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26篇 外物  6


276` 그물을 두려워 않고 물새만 두려워 한다 (잡편:26.외물,6) 

사람의 능력과 지혜는 믿을 것이 못 된다 

- 장자(잡편) ; 제26편 외물[6]- 

송나라 원군이 밤에 꿈을 꾸었는데 머리를 풀어헤친 사람이 곁문으로 들여다보며 말했다. 

“저는 재로의 연못에서 온 사람입니다. 청강 신의 사자로서 황하의 신에게 가다가 고기잡이 여저에게 잡혔습니다.” 

원군은 깨어나서 사람을 시켜 꿈을 점치게 했다. 

“그는 신령스런 거북입니다.” 

원군이 말했다. “고기잡이 중에 여저라는 사람이 있는가?” 

신하들이 말했다. “있습니다.” 

원군이 말했다. “여저를 데리고 와라“ 

다음날 여저가 오자 원군이 말했다. 

“고기잡이를 하다가 무엇을 잡았는가?” 

여저가 대답했다. “저의 그물에 흰 거북이 걸렸습니다. 거북의 직경이 다섯 자나 됩니다.” 

원군이 명령했다. “그대의 거북이를 나에게 가지고 오라.” 

거북이 도착하자 원군은 거북을 죽일까 살릴까 마음의 결단을 내리지 못했다. 

다시 점을 치게 하니 거북을 죽여서 그 등껍질로 점을 치면 길하다는 것이었다. 

이에 거북을 잡아 일흔두번이나 구멍을 뚫으며 점을 치니 들어맞지 않는 일이 없었다. 

이에 대하여 공자가 말했다. 

신령스런 거북의 능력은 원군의 꿈에 나타날 줄은 알면서도 여저의 그물을 피하지는 못했다. 그의 지혜는 일흔두번이나 구멍을 뚫어 점을 쳐도 틀리는 일이 없을 정도이면서도 그의 내장이 도려내지는 환란을 피하지는 못했다. 이러니 지혜도 곤경에 놓이는 경우가 있고, 신령스러움으로도 미치지 못하는 일이 있는 것이다. 비록 지극한 지혜가 있다해도 사람들은 그를 해칠 수 있다. 물고기는 고기 그물은 두려워하지 않으면서 물새들은 두려워한다. 작은 지혜를 버려야만 큰 지혜가 밝아지고, 훌륭하다는 의식을 버려야만 스스로 훌륭해지는 것이다. 태어나 스승이 없이도 말할 수 있게 되는데, 말할 줄 아는 사람들과 함께 지내기 때문인 것이다.” 

- 莊子(雜篇) ; 第26篇 外物[6]- 

宋元君夜半而夢人被髮窺阿門, 曰:「予自宰路之淵, 予爲淸江使河伯之所, 漁者余且得予.」 

元君覺, 使人占之, 曰:「此神龜也.」 

君曰:「漁者有余且乎?」 

左右曰:「有.」 

君曰:「令余且會朝.」 

明日, 如此朝. 君曰:「漁何得?」 

對曰:「且之網得白龜焉, 其圓五尺.」 

君曰:「獻若之龜.」 

龜至, 君再欲殺之, 再欲活之, 心疑, 卜之, 曰:「殺龜以卜, 吉.」 乃刳龜以卜, 七十二鑽而无遺筴. 

仲尼曰:「神龜能見夢於元君, 而不能避余且之網. 知能七十二鑽而无遺筴, 不能避刳 腸之患. 如是, 則知有所困, 神有所不及也. 雖有至知, 萬人謀之. 魚不畏網而畏鵜鶘. 去小知而大知明, 去善而自善矣. 嬰兒生无石師而能言, 與能言者處也.」 

(송원군야반이몽인피발규하문, 왈:[여자재로지연, 여위청강사하백지소, 어자여저득여.]

원군각, 사인점지, 왈:[차신귀야.]

군왈:[어자유여저호?]

좌우왈:[유.]

군왈:[령여저회조.]

명일, 여차조. 군왈:[어하득?]

대왈:[저지망득백귀언, 기원오척.]

군왈:[헌약지귀.]

귀지, 군재욕살지, 재욕활지, 심의, 복지, 왈:[살귀이복, 길.] 내고귀이복, 칠십이찬이무유책.

중니왈:[신귀능견몽어원군, 이불능피여저지망. 지능칠십이찬이무유책, 불능피고 장기환, 여시, 즉지유소곤, 신유소불급야. 수유지지, 만인모지. 어불외망이외제호. 거소지이대지명, 거선이자선의. 영아생무석사이능언, 여능언자처야.])


宰 재상 재  1. 재상(宰相) 2. 가신(家臣) 3. 우두머리 4. 벼슬아치, 관원(官員) 5. 주재자(主宰者) 6. 요리사(料理師) 7. 무덤, 분묘(墳墓) 8. 주관하다(主管--), 다스리다 9. 도살하다(屠殺--) 10. (고기를)저미다(여러... [부수]宀(갓머리)

漁 고기 잡을 어  1. 고기 잡다 2. 빼앗다 3. 사냥하다 4. 약탈하다 5. 고기잡이 6. 어부 [부수]氵(삼수변)

窺 엿볼 규  1. 엿보다 2. 훔쳐보다 3. 살펴보다 4. 꾀하다 5. 반걸음 내디디다 6. 반걸음 [부수]穴(구멍혈)

余 나 여,남을 여  1. 나 2. 나머지(=餘) 3. 나머지 시간(時間) 4. 여가(餘暇) 5. 여분 6. 정식 이외의 7. 다른 8. 남다 9. 남기다 [부수]人(사람인)

且 또 차,공경스러울 저,도마 조  1. 또, 또한 2. 우선 3. 장차(將次) 4. 만일(萬一) 5. 구차하다(苟且--) a. 공경스럽다(恭敬---) (저) b. 머뭇거리다 (저) c. 어조사(語助辭) (저) d. 도마 (조) e. 적대(炙臺: 제사 때 산적을 담는 그릇)...[부수]一(한일)

龜 땅 이름 구,거북 귀,터질 균  1. 땅의 이름 2. 나라의 이름 a. 거북(거북목의 동물 총칭) (귀) b. 거북 껍데기 (귀) c. 등골뼈 (귀) d. 본뜨다 (귀) e. 패물(貝物) (귀) f. 터지다 (균) g. 갈라지다 (균) [부수]龜(거북귀)

獻 드릴 헌,술두루미 사,위의 있을 의  1. 드리다 2. 바치다 3. 올리다 4. 나타내다 5. 표현하다(表現--) 6. 보이다 7. 권하다(勸--) 8. 나아가다 9. 좋다 10. 맞다 11. 바치는 물건(物件) 12. 어진 이, 현자(賢者) a. 술두루미(술을 담는 두루미)... [부수]犬(개견)

刳 가를 고  1. 가르다 2. 쪼개다 3. 파다 4. 도려내다 [부수]刂(선칼도방)

卜 점 복,무 복,짐바리 짐  1. 점(占) 2. 점괘(占卦) 3. 점쟁이 4. 점치다(占--) 5. 갚다 6. 주다 7. 상고하다(詳考--) 8. 헤아리다 9. 무(십자화과의 채소) a. 짐바리(마소로 실어 나르는 짐) (짐) [부수]卜(점복)

鑽 뚫을 찬  1. 뚫다 2. 끌다 3. 모으다 4. 깊이 연구하다(硏究--) 5. 파고들다 6. 상상하다 7. 생각하다 8. 비위를 맞추다 9. 아첨하다(阿諂--) 10. 송곳 11. 빈형 12. 날(=鋒刃) 13. 금강석(金剛石) 14. 다이아몬드 [부수]金(쇠금)

遺 남길 유,따를 수  1. 남기다, 남다 2. 끼치다, 전하다(傳--) 3. 잃다 4. 버리다, 유기하다(遺棄--) 5. 잊다 6. 두다, 놓다 7. 떨어지다, 떨어뜨리다 8. 빠지다, 빠뜨리다 9. 쇠퇴하다(衰退ㆍ衰頹--) 10. 빠르다 11. 더하다,... [부수]辶(책받침)

筴 낄 협,점대 책  1. 끼다 2. 집다 3. 기뻐하다 4. 집게 a. 점대(占-: 점을 치는 데에 쓰는 댓가지) (책) b. 대쪽 (책) c. 계책(計策) (책) d. 꾀 (책) e. 꾀하다 (책) [부수]竹(대죽)

鵜鶘 사다새. 사다샛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鵜 사다새 제  1. 사다새(사다샛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2. 접동새(두견. 두견과의 새) 3. 두견이(杜鵑-: 두견과의 새) [부수]鳥(새조)

鶘 사다새 호  1. 사다새(사다샛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부수]鳥(새조)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