲壑 시고우이사해위학 금오자이린국위학壑(학)골 그러므로 우왕은 사해로 한 구렁을 삼았고, 그대는 이웃 나라로 구렁을 삼았습니다. 11-04 水逆行 謂之洚水 洚水者 洪水也 仁人之所惡也 吾子過矣 수역행 위지홍수 홍수자 홍수야 인인지소오야 오자과의洚(홍)큰물,(강)내릴 물이 거꾸로 흐르는 것을 벅차 흐르는 물이라 하는데, 벅차 흐르는 물이 곧 홍수라, 인애.. 더보기
告子章句下 - 10 <白圭曰 吾欲二十而取一 何如> 20150912 20150912 10-01 白圭曰 吾欲二十而取一 何如 백규왈 오욕이십이취일 하여 백규가 말하기를 “나는 세금을 이십 분의 일을 받아들이고 싶은데 어떨까요?” 10-02 孟子曰 子之道 貉道也 맹자왈 자지도 맥도야貉(맥)오랑캐, (학)담비 맹자가 말하기를 “그대의 도는 오랑캐의 도(貉道)라는 것입니다. 10-03 萬室之國 一人 陶則可乎 曰不可 器不足用也 만실지국 일인 도즉가호 왈불가 기부족용야陶(도)질그릇,(요)사람이름 일만 호 장안에 질그릇쟁이가 하나면 될까요?”“안 되겠지요. 그릇을 쓰기에 부족할 것입니다.” 10-04 曰夫貉 五穀不生 惟黍生之 無城郭宮室宗廟祭祀之禮 無諸侯幣帛饔飱 無百官有司 故二十取一而足也 왈부맥 오곡불생 유맥생지 무성곽궁실종묘제사지례 무제후폐금옹손 무백관유사 고이십취일이족야祀(사)제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