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조금씩배워보자/金剛經

6 正信希有分

6 正信希有分


須菩堤 白佛言 世尊, 頗有衆生 得聞如是 言說章句 生實信不. 佛告須菩堤 莫作是說 如來滅後 後五百歲 有持戒修福者 於此 章句 能生信心 以此爲實 當知是人 不於 一佛二佛三四五佛 而種善根 已於無量 千萬佛所 種諸善根 聞是章句 乃至一念 生淨信者. 須菩堤, 如來 悉知悉見 是諸 衆生 無復 我相 人相 衆生相 壽者相 無法相 亦無非法相. 何以故. 是諸衆生 若心取相 卽爲著我人 衆生壽者, 何以故 若取法相 卽著我人衆生壽者, 若取非法相 卽著我人衆生壽者. 是故 不應取法 不應 取非法. 以是義故 如來常設 汝等比丘, 知我說法 如筏喩者 法尙應捨 何況非法.  

                                

(수보리 백불언 세존, 파유중생 득문여시 언설장구 생실신부. 불고수보리 막작시설 여래멸후 후오백세 유지계수복자 어차 장구 능생신심 이차위실 당지시인 불어 일불이불삼사오불 이종선근 이어무량 천만불소 종제선근 문시장구 내지일념, 생정신자. 수보리, 여래 실지실견 시제 중생 무부 아상인상 중생상 수자상 무법상 역무비법상. 하이고, 시제중생 약심취상 즉위착아인 중생수자, 하이고 약취법상 즉착아인중생수자. 약취비법상 즉착아인중생수자. 시고 불응취법 불응 취비법. 이시의고 여래상설 여등비구, 지아설법 여벌유자 법상응사 하황비법.)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어 말씀하시기를, “세존이시여, 후세의 많은 중생들이 이와같은 부처님의 말씀이나 경전의 글귀들을 듣고 진실이라고 믿는 마음을 일으킬 사람이 있겠습니까?” 하였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일러 말씀하시기를  

 “그런 말을 하지 말라. 여래가 이 세상을 떠난뒤 후오백세에 이르러 정법이 문란한 때라도 계를 지니고 복을 닦는 사람이 있어 경전의 이러한 글귀에서 능히 믿는 마음을 일으켜 그것을 진실된것으로 여기게 될것이다. 너는 마땅히 알아야 할것이다. 이사람은 한 부처나 두 부처, 셋, 넷, 다섯 부처님에게만 귀의하여 선근을 심은것이 아니라, 이미 헤아릴수 없이 많은 천만 부처님 밑에서 모든 선근을 심어 놓았기 때문에 이 글귀를 듣고 애오라지 한 생각으로 깨끗한 믿음의 마음을 일으킬 사람이라는것을. 수보리야, 깨끗한 믿음이 생긴 이 모든 중생은 이같은 헤아릴 수 없는 복덕을 얻게됨을 여래께서는 다 아시고 다. 훤히 내다보고 계시느니라. 무슨 까닭이냐 하면, 이 모든 중생이 다시는 아, 인, 중생, 수자상이 없고 법상도 없으며, 또한 법 아닌 상도 없기 때문이니라. 이것은 또 무슨까닭이냐, 이 모든 중생이 만약 마음에 상을 취하면 곧 아, 인, 중생, 수자상에 집착할것이요, 또 법 아닌 상을 취하더라도 아, 인, 중생, 수자상에 집착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마땅히 법을 취하지 말것이며, 법 아님도 취하지 말것이니라. 이런뜻에서 여래께서 늘 말씀하시기를 “너희 비구는 나의 설법을 떼에 비유함과 같음을 알라치면, 법도 오히려 버려야 겠거늘 하물며 법 아님에 있어서랴” 하시었다.           


※󰡔계󰡕 : 佛者들이 지켜야할도리 6 바라밀의 하나.        

※󰡔떼󰡕 : 뗏목

悉 다 실 1. 다, 모두, 남김없이 2. 다하다, 궁구하다(窮究--) 3. 깨닫다 4. 다 알다 5. 갖추다 6. (뜻을)펴다 [부수]心(마음심)

著 나타날 저,붙을 착  1. 나타나다, 나타내다 2. 분명하다(分明--) 3. 드러나다, 분명해지다(分明---) 4. 두드러지다 5. 그리다 6. 짓다, 저술하다(著述--) 7. 쌓다 8. 두다, 비축하다(備蓄--) 9. 세우다, 확립하다(確立--) 10. 이루다, 이루어지다 11. 생각하다 12. 정하다(定--) 13. 알다, 알리다 14. 보충하다(補充--) 15. 좋다, 마땅하다 16. 오래되다 17. 정성(精誠) 18. 지위(地位), 계급(階級) 19. 분명(分明)함, 뚜렷함 20. 뜰(집 안의 앞뒤나 좌우로 가까이 딸려 있는 빈터) 21. 자리 22. 오미자(五味子) a. 붙다 (착) b. (옷을)입다 (착) c. (머리에)쓰다 (착) d. (신을)신다 (착) e. 다다르다 (착) f. 시작하다(始作--) (착) [부수]艹(초두머리)

筏 뗏목 벌  1. 뗏목(-木: 통나무를 떼로 가지런히 엮어서 물에 띄워 사람이나 물건을 운반할 수 있도록 만든 것), 떼 2. 큰 배 [부수]竹(대죽)

喩 깨우칠 유  1. 깨우치다, 깨닫다 2. 깨우쳐 주다, 가르쳐 주다 3. 고하다(告--), 이르다 4. 비유하다(比喩ㆍ譬喩--) 5. 좋아하다 6. 기뻐하다 7. 유쾌하다(愉快--) 8. 비유(比喩ㆍ譬喩) 9. 기뻐하는 모양 [부수]口(입구)


[六波羅蜜] 

열반(涅槃)에 이르기 위한 보살(菩薩)의 여섯 가지 수행(修行)

정의 : 대승불교의 여섯 가지 수행덕목(修行德目).

내용 : 

우리 나라 불교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보살의 실천행이다. 생사의 고해를 건너 이상경인 열반의 세계에 이르는 실천수행법인 육바라밀은 보시(布施)·지계(持戒)·인욕(忍辱)·정진(精進)·선정(禪定)·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 등의 여섯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자기의 인격완성을 위하여서는 원시불교의 사제(四諦)와 팔정도(八正道)의 가르침으로 충분하지만, 대승불교에서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보살의 수행법으로서 팔정도를 채택하지 않고 육바라밀이라는 독자적인 수행법을 설하였다. 그것은 팔정도가 자기완성을 위한 항목만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타(利他)를 위하여는 충분하지 않으며, 보시와 인욕과 같은 대사회적인 항목을 포함하고 있는 육바라밀이 보살의 수행법으로 알맞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육바라밀의 수행법에서 보시를 제일 먼저 둔 까닭도 사회의 모든 사람이 상호협조적인 보시자선을 행하는 것이 대승불교로서는 가장 필요한 정신이었기 때문이다. 팔정도와 육바라밀의 같고 다른 점을 표시하면 [그림]과 같다.


[ 그림]에 의하면 육바라밀에는 팔정도의 모든 것이 포함되어 있는 이외에 팔정도에 없는 보시와 인욕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두 가지만은 대사회적인 것으로서 이타적인 대승불교의 특질을 나타내고 있다.


[보시]는 재시(財施)·법시(法施)·무외시(無畏施)의 세 종류로 나누어진다. 재시는 자비심으로서 다른 이에게 조건 없이 물건을 주는 것이고, 법시는 다른 사람에게 부처의 법을 말하여 선근(善根)을 자라게 하는 것이며, 무외시는 스스로 계를 지켜 남을 침해하지 않고 다른 이의 두려워하는 마음을 없애 주는 것이다.


[지계]는 부처가 제자들의 비도덕적인 행위를 막기 위하여 설정해 놓은 법규를 지키고 범하지 않는 것에서 출발하여, 가지가지 선을 실천하고 모든 중생을 살찌게 하는 행위까지를 포함하게 된다.


[인욕]은 온갖 모욕과 번뇌를 참고 어려움을 극복하여 안주하는 것으로, 우리 일상생활에 있어서 가장 견디기 어려운 일인 성나고 언짢은 마음을 참고 견디는 것이다. 이 인욕에는 네 가지가 있다.


첫째 복인(伏忍)으로, 비위에 거슬리는 일이 생기면 먼저 성나는 그 마음을 조복(調伏)하여 억누르는 것이다. 그러나 역경만 참아서는 안 되며, 자기 마음을 즐겁게 하는 순경(順境)도 참아야 한다. 그 이유는, 역경을 참지 못하면 분노가 치밀어서 투쟁하기 쉽고, 순경을 참지 못하면 유혹에 빠져서 몸과 마음을 버리기 쉽기 때문이다.


둘째 유순인(柔順忍)으로, 사람이 참기를 많이 하면 저절로 조복이 되어서 역경이나 순경을 만날지라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 경지에 이르게 된다.


셋째 무생인(無生忍)으로, 참고 견디어 보살의 지위에 오른 사람의 인욕행이다. 인생이 무상하며 세상이 허황함을 깨닫고 일체만법(一切萬法)이 인연으로 모였다가 인연으로 흩어지는 진리를 깨닫고 보면 별로 성낼 것도 없고 참을 것도 없다는 것이다.


넷째 적멸인(寂滅忍)으로, 이것은 부처의 지위에 있어서의 인욕행이다. 생사고해에 뛰어나서 본래부터 적멸한 열반의 경지에 서서 볼 때 한 물건도 없는 경계를 의미한다. 이것은 인욕행을 닦음이 아니라, 본래부터 한 생각도 일으킴이 없는 곳에 참된 인욕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정진]은 순일하고 물들지 않는 마음으로 항상 부지런히 닦아 꾸준히 나아가는 것이다. 그러나 닦는다는 생각과 닦을 바가 있어서는 안 된다. 정(精)은 순일무잡(純一無雜)을 의미하고 진(進)은 용맹무퇴를 말한다. 이 정진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몸과 입으로써 부지런히 착한 일을 닦고 배우며 실행하는 것이고, 둘째는 뜻을 항상 진리에 머무르게 하여 모든 생각이 착한 진리를 떠나지 않게 정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밖에도 사정진(事精進)과 이정진(理精進)이 있는데, 사정진은 세간사와 출세간사를 막론하고 그것을 한번 이루려고 결심하였으면 그 목적이 성취될 때까지 부지런히 정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정진은 악한 생각을 없애고 선한 마음을 일으켜서 여러 사람이 이롭고 나에게도 좋은 일이거든 몸과 마음을 아끼지 않고 기어이 성취하도록 노력, 정진하는 것을 의미한다.


[선정]은 수행인이 반야의 지혜를 얻고 성불하기 위하여 마음을 닦는 것이며, 생각을 쉬는 것을 의미한다. 현실생활이 불만과 고통으로 가득차게 되는 까닭은 잡다한 생각을 쉬지 못하고 어리석게 집착하고 있기 때문이다. 선정은 마음을 고요하게 하는 공부로서 망념과 사념과 허영심과 분별심을 버리게 한다.


[반야]는 지혜라고 번역한다. 모든 사물이나 이치를 밝게 꿰뚫어보는 깊은 슬기로서, 지식과 다른 점은 지식이 분별지(分別智)인 데 반하여 지혜는 무분별지이다. 보살이 피안에 이르기 위하여 수행하는 육바라밀 중 마지막의 반야바라밀은 모든 부처의 어머니라 하며, 다른 5바라밀을 형성하는 바탕이 된다. 반야는 세 가지로 나누어 말하고 있다.


① 문자반야(文字般若)는 부처님이 설한 경(經)·율(律)·논(論) 모두를 가리키는 것이고, ② 관조반야(觀照般若)는 경·율·논의 문자반야를 통하여 진리를 알아내고 진리에 의하여 수행하는 것이며, ③ 실상반야(實相般若)는 부처가 체득한 진리 그 자체를 가리키는 것이다.


이상의 육바라밀을 보살이 무량한 세월 동안 수행함으로써 성불하게 되는데, 뒤에 육바라밀에 네 가지 바라밀을 첨가하여 십바라밀을 갖추게 되었다.


참고문헌


『불교학개론』(금동화, 보련각, 1981)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중앙연구원 로고

[네이버 지식백과] 육바라밀 [六波羅蜜]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六波羅蜜[編集]

六波羅蜜(ろくはらみつ、ろっぱらみつ、梵:Ṣatpāramitā)とは、ブッダになりうる資質を獲得するために実践する六つの項目のこと。「六度(ろくど)彼岸」とも呼ばれる。

布施波羅蜜 - 檀那(だんな、Dāna ダーナ)は、分け与えること。dānaという単語は英語のdonation、givingに相当する。具体的には、財施(喜捨を行なう)・無畏施・法施(仏法について教える)などの布施である。檀と略す場合もある。

持戒波羅蜜 - 尸羅(しら、Śīla シーラ)は、戒律を守ること。在家の場合は五戒(もしくは八戒)を、出家の場合は律に規定された禁戒を守ることを指す。

忍辱波羅蜜 - 羼提(せんだい、Kṣānti クシャーンティ)は、耐え忍ぶこと。

精進波羅蜜 - 毘梨耶(びりや、Vīrya ヴィーリヤ)は、努力すること。

禅定波羅蜜 - 禅那(ぜんな、Dhyāna ディヤーナ)は、特定の対象に心を集中して、散乱する心を安定させること。

智慧波羅蜜 - 般若(はんにゃ、Prajñā プラジュニャー)は、諸法に通達する智と断惑証理する慧。前五波羅蜜は、この般若波羅蜜を成就するための手段であるとともに、般若波羅蜜による調御によって成就される。

龍樹は『宝行王正論』[4]においてこの6項目を以下の三つのカテゴリーに分けて解説している。[5]

布施・持戒 -「利他」

忍辱・精進 -「自利」

禅定・智慧 -「解脱」

龍樹によれば、釈迦の教えとは要約すれば「自利・利他・解脱」の三つに尽き、「自利・利他・解脱」はすべて六波羅蜜によって包摂されるため、阿含経に根拠を持たない大乗独自のこれら「六波羅蜜」も仏説であるという。[5]

十波羅蜜[編集]

十波羅蜜(じっぱらみつ)は、六波羅蜜に、方便・願・力・智の四波羅蜜(六波羅蜜の般若波羅蜜より派生した4つの波羅蜜)を加えたもの。唯識論ではこの十波羅蜜を立てて十勝行と称す。華厳教学などでは、菩薩の五十二位の中の十行のことともいわれる。また菩薩は十地において正しくこの十波羅蜜を順次に習得するという。[要出典]

方便波羅蜜 - 烏波野(Upāya ウパーヤ、うはや、日本語訳:方便)は、巧みな手段で衆生を教導し、益すること。六波羅蜜の行によって集めたる善根を有情に廻向せしめて彼と共に無上菩提を求むる廻向方便善巧、一切有情を済度する抜済方便善巧の2種類を修行する。

願波羅蜜 - 波羅尼陀那(Praṇidāna プラニダーナ、はらにだな、日本語訳:願)は、(彼岸すなわち仏の理想世界に到達せんと立願すること。今日ではこれらすべての修行を完成せんと願う希望をいう。求菩提願・利他楽顔の2つを修行する。

力波羅蜜 - 波羅(Bala バラ、はら、日本語訳:力)は、二義あり、一義に一切の異論及び諸魔衆の壊すことなきをいい、また一義に十力の行のうち、思擇力・修習力の2つを修行する。

智波羅蜜 - 智(Jñāna ジュニャーナ、日本語訳:智)は、万法の実相を如実に了知する智慧は生死の此岸を渡りて、涅槃の彼岸に到る船筏の如く、受用法楽智・成熟有情智の2つを修行する。



[四諦 ]

요약 

인생문제와 그 해결방법에 관한 4가지의 진리.

원어명

Catvāri-ārya-satyāni

제(諦:satya)는 진리 ·진실의 의미이며, 그 진리가 신성(arya)한 것이라 하여 사성제(四聖諦) ·사진제(四眞諦)라고도 한다. 미혹의 세계와 깨달음의 세계의 인(因) ·과(果)를 설명하는 불교의 기본적인 교리 조직으로 고제(苦諦:dubkha) ·집제(集諦:samudaya) ·멸제(滅諦:nirodha) ·도제(道諦:mārga)의 네 가지 진리를 말한다.


① 고제:현실세계의 참모습을나타내는 것으로 범부(凡夫)의 생존은 괴로움이라는 진리이다. 인생의 고(苦)는 생 ·노 ·병 ·사(生老病死)의 4고로 표시되며, 또는 여기에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하는 괴로움(愛別離苦), 미워하는 사람과 만나야 하는 괴로움(怨憎會苦), 원하는 일이 이루어지지 않는 괴로움(所求不得苦), 그리고 이러한 괴로움의 근본인 오온(五蘊)에 집착하는 괴로움(五取蘊苦, 五陰盛苦:생존에 대한 집착)의 넷을 더하여 8고라고 한다. 여기서 자연현상으로서의 생 ·노 ·병 ·사가 괴로움이 아니라 자신에게 일어나는 생 ·노 ·병 ·사가 괴로움인 것이다. 그럼에도 생 ·노 ·병 ·사는 인생에 있어 피할 수 없는 것이며, 자기존재의 기반이다. 그러므로 이를 가리켜 고제라고 한다.


② 집제:괴로움의 원인을 나타내는 말이다. 자기가 취하는 생존이 바로 고가 되는 것은 마음 깊이 갈애(渴愛)가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모든 욕망의 근저가 되는 욕망이며 채워지지 않는 욕망이다. 갈애에는 욕애(慾愛:감각적 욕망) ·유애(有愛:생존의 영속을 바라는 욕망) ·무유애(無有愛:생존의 단절을 바라는 욕망)의 세 가지가 있다. 행복을 구하는 것도 욕망의 일종이지만 갈애는 그것과는 달리 욕망의 근본에 있는 불만족성을 말한다. 이것이 인간의 불행을 일으키는 원인이다. 그러므로 집제라는 것은 갈애를 근본으로 하는 여러 가지 번뇌이며, 괴로움의 원인이다. 따라서 집제와 고제는 미망의 원인과 결과를 표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괴로움의 원인을 외부에서 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내부에서 발견하는 데에 불교의 태도가 잘 나타나 있다.


③ 멸제:이 갈애가 남김 없이 없어진 상태를 말하며, 이것은 이상적 경지로서 열반(涅槃)이라고 말한다. 또한 마음이 갈애의 속박에서 벗어난 것이기 때문에 해탈(解脫)이라고도 한다. 결국 갈애에 물들지 않고 행동하는 마음의 자유로운 상태이며 이것이 참된 즐거움이다. 열반은 멸(滅)로도 번역되기 때문에 열반을 허무로 이해하는 사람도 있으나 멸은 갈애의 멸이지 마음 그 자체의 멸은 아니다. 갈애가 멸함에 따라 올바른 지혜가 나타나며, 그 지혜에 의하여 알게 되는 부동의 진리가 열반이다.


④ 도제:이 고(苦)와 집(集)의 멸을 실현하는 길을 도제라고 한다. 이 수행방법은 8정도(八正道) 또는 팔성도(八聖道)로 표시된다. 8정도란, 정견(正見) ·정사(正思)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의 8가지 실천사항을 말한다. 정견은 올바른 견해로서, 있는 그대로 보는 여실지견(如實知見)이다. 이에 의하여 자기와 세계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 즉 연기(緣起)의 도리를 알게 된다. 정견에 기초하여 올바른 사유가 생긴다. 나아가 이 생각에 의하여 올바른 말, 올바른 행동, 올바른 생활, 올바른 노력이 행해진다. 이것은 일상생활이 정견에 기초하여 진리를 실천하는 생활이 이루어짐을 말한다. 이들에 의하여 정념이 확립된다. 정념은 올바른 주의력, 올바른 기억으로 마음을 줄곧 올바른 상태로 유지하는 마음의 힘이다. 마지막의 정정은 정견~정념에 기초하여 실현되는 마음의 통일, 즉 올바른 선정(禪定)을 말한다. 이상의 8정도는 서로 유기적인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올바른 선정에서 올바른 지혜가 생기며, 또한 정견은 올바른 지혜, 즉 정견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8정도는 점진적인 수행 단계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를 유기적으로 수행하는 길이다. 이러한 사제설은 석가가 녹야원(鹿野苑)에서 다섯 비구(比丘)에게 설한 최초의 설법[初轉法輪] 내용으로 전해지고 있다.


참조항목

팔정도

역참조항목

사상, 오욕, 오비구, 삼도

카테고리


종교 >불교 >불교교리

출처

두산백과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사제 [四諦] (두산백과)


팔정도

[八正道 ]

요약

중생이 고통의 원인인 탐(貪) ·진(瞋) ·치(痴)를 없애고 해탈(解脫)하여 깨달음의 경지인 열반의 세계로 나아가기 위해서 실천수행해야 하는 8가지 길 또는 그 방법.

이것은 원시불교의 경전인 《아함경(阿含經)》의 법으로, 석가의 근본 교설에 해당하는 불교에서는 중요한 교리이다. 고통을 소멸하는 참된 진리인 8가지 덕목은 

① 정견(正見):올바로 보는 것. 

② 정사(正思:正思惟):올바로 생각하는 것. 

③ 정어(正語):올바로 말하는 것. 

④ 정업(正業):올바로 행동하는 것. 

⑤ 정명(正命):올바로 목숨을 유지하는 것. 

⑥ 정근(正勤:正精進):올바로 부지런히 노력하는 것. 

⑦ 정념(正念):올바로 기억하고 생각하는 것. 

⑧ 정정(正定):올바로 마음을 안정하는 것이다.


참조항목

선, 중도, 해탈

역참조항목

사고팔고, 사제, 사향사과, 아함경, 열반, 정, 오비구

카테고리


종교 >불교 >불교교리

출처

두산백과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팔정도 [八正道] (두산백과)

瞋 부릅뜰 진  1. (눈을)부릅뜨다 2. 성내다 [부수]目(눈목)

痴 어리석을 치  1. 어리석다 2. 어리다 3. 미련하다 4. 미치다(말과 행동이 보통 사람과 다르게 되다) 5. 열중하다(熱中--) 6. 술병(-病: 술을 많이 마셔서 생긴 병) 7. 미치광이 [부수]疒(병질엄)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依法出生分  (0) 2017.05.23
7 無得無說分  (0) 2017.05.22
5 如理實見分  (0) 2017.05.18
4 妙行無住分  (0) 2017.05.17
3 大乘正宗分  (0) 2017.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