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조금씩배워보자/金剛經

12 尊重正敎分

12 尊重正敎分

復次須菩堤, 隋說是經乃至四句偈等 當知此處 一切世間天人阿修羅 皆應供養 如佛塔廟 何況有人 盡能受持讀誦. 須菩堤 當知是人 成就最上第一稀 有之法 若是經典所在之處 卽爲有佛 若尊重弟子.


(부차수보리, 수설시경내지사구게등 당지차처 일체세간천인아수라 개응공양 여불탑묘 하황유인 진능수지독송. 수보리 당지시인 성취최상제일희 유지법 약시경전소재지처 즉위유불 약존중제자.)


“그리고 또 수보리야. 이 경의 사구게 같은 것 만이라도 따라서 설명하여 들려준다면 마땅히 알라. 이곳은 온 세계의 모든 하늘 사람이나 아수라들이 다 마땅히 공양하기를 부처님의 탑과 절과같이 할 것이어늘, 하물며 어떤사람이 경을 고스란히 받아 지니고 읽고 외고 함에 있어서랴. 수보리야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가장 높고 제일가는, 세상에도 드문 법을 성취할임을. 이 경전이 있는 곳에는 곧 부처가 있고, 존중할만한 제자가 있는것이 되느니라.”


※공양: 부모.스승.죽은이 등에게 금품 음식,옷 따위를 바치는것을 말하나, 근래에는 부처님께 올리는것을

        「공양」이라고 말함.    

※삼보: 세가지의 보물. 佛, 法, 僧寶의 3가지를 말함.

        󰡔佛寶󰡕란 모든 부처님을 뜻하며,      

󰡔法寶󰡕란 부처님의 말씀,곧 경전을말함  

󰡔僧寶󰡕란 부처님의 가르킴데로 실천, 수행하는 스님들을 뜻함.

誦 외울 송  1. 외우다, 암송하다(暗誦--) 2. (풍악에 맞춰)노래하다 3. 읊다, 읽다 4. 말하다, 여쭈다 5. 의논하다(議論▼--) 6. 칭송하다(稱誦--), 공변되다(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공평하다) 7. 헐뜯다, 비방하다(誹謗--)... [부수]言(말씀언)

隋 수나라 수,떨어질 타  단어장 추가 1. 수나라(隋--) a. 떨어지다 (타) b. 둥글길쭉하다 (타) c. 게으르다 (타) d. 타원형(楕圓形) (타) e. 남은 제물(祭物) (타) [부수]阝(좌부변)

塔 탑 탑  1. 탑(塔) 2. 층집 3. 절, 사찰(寺刹) 4. 탑처럼 생기다 [부수]土(흙토)

廟 사당 묘  1. 사당(祠堂: 조상의 신주를 모신 곳) 2. 묘당(廟堂: 종묘와 명당을 아울러 이르는 말) 3. 빈궁(殯宮), 빈소(殯所) 4. 위패(位牌) 5. 정전(正殿: 한 나라의 정사를 집행하는 곳) 6. 절, 사찰(寺刹) [부수]广(엄호)

稀 드물 희  1. 드물다 2. 드문드문하다 3. 성기다(물건의 사이가 뜨다) 4. 희소하다 5. 적다 6. 묽다 7. 묽은 것 8. 묽게 된 것 9. 멀건 것 10. 극히 11. 매우 12. 아주 [부수]禾(벼화)


[Asura, 阿修羅 ]

불법을 수호하는 여덟 수호신인 팔부신중 가운데 하나.

팔부신중(八部神衆) 가운데 하나인 불교의 수호신이다. 보통 세 개의 얼굴과 여섯 개의 팔을 지닌 삼면육비(三面六臂)의 모습으로 묘사되지만, 여덟 개나 네 개의 팔을 지닌 삼면팔비(三面八臂)나 삼면사비(三面四臂)의 모습으로 묘사되는 경우도 있다. 조로아스터교의 문헌인 《아베스타(Avesta)》에 등장하는 아후라(Ahura)와 일치하는 존재로서, 고대에 중앙아시아와 이란 지역에서 숭배되던 태양신이 인도아리아인의 인도 진출과 함께 인도 신화에 수용되었다가 불교 신화에까지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아수라(Asura)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숨, 생명’을 뜻하는 ‘아수(asu)’에서 비롯된 명칭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점차 힌두교의 주신들과 대립하는 악신(惡神)의 일족으로 여겨지게 되면서 천계의 신들을 뜻하는 ‘수라(sura)’에 부정을 뜻하는 ‘아(a)’라는 접두어가 붙어서 만들어진 것으로 해석하는 속설도 나타났다. 그래서 한자로 비천(非天)ㆍ비류(非類) 등으로 옮겨지기도 했다.

한자로는 인도어의 음을 따서 아수라(阿修羅)ㆍ아소라(阿素羅/阿蘇羅)ㆍ아소락(阿素洛)ㆍ아수륜(阿須倫/阿須輪) 등으로 다양하게 표기되었다. 특히 중국에서는 ‘아(阿)’를 이름 앞에 붙이는 접두사로 사용하므로,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줄여서 ‘수라(修羅)’라고 나타내 오기도 했다.


인도 신화에서의 아수라

아수라는 인도의 많은 신들 가운데에서도 가장 이른 시기부터 숭배되었던 신으로 베다 시대 초기까지만 해도 생명과 생기(生氣)를 관장하는 선신(善神)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힌두교의 주신들인 브라흐마(Brahma)ㆍ비슈누(Vishnu)ㆍ시바(Shiva) 등에 대한 숭배가 확립되면서 점차 이 신들과 대립하는 악신과 그의 일족들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여겨지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아수라와 신들 사이의 전쟁이 인도 신화의 중요한 근간을 이루게 되었다.

《리그베다(Rigveda)》 등에서는 아수라가 신족인 데바(Deva)들의 왕인 인드라(Indra)와 대립하는 바루나(Varuna)와 그 일족을 가리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후대로 가면서 아수라는 신들과 세상의 지배권을 놓고 다투는 다나바(Danava) 일족이나 다이티야(Daitya) 일족 등에 속한 브리트라(Vritra)와 같은 악신과 괴물들을 가리키게 되었다.


불교 신화에서의 아수라

불교는 인도의 신화를 수용하여 그것에 등장하는 신들을 부처의 가르침에 감화하여 불법을 지키는 신장(神將)들로 변화시켰다. 그러면서 그 신들을 천룡팔부(天龍八部)나 팔부중(八部衆)이라고 불리는 8개의 종족으로 구분하여 ‘팔부신중’이라고 하였는데, 아수라도 야차(夜叉)ㆍ건달바(乾闥婆)ㆍ가루라(迦樓羅) 등과 함께 팔부신중의 하나로 여겨지게 되었다. 초기 대승불교의 경전인 《법화경(法華經)》에는 부처의 설법을 들으려고 모인 팔부(八部)의 중생들을 묘사하면서 바치 아수라왕(婆稚阿修羅王)ㆍ거라건타 아수라왕(佉羅騫馱阿修羅王)ㆍ비마질다라 아수라왕(毘摩質多羅阿修羅王)ㆍ나후 아수라왕(羅睺阿修羅王)이라는 네 명의 아수라왕이 저마다 수많은 일족과 함께했다는 내용이 전해진다.

불교 전승에서 아수라는 수미산(須彌山) 북쪽에 살면서 제석천(帝釋天)과 싸움을 영원히 계속하는 존재로 등장한다. 불교의 초기 경전인 《아함경(阿含經)》에는 천계에 사는 여러 신들의 수장인 제석천(帝釋天)이 아수라의 딸인 사지(舎脂)를 허락 없이 취하면서 그들의 싸움이 시작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아수라가 제석천과 싸운 장소를 아수라장(阿修羅場)이라고 하는데, 이 말은 싸움과 같은 일들이 벌어져서 매우 시끄럽고 혼란한 장소나 상태를 비유하는 말로 쓰이고 있다.

그리고 대승불교(大乘佛敎)에서는 중생이 깨달음을 얻지 못하고 윤회할 때 지은 업보에 따라 태어나는 세계를 여섯 가지로 나눈 6도(六道) 가운데 하나로 아수라도(阿修羅道)를 두었다. 축생도(畜生道)와 인간도(人間道) 사이에 있는 아수라도에는 교만심과 시기심이 많은 사람이 죽어서 가게 되는데, 그곳에서는 모두가 무기를 지니고 싸움만 계속해야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아수라 [Asura, 阿修羅] (두산백과)


[神將 ]

무당과 장님[盲覡]이 모시는 신으로서 용맹스러운 장군의 신격.

내용

때로는 무당이 몸주신(수호신)으로 모시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신장할머니라 부르기도 한다. 장님이 신장신을 모시고 경문을 읽는다고 하여도 그 신을 거느리는 것이지 몸주신은 아니다.

원래 이 신은 도교의 신으로서 오방오제설(五方五帝說)을 기초로 한 전설적 성격이 있으며, 이것이 무속과 민간신앙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흔히 오방신장(五方神將)이라 하며 집이나 동네의 동서남북과 중앙의 오방을 막아주는 수호신으로 모셔진다. 오방의 신들은 각각 부인을 거느린 신으로 나타나고 장군·원수의 위엄을 가진 신으로 무가에 구전되고 있다.

무당들은 이 신의 위엄을 나타내기 위하여 장군의 복장을 하고 작두를 타거나 사슬세우기(청룡도라는 신칼을 상위에 세우는 것)를 하며 강원도·경상도지방에서는 군웅굿[軍雄祭]이라 하여 놋동이(놋쇠로 만든 동이)를 입에 물고 춤을 추어 위엄을 나타낸다. 서울지방 굿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오방신장기(五方神將旗)를 가지고 춤을 추고 신점(神占)을 친다.

오방신장기는 청·홍·백·황·흑의 다섯 개의 기를 가지고 춤을 추고 나서 깃대를 한데 모아 기폭으로 감아쥐고 의뢰자나 손님에게 내밀어서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이를 ‘기뽑기’라고 하며 뽑은 기를 보아서 운수를 점친다. 홍기가 가장 좋고 흑기가 가장 나쁘다. 흑기를 뽑았을 때에는 무당은 주술적으로 잡귀를 쫓은 다음에 다시 뽑게 하여 홍기가 나오도록 한다.

도교적인 의미로는 사방을 의미하는 청·홍·백·흑보다 중앙을 상징하는 황색이 가장 중요하고 이를 강조하는 황제신앙(黃帝信仰)이 있으나 무당에게 있어서는 오히려 붉은 색이 가장 길(吉)한 색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것은 원래 무속이 가지고 있는 색을 보는 관점에 의한 것이라 생각된다.

오방신장이라 하여 동에는 청제신장, 서에는 백제신장, 남에는 적제신장, 북에는 백제신장, 중앙에는 황제신장이라는 다섯 신장이 있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하나의 신격으로 인식되는 것이 무속신앙의 일반이다. 무신도(巫神圖)에 다섯의 신장이 함께 하나의 화폭에 그려진 것처럼 하나의 신격으로 신앙된다. 때로는 그 중에서 황제신장이 대표적인 신격이 되어 집을 수호하여주는 신으로 풀이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황제풀이>라는 무가는 일명 <성주풀이>라 하는데 이것은 황제를 중심으로 집을 지키는 기능을 말하고 있는 구전신화라고 할 수 있다. 이 신화는 무속에서 오장신장을 지역 수호신으로 모시는 것보다는 집의 가옥을 수호하는 신으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즉, <성주풀이>가 바로 가택수호신인데 오방신장의 하나인 황제가 이 기능을 맡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황제를 제외한 사제(四帝)가 방위를 수호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은 불명하다. 장님이 경문을 읽을 때에 신장대(서낭대)를 사용한다. 대개 마른 버드나무나 참나무 가지에 백지의 술을 매어서 쥐고 흔들기 적당한 40∼50㎝ 정도의 신간(神竿)이다. 장님은 ≪신장경 神將經≫ 등을 읽으면서 신장대에 신장을 내리게 하여 이 신으로 하여금 잡귀를 쫓아서 병을 치료하는 의례를 한다.

병을 치료하는 의례을 행할 때 무당과 다른 것은 무당은 신장기를 가지고 굿을 하였을 때에 무당 자신의 몸에 신장이 내리지만 장님의 경우는 내리지 않고 신장대에 실린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장님은 신장을 부린다고 할 수 있다. 즉 장님의 제삼자인 물체에 신을 내리게 하는 것이 다르다. 이 신장은 수호신도 아니고 장님이 부리는 신이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신장 [神將]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八部衆 ]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여덟 신(神).

(1) 천(天). 욕계의 육욕천(六欲天)과 색계의 여러 천(天)에 있는 신(神)들.

(2) 용(龍). 산스크리트어 nāga 바닷속에 살며 구름을 모아 비를 내리고 광명을 발하여 천지를 비춘다고 함.

(3) 야차(夜叉). 산스크리트어 yakṣa의 음사. 용건(勇健)이라 번역. 수미산 중턱의 북쪽을 지키는 비사문천왕(毘沙門天王)의 권속으로, 땅이나 공중에 살면서 여러 신(神)들을 보호한다고 함.

(4) 건달바(乾闥婆). 산스크리트어 gandharva의 음사. 식향(食香)·심향(尋香)이라 번역. 제석(帝釋)을 섬기며 음악을 연주하는 신(神)으로 향기만 먹고 산다 함.

(5) 아수라(阿修羅). 산스크리트어 asura의 음사. 비천(非天)·부단정(不端正)이라 번역. 늘 싸움만을 일삼는 귀신.

(6) 가루라(迦樓羅). 산스크리트어 garuḍa의 음사. 금시조(金翅鳥)·묘시조(妙翅鳥)라고 번역. 조류(鳥類)의 왕으로 용을 잡아먹고 산다는 거대한 상상의 새.

(7) 긴나라(緊那羅). 산스크리트어 kiṃnara의 음사. 의인(疑人)·인비인(人非人)이라 번역. 노래하고 춤추는 신(神)으로 형상은 사람인지 아닌지 애매하다고 함.

(8) 마후라가(摩睺羅伽). 산스크리트어 mahoraga의 음사. 대망신(大蟒神)·대복행(大腹行)이라 번역. 몸은 사람과 같고 머리는 뱀과 같은 형상을 한 음악의 신(神). 또는 땅으로 기어다닌다는 거대한 용(龍).

[네이버 지식백과] 팔부중 [八部衆] (시공 불교사전, 2003. 7. 30., 시공사)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離相寂滅分  (0) 2017.05.31
13 如法受持分  (0) 2017.05.30
11 無爲福勝分  (0) 2017.05.26
10 莊嚴淨土分  (0) 2017.05.25
9 一相無相分  (0) 2017.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