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조금씩배워보자/金剛經

9 一相無相分

9 一相無相分

須菩堤 於意云何 須陀洹 能作是念 我得須陀洹果不. 須菩堤言 不也世尊 何以故 須陀洹 名爲入流 而無所入 不入色聲香味觸法 是名須陀洹. 須菩堤 於意云何 斯陀含 能作是念 我得斯陀含 果不. 須菩堤言 不也世尊. 何以故 斯陀含名 一往來 是名斯陀含. 須菩堤, 於意云何 阿那含 能作是念 我得阿那含 果不. 須菩堤言 不也世尊. 何以故, 阿那含 名爲不來 而實無不來 是故名 阿那含. 須菩堤, 於意云何. 阿羅漢能作 是念 我得阿羅漢道不. 須菩堤言 不也 世尊. 何以故, 實無有法 名阿羅漢. 世尊 阿羅漢 作是念 我得阿羅漢道 卽爲著 我人衆生壽者. 世尊, 佛說我得無諍三昧 人中 最爲第一 是第一離欲阿羅漢. 世尊 我不作是念 我是離欲阿羅漢. 世尊, 我若 作是念 我得阿羅漢道世尊 卽佛說 須菩堤 是樂阿蘭那行者 以須菩堤 實無所行 而名須菩堤 是樂阿蘭那行.              


(수보리 어의운하 수다원 능작시념 아득수다원과부. 수보리언 불야세존 하이고 수다원 명위입류이무소입 불입색성향미촉법 시명수다원. 수보리 어의운하 사다함 능작시념 아득사다함 과부. 수보리언 불야세존. 하이고 사다함명 일왕래 시명사다함. 수보리, 어의운하 아나함 능작시념 아득아나함 과부. 수보리언 불야세존. 하이고, 아나함은 명위불래 이실무불래 시고명 아나함. 수보리, 어의운하. 아라한능작 시념 아득아라한도부. 수보리언 불야 세존. 하이고, 실무유법 명아라한. 세존아라한 작시념 아득아라한도 즉위착 아인중생수자. 세존 불설아득무쟁삼매 인중 최위제일 시제일이욕아라. 세존 아부작시념 아시이욕아라한. 세존, 아약 작시념 아득아라한도세존 즉불설 수보리 시락아란나행자 이수보리 실무소행 이명수보리 시락아란나행.)



“수보리야, 네생각이 어떠하냐. 수다원이 「나는 수다원이 되었노라」 하는 생각을 할수 있겠느냐?”

수보리가 말씀 올리기를,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오면 수다원은 성인축에 든다는 뜻의 이름이오나 실은 들어간바 없기 때문이며, 색성향미촉법에 들어가지 아니함을 수다원이라고 이름하는 것입니다.”  

“수보리야, 네생각에 어떠하냐. 사다함이 「나는 사다함이 되었노라는 생각을 할수 있겠느냐?”

수보리가 말씀 올리기를, “그렇지 않사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오면, 사다함은 한번 갔다온다는 뜻의 이름이오나 실은 한번도 갔다온바 없기 때문에 사다함이라고 이름하는 것입니다.”       

“수보리야, 또 네생각은 어떠하냐. 아나함이 「나는 아나함이 되었노라」 하는 생각을 할수있겠느냐?” 

수보리가 말씀올리기를,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오면, 아나함은 오지 아니한다는 뜻의 이름이오나 실은 오지 아니함이 없기 때문에 아나함이라고 이름하는것 입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은 또 어떠하냐, 아라한이 나는 아라한의 도를 얻었노라는 생각을 할수있겠느냐?” 

수보리가 말씀올리기를,“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오면 실로 법이 있음이 없음을 법이 없음을 깨달아야 아라한이라 이름하옵기 때문입니다. 세존이시여 만약 아라한이 내가 아라한의 도를 얻었노라하는 그런 생각을 할것 같으면 그것이 곧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집착하는 것이 될것입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저를 일러 ”다툼이없는 삼매를 얻은사람 가운데서 으뜸이다. 이는 욕심을 버린 제일가는 아라한이다 라고 말씀합니다만은 세존이시여 저는 욕심을 버린 아라한이라는 그런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만일 나는 아라한의 도를 얻었노라 하는 그런 생각을 한다면 세존께서는 곧 「수보리는 아란나행을 즐기는자」라고 하시지는 않을것입니다. 그러하오나 수보리가 실로 행하는 바가 없기 때문에 세존께서 수보리야 말로 아란나행을 즐기는 자라고 말씀하신것 입니다.                


※수다원: 미망을 벗어나 비로소 성자의 축에 들었다는 뜻.           

※사다함: 한번 왔다간다(이승과 저승)는 뜻임. 깨달음을 얻은 성자는 두번 태어나는법이 없다.  

※아나함: 깨달음을 얻어 다시 되돌아 오지 않는 사람을 말함.      

※아라한: 공경할만한 사람, 부처.      

※무쟁삼매: 다투는일이 없음.          

※아란나: 수행하기에 적당한 숲속이나 들,모래사장.소의 울음소리가 겨우 들릴락 말락한 곳이 가장 수행

          하기에 좋다고 함.  

※아수라: 싸우기를 좋아하는 귀신.

陀 비탈질 타,사타 타  1. 비탈지다 2. 무너지다 3. 험하다(險--) 4. 벼랑 5. 산등성이 6. 사타(沙陀)의 준말 [부수]阝(좌부변)

洹 물 이름 원,세차게 흐를 환  1. 물의 이름 a. 세차게 흐르다 (환) b. 물이 많은 모양 (환) c. 성(盛)한 모양 (환) [부수]氵(삼수변)

斯 이 사,천할 사  1. 이, 이것 2. 잠시(暫時), 잠깐 3. 죄다, 모두 4. 쪼개다, 가르다 5. 떠나다, 떨어지다 6. 희다, 하얗다 7. 다하다 8. 떨어지다 9. 천하다(賤--) 10. 낮다 [부수]斤(날근)

含 머금을 함  1. 머금다 2. 품다 3. 참다, 견디어내다 4. 싸다, 담다, 넣다, 싸서 가지다 5. 초목(草木)이 꽃을 피우다 6. 무궁주(無窮珠: 염할 때 죽은 사람의 입속에 넣는 깨알처럼 작고 까만 구슬) [부수]口(입구)

諍 간할 쟁  1. 간하다(諫--: 웃어른이나 임금에게 옳지 못하거나 잘못된 일을 고치도록 말하다) 2. 송사하다(訟事--) 3. 다투다 4. 멈추다 5. 간하는 말이나 글 [부수]言(말씀언)

須陀洹科수타원과 

성문 사과(聲聞四果)의 첫째 지위(地位). 사제를 깨달아 욕계(欲界)의 탐(貪)ㆍ진(嗔)ㆍ치 (痴)의 세 가지 독함을 버리고 성자(聖者)의 무리에 들어가는 성문(聲聞)의 지위(地位)


-. [須陀洹 ]

초기불교 수행단계인 사향사과(四向四果)의 첫 번째 단계. 예류(預流)와 같은 말. 흐름에 들어오다라는 의미의 싼스끄리뜨 스로타 아판나(śrota-āpanna)의 음역이며, 의역으로 예류라고 한다. 진리를 알지 못하거나 잘못 아는 것에서 생겨나는 미혹인 견혹(見惑)을 모두 끊고자 수행해가는 과정과 그 결과를 이르는 말. 곧 잘못된 견해에서 벗어나 비로소 진리를 추구하는 흐름에 들어섰다는 의미에서 유래한다.

수다원과(須陀洹果) 또는 예류과(預流果)를 얻었다는 것은 그 수행자가 비로소 성자의 흐름에 들어섰다는 의미로, 깨달음으로 향하는 흐름에 갓 합류한 경지, 성자의 대열에 갓 들어선 자로서의 과보를 받았음을 말하는 것이다. 수도(修道)의 과정에 들어선 지위이다. 이 경지를 향해 수행하고 있는 과정을 수다원향(須陀洹向) 또는 예류향(預流向)이라고 한다. 대승불교에서는 사향사과만으로는 아라한(阿羅漢)의 경지까지밖에 오르지 못한다고 하여 성문사과(聲聞四果) 또는 아라한사과라고 낮추어 말한다.

출처

원불교대사전, 원불교100년기념성업회표제어 전체보기

[네이버 지식백과] 수다원 [須陀洹] (원불교대사전, 원불교100년기념성업회)


-. [斯陀含 ]

산스크리트어 sakṛd-āgāmin 팔리어 sakad-āgāmin의 음사. 일래(一來)라고 번역. 욕계의 수혹(修惑)을 대부분 끊은 성자. 그러나 이 성자는 그 번뇌를 완전히 끊지 못했기 때문에 한번 천상의 경지에 이르렀다가 다시 인간계에 이르러 완전한 열반을 성취한다고 하여 일래라고 함. 이 경지를 사다함과(斯陀含果)·일래과(一來果), 이 경지에 이르기 위해 수행하는 단계를 사다함향(斯陀含向)·일래향(一來向)이라 함.

[네이버 지식백과] 사다함 [斯陀含] (시공 불교사전, 2003. 7. 30., 시공사)


-. [斯陀含 ]

초기불교 수행단계인 사향사과(四向四果)의 두 번째 단계. 일왕래(一往來)와 같은 말. 한번 돌아오는 사람을 의미하는 싼스끄리뜨 sakṛd-āgāmi의 음역이며, 일왕래는 의역이다. 첫 번째 단계를 마친 수행자 곧 삼계(三界)의 견혹(見惑)을 모두 끊고서 비로소 성자의 흐름에 들어선 수다원과를 얻은 자가 수행해야 할 과정과 그 결과의 명칭.

다시 한 번 천계(天界)나 인간계에 태어난 후에 수행으로 소멸시켜야 할 욕계(欲界)의 9종의 번뇌인 수혹(修惑) 중 6종을 끊어내서 그 이후로는 천계나 인간계에서 태어나는 일이 없어진 성자의 경지 또는 과보를 사다함과(斯陀含果) 또는 일래과(一來果)라고 하며, 이 경지를 향해 수행하는 과정을 사다함향(斯陀含向) 또는 일래향(一來向)이라고 한다. 대승불교에서는 사향사과만으로는 아라한(阿羅漢)의 경지까지밖에 오르지 못한다고 하여 성문사과(聲聞四果) 또는 아라한사과라고 낮추어 말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사다함 [斯陀含] (원불교대사전, 원불교100년기념성업회)


-. [阿那含 ]

약어

나함(那含)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anāgāmin의 음사. 불환(不還)·불래(不來)라고 번역. 욕계의 수혹(修惑)을 완전히 끊은 성자. 이 성자는 색계·무색계의 경지에 이르고 다시 욕계로 되돌아오지 않는다고 하여 불환(不還)이라 함. 이 경지를 아나함과(阿那含果)·불환과(不還果), 이 경지에 이르기 위해 수행하는 단계를 아나함향(阿那含向)·불환향(不還向)이라 함.

[네이버 지식백과] 아나함 [阿那含] (시공 불교사전, 2003. 7. 30., 시공사)

-.[阿羅漢 ]

(1) 싼스끄리뜨 아라트(arhat)를 음역한 말. 소승(小乘)의 수행자들, 곧 성문승(聲聞乘) 가운데 최고의 이상상(理想像)을 말한다. 줄여서 나한(羅漢)이라고도 한다. 소승의 교법을 수행하는 성문사과(聲聞四果)의 최고 경지로 온갖 번뇌를 끊고 사제(四諦)의 이치를 밝혀 그 이상 더 배우고 닦을 것이 없는 경지요, 불제자들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경지를 말한다.

(2) 석가모니불의 열 가지 칭호 가운데의 하나. 세상의 존경과 공양을 받을 만한 성자라는 뜻. 아라한은 본래 부처를 가리키는 명칭이었는데, 후에 불제자들이 도달하는 최고의 계위(階位)를 의미하게 되었다. 수행 결과에 따라서 범부(凡夫)ㆍ현인(賢人)ㆍ성인(聖人)의 구별이 있는데, 잘 정비된 교학(敎學)에서는 성인을 예류(預流)ㆍ일래(一來)ㆍ불환(不還)ㆍ아라한의 사위(四位)로 나누어 아라한을 최고의 자리에 놓고 있다. 아라한과(果)는 더 이상 배우고 닦을 만한 것이 없으므로 무학(無學)이라고 하며, 그 이전의 계위는 아직도 배우고 닦을 필요가 있는 단계이므로 유학(有學)의 종류로 불린다.

[네이버 지식백과] 아라한 [阿羅漢] (원불교대사전, 원불교100년기념성업회)


-. [阿蘭那行 ]

아란나(阿蘭那)는 산스크리트어 araṇā의 음사. 무쟁(無諍)·무번(無煩)이라 번역. 번뇌가 없는 삶.

[네이버 지식백과] 아란나행 [阿蘭那行] (시공 불교사전, 2003. 7. 30., 시공사)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無爲福勝分  (0) 2017.05.26
10 莊嚴淨土分  (0) 2017.05.25
8 依法出生分  (0) 2017.05.23
7 無得無說分  (0) 2017.05.22
6 正信希有分  (0) 2017.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