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26篇 外物  7


277` 쓸모 없는 것이 있어 쓸모 있는 것이 있다 (잡편:26.외물,7) 

- 장자(잡편) ; 제26편 외물[7]- 

혜자가 장자에게 말했다. 

“선생의 말씀은 쓸모가 없습니다.” 

장자가 말했다. “쓸데가 없음을 알아야 비로소 쓸 곳을 얘기할 수가 있습니다. 땅이란 넓고도 크기가 한이 없는 것이지만, 사람들이 걸을 때 쓰이는 것은 발로 밟는 부분뿐입니다. 그렇다고 발 크기에 맞추어 발자국만큼의 땅만 남겨놓고 나머지 부분은 황천에 이르도록 깎아낸다면 그래도 그 땅이 사람들에게 쓸모가 있겠습니까?” 

혜자가 대답했다. “쓸 수가 없을 것입니다.” 

장자가 말했다. 

그렇다면 쓸데없는 것의 쓰임도 잘 알게 되었을 것입니다.” 

- 莊子(雜篇) ; 第26篇 外物[7]- 

惠子謂莊子曰:「子言无用.」 

莊子曰:「知无用而始可與言用矣. 天地非不廣且大也, 人之所用容足耳. 然則厠足而墊之致黃泉, 人尙有用乎?」 惠子曰:「无用.」 

莊子曰:「然則无用之爲用也亦明矣.」

(혜자위장자왈:[자언무용.]

장자왈:[지무용이시가여언용의. 천지비불광차대야, 인지소용용족이. 연즉측족이점지치황천, 인상유용호?] 혜자왈:[무용.]

장자왈:[연즉무용지위용야역명의.])


厠 뒷간 측  1. 뒷간 2. 돼지우리 3. 물가 4. 곁 5. 침상(寢牀)의 주위 6. 섞다 7. 섞이다 8. 기울이다 [부수]厂(민엄호)

黃 누를 황  1. 누렇다 2. 노래지다 3. 앓다 4. 누런빛 5. 황금(黃金) 6. 늙은이 7. 어린아이, 유아(幼兒) 8. 황제(皇帝) 9. 열병(熱病) 10. 병들고 지친 모양 11. 공골말(털빛이 누런 말) 12. 곡식(穀食), 곡류(穀類)...[부수]黃(누를황)

尙 오히려 상  1. 오히려 2. 더욱이 3. 또한 4. 아직 5. 풍습(風習) 6. 풍조 7. 숭상하다(崇尙--) 8. 높다 9. 높이다 10. 자랑하다 11. 주관하다(主管--) 12. 장가들다 13. 꾸미다 14. 더하다 [부수]小(작을소)

容 얼굴 용 부수宀 (갓머리, 3획)획수총10획[사성음] róng, yǒng (róng) 1. 얼굴 2. 모양, 용모(容貌) 3. 몸가짐 4. 용량 5. 속내, 속에 든 것 6. 나부끼는 모양 7. 어찌 8. 혹(或), 혹은(或-: 그렇지 아니하면) 9. 담다, 그릇 안에 넣다 10. 용납하다(容納--) 11. 받아들이다 12. 용서하다(容恕--) 13. 치장하다(治粧--), 몸을 꾸미다  14. 맵시를 내다 15. 조용하다, 누긋하다(성질이나 태도가 좀 부드럽고 순하다) 16. 권하다(勸--), 종용하다(慫慂--) 17. 쉽다, 손쉽다 18. 어렵지 아니하다 足 발 족, 지나칠 주 부수足 (발족, 7획)획수총7획[사성음] zú, jù (zú) 1. 발 2. 뿌리, 근본(根本) 3. 산기슭 4. 그치다, 머무르다 5. 가다, 달리다 6. 넉넉하다, 충족하다(充足--) 7. 족하다, (분수를)지키다 8. 물리다, 싫증나다 9. 채우다, 충분(充分)하게 하다 10. 만족(滿足)하게 여기다 11. 이루다, 되게 하다 12. 밟다, 디디다 a. 지나치다 (주) b. 과도하다(過度--) (주) c. 더하다, 보태다 (주) d. 북(식물의 뿌리를 싸고 있는 흙)을 돋우다(도드라지거나 높아지게 하다) (주) e. 배양하다(培養--) (주)

墊 빠질 점  1. (물에)빠지다 2. 가라앉다 3. (물 속이나 깊숙한 곳에)떨어져 잠기다 4. 늘어지다 5. 지치다 6. (땅을)파다 7. 묻다, 매장하다(埋葬--) 8. 빼버리다, 계산(計算)하지 않다 9. 괴로워하다 [부수]土(흙토)

致 이를 치,빽빽할 치 1. 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到達--) 2. 다하다 3. 이루다 4. 부르다 5. 보내다 6. 그만두다 7. 주다, 내주다 8. 깁다(떨어지거나 해어진 곳을 꿰매다) 9. 꿰매다 10. 빽빽하다 11.... [부수]至(이를지)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