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조금씩배워보자/道德經

道德經 - 75 [民之饑]


75.民之饑, 以其上食稅之多, 是以饑, 民之難治, 以其上之有爲, 是以難治, 

   민지기  이기상식세지다  시이기  민지난치  이기상지유위  시이난치


民之輕死, 以其上求生之厚, 是以輕死, 夫唯無以生爲者, 是賢於貴生. 

민지경사  이기상구생지후  시이경사  부유무이생위자  시현어귀생


- 참고 : 백성이 굶주리는 것은 위에서 너무 많은 세금을 가로채기 때문이다. 백생을 다스리기 어려운 것은 위에서 억지로 뭔가 하려들기 때문이다. 백성이 죽음을 가벼이 여기는 것은 위에서 자신들의 삶만 두텁게 여기기 때문이다. 무릇 삶을 억지로 꾸려나가지 않으려는 자가 삶을 귀히 여기는 자보다 현명하다.


- 참고자료 : [출처 : http://www.zxuew.cn/daodejing/]

—————————注音版—————————


民(mín)之(zhī)饥(jī),

以(yǐ)其(qí)上(shàng)食(shí)税(shuì)之(zhī)多(duō),

是(shì)以(yǐ)饥(jī)。民(mín)之(zhī)难(nàn)治(zhì),

以(yǐ)其(qí)上(shàng)之(zhī)有(yǒu)为(wéi),

是(shì)以(yǐ)难(nán)治(zhì)。

民(mín)之(zhī)轻(qīng)死(sǐ),

以(yǐ)其(qí)上(shàng)求(qiú)生(shēng)之(zhī)厚(hòu),

是(shì)以(yǐ)轻(qīng)死(sǐ)。

夫(fū)唯(wéi)无(wú)以(yǐ)生(shēng)为(wéi)者(zhě),

是(shì)贤(xián)于(yú)贵(guì)生(shēng)。


[译文]


“民之饥,以其上食税之多,是以饥。”


人民之所以饥饿,是因为统治者要的税太高,因此人民陷于饥饿。백성이 소위 굶어 죽는 것은, 통치자가 세금을 너무 많이 거두기 때문이며, 그래서 백성들은 기아에 빠지는 것이다.

陷(함)빠질


“民之难治,以其上之有为,是以难治。”


人民之所以难治,是因为统治者强作妄为,因此难以统治。백성들이 소위 다스리기 어려운 것은, 통치자가 강력하게 제멋대로 하기 때문이며, 그래서 통치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妄为 [wàngwéi]1.[동사] 함부로 행동하다. 제멋대로 하다.


“民之轻死,以其上求生之厚,是以轻死。”


人民之所以轻死,是因为统治者使人民无法生存,因此不怕饭死罪(轻死)。백성들이 소위 죽음을 가벼이 여기는 것은, 통치자가 백성들로 하여금 생존할 수 없게 하기 때문이며, 따라서 죽을 죄(죽음을 가벼이 여김)를 짓기를 두려워 하지 않는 것이다.

死罪 [sǐzuì]1.[명사][법률] 죽을 죄. 죽어 마땅한 죄. 사죄.2.[명사] 죽을 죄. [사죄·용서를 구할 때 사용하는 인사말


“夫唯无以生为者,是贤于贵生。”


因此统治者恬淡无为比强取豪夺要高明得多。따라서 통치자는 고명을 더 많이 하기 위해서는 폭력으로 남의 것을 빼앗기 보다 사리사욕 없이 무위해야 한다.

恬淡 [tiándàn]1.[형용사][문어] 세상 물욕이 없다. 명예나 이익을 탐내지 않다. 사리사욕이 없다.2.[형용사] 평안하고 고요하다. 안정되고 쾌적하다. ≒[淡泊(dànbó)]/豪夺 [háoduó]1.[동사] 폭력으로 탈취하다. 권세를 이용해 남의 재산을 착취하다. 마구〔우격다짐으로〕 빼앗다./豪(호)호걸/夺(탈)빼앗을/高明 [gāomíng]1.[형용사] (견해·기예 등이) 고명하다. 빼어나다. 출중하다. 특출나다. 뛰어나다. 굉장하다. 2.[명사] 고명한 사람. ↔[拙劣(zhuōliè)]



[长篇大论]


平常是道


南泉因赵州问:「如何是道?」泉云:「平常心是道。」州云:「还可趣向否?」泉云:「擬向即乖。」州云:「不擬爭知是道?」泉云:「道不属知,不属不知;知是妄觉,不知是无记。若真达不擬之道,犹如太虚廓然洞豁,岂可强是非也。」州於言下顿悟。

无门曰:「南泉被赵州发问,直得瓦解冰消,分疏不下。赵州纵饶悟去,更参三十年始得!」

颂曰:「春有百花秋有月,夏有凉风冬有雪:若无闲事挂心头,便是人间好时节。」

趣 [qù]1.[명사] (~儿) 재미. 흥미. 운치. 2.[명사] 지향. 흥취. 취향. 취지. 3.[형용사] 재미있다./乖 [guāi]1.[형용사] (어린아이가) 얌전하다. 착하다. 말을 잘 듣다.2.[형용사] 영리하다. 기민하다. 눈치가 빠르다. 똑똑하다. ≒[戾(lì), 舛(chuǎn)]3.[동사][문어] 위배되다. 어긋나다. 모순되다. 맞지 않다. 상반되다./即 [jí]1.[접속사][문어] 설령 …하더라도〔할지라도·일지라도〕. [구와 구를 연결하여 가설 겸 양보를 나... ↔[离(lí)]2.[부사][문어] 곧. 즉. 바로. [판단문에 쓰여 긍정을 나타내며, ‘就(jiù)’·‘就是(jiùshì)’에 ...3.[부사][문어] …하면 바로〔즉각·곧〕. [어떤 조건 아래에서 어떤 결과가 발생함을 나타냄]/属 [shǔ]번체 (屬) 무리 속 1.[명사] 종류. 부류. 유별. 분류. 2.[동사] …에 속하다. …의 것이다.3.[명사] 친속. 가족. 가속./属 [zhǔ](屬) 주목할 촉 1.[동사][문어] 잇다. 연결하다. 연속하다. 연접하다. 접하다.2.[동사][문어] (시나 문장을) 짓다. 쓰다.3.[동사][문어] (생각·주의를) 집중하다. 전념하다. 한데 모으다./妄 [wàng]1.[형용사] 터무니없다. 황당무계하다. 도리에 맞지 않다.2.[형용사] 망령되다. 분수에 넘치다. 본분을 벗어나다. 주제넘다.3.[부사] 함부로. 멋대로. 마구. 경솔하게. 무책임하게./擬(의)비길,1. 비기다 2. 비교하다(比較--) 3. 헤아리다 4. 견주다(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서로 대어 보다) 5. 본뜨다 6. 흉내내다 7. 모방하다(模倣ㆍ摸倣ㆍ摹倣--) 8. 의심하다(疑心--) 9. 의심스럽.../犹如 [yóurú]1.[동사] 마치 …와〔과〕 같다./廓然 [kuòrán]1.[형용사] 확 트이고 고요한 모양. 텅 비어 고요하다./洞(동)골/豁(활)뚫린 골짜기/岂可 [qǐkě]1.[동사] (반어에 쓰여) 어찌 …해도 좋단 말인가? 어찌 …할 수 있단 말인가?/顿悟 [dùnwù]1.[동사][불교] 망상을 깨고 교리의 참뜻을 문득 깨닫다.2.[동사] 갑자기〔문득〕 깨닫다. ↔[渐悟(jiànwù)]/顿(돈)조아릴/悟(오)깨달을/闲事 [xiánshì]1.[명사] 중요하지 않은 일. 자신과 상관 없는 일. ↔[正事(zhèngshì)]


即心即佛


马祖因大梅问:「如何是佛?」祖云:「即心是佛。」

无门曰:「若能直下领略得去,著佛衣,喫佛饭,说佛话,行佛行,即是佛也。然虽如是,大梅引多少人,错认定盘星。爭知道说箇佛字,三日漱口,若是箇汉,见说即心是佛,掩耳便走。」

颂曰:「青天白日,切忌寻觅;更问如何?抱赃叫屈。」

领略 [lǐnglüè]1.[동사] 느끼다. 깨닫다. 이해하다. 납득하다. 터득하다. 감지하다. 음미하다/漱口 [shùkǒu]1.[동사] 양치질하다. 입을 가시다./掩(엄)가릴/切忌 [qièjì]1.[동사] 절대 삼가다. 절대 방지하다. 백방으로 피하다./寻觅 [xúnmì]1.[동사] 찾다. ≒[寻找(xúnzhǎo)]/叫屈 [jiàoqū]1.[동사] 억울함을 호소하다. 하소연하다.


非心非佛


马祖因僧问:「如何是佛?」祖曰:「非心非佛。」

无门曰:「若向者里见得,参学事毕。」

颂曰:「路逢剑客须呈,不遇诗人莫献;逢人且说三分,未可全施一片。」


智不是道


南泉云:「心不是佛,智不是道。」

无门曰:「南泉可谓老不识羞,纔开臭口,家丑外扬。然虽如是,知恩者少。」

颂曰:「天晴日头出,雨下地上湿;尽情都说了,只恐信不及。」

纔(재)재주,(삼)잿빛


路逢达道


五祖曰:「路逢达道人,不將语默对,且道:將甚么对?」

无门曰:「若向者里对得亲切,不妨庆快!其或未然,也须一切处著眼。」

颂曰:「路逢达道人,不將语默对;拦腮劈面拳,直下会便会。」




- 준이해석 : 백성이 굶주리는 것은, 백성들이 먹는 것 그 위에 세금이 많기 때문이며, 그래서 굶주리는 것이다. 백성들이 다스리기 어려운 것은, 그 위에 (무언가를) 하려고 하기 때문에, 그래서 다스리기 어려운 것이다. 백성들이 죽음을 가벼이 여기는 것은, 백성들이 살아가는 그 위에 (통치자의 자신의)삶을 더 두터이 하려 하기 때문에, 그래서 목숨을 가벼이 여기게 되는 것이다. 살아 가며 (무언가를)더 하고자 하지 않은 자는 (자신의)삶을 귀하게 여기는 자보다 현명하다.



- 준이생각 : 삶이 벼랑으로 몰리면 어떤 사람은 타인을 죽이고, 어떤 사람은 자신을 죽인다(자살). 즉 자신의 목숨도, 타인의 목숨도 어찌되건 상관없다는 식으로 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백성의 삶이 벼랑으로 몰리는데도 더욱 세금을 걷고, 자신의 삶을 물질적으로 더 윤택하고자 욕심을 내고,  이리 저리 백성을 몰아 간다면, 결국 백성은 굶어 죽고, 이판사판으로 변하기에 다스리기 어려워지고, 죽음도 불사하기에 서로 죽이고, 자살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 모든 것에는 통치자 자신의 삶만이 더 소중하고 고귀하며 백성들을 버러지처럼 여기는 마음이 바탕에 깔려 있는 것이다. 그래서 통치자일수록 더 ‘무위’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부정적인 모든 예가 바로 우리의 작금의 현실인거 같아 더더욱 놀라게 된다. 그리고 그에 대한 이유와 풀이까지 명쾌하게 풀어 내는 이 짧은 구절에 무릎을 치게 될 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