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조금씩배워보자/道德經

道德經 - 59 [治人事天莫若嗇]

59.治人事天莫若嗇, 夫唯嗇, 是以早服, 早服, 謂之重積德, 重積德, 則無不克, 無不克, 

   치인사천막약색  부유색  시이조복  조복  위지중적덕  중적덕  즉무불극  무불극

莫(막)없을,(모)저물,(멱)덮을,1. 없다 2. 말다, ~하지 말라 3. 불가하다 4. 꾀하다(=謨) 5. 편안하다(便安--), 안정되다(安定--) 6. 조용하다 7. 드넓다 8. 아득하다 9. 막(=膜) 10. 장막(帳幕)(=幕) a. 저물다 (모) b. (날이)어둡다...,[mò]1.[부사] …않다. …못하다. [동사·형용사 등의 앞에 쓰여 부정을 나타냄]2.[부사] …하지 마라. …해서는 안 된다.3.[부사] 혹시〔설마〕 …란 말인가? 혹시〔설마〕 …인가? 설마 …는 아니겠지? [추측이나... /嗇(색)아낄,1. 아끼다 2. 아껴 쓰다 3. 인색하다(吝嗇--) 4. 탐내다(貪--) 5. 곡식(穀食)을 거두다(=穡)/服(복)옷,1.[동사] (직무를) 맡다. 담당하다. 복무하다. (의무에) 종사하다.2.[동사] 복역하다. 징역을 살다.3.[동사] 따르다. 믿고 복종하다.


則莫知其極, 莫知其極, 可以有國, 有國之母, 可以長久, 是謂深根固柢, 長生久視之道. 

즉막지기극  막지기극  가이유국  유국지모  가이장구  시위심근고저  장생구시지도

柢(저)뿌리



- 참고 : 사람을 다스리고 하늘을 섬기는 일에는, 검소함만한 것이 없다. 그저 검소해야 하는 것이니, 이를 '먼저 한다'고 부른다. '먼저 한다'는 것은 덕을 거듭 쌓는 것이다. 덕을 거듭 쌓다보면 이겨내지 못할 것이 없다. 이겨내지 못할 것이 없다는 것은 그 끝을 모른다는 것이다. 끝을 모를 정도라면, 한 나라를 얻을만 하다. 나라를 얻어 그 어미가 되면, 오래갈만 하다. 이를 '뿌리가 깊고 단단히 뻗어, 오래 살고 길게 볼 수 있는' 도라 부른다.



- 참고자료 : [출처 : http://www.zxuew.cn/daodejing/]

—————————原文版—————————


治(zhì)人(rén)事(shì)天(tiān),莫(mò)若(ruò)啬(sè)。

夫(fū)为(wéi)啬(sè),是(shì)谓(wèi)早(zǎo)服(fú);

早(zǎo)服(fú)谓(wèi)之(zhī)重(zhòng)积(jī)德(dé);

重(zhòng)积(jī)德(dé)则(zé)无(wú)不(bù)克(kè);

无(wú)不(bù)克(kè)则(zé)莫(mò)知(zhī)其(qí)极(jí);

莫(mò)知(zhī)其(qí)极(jí),可(kě)以(yǐ)有(yǒu)国(guó);

有(yǒu)国(guó)之(zhī)母(mǔ),可(kě)以(yǐ)长(cháng)久(jiǔ);

是(shì)谓(wèi)深(shēn)根(gēn)固(gù)柢(dǐ),

长(cháng)生(shēng)久(jiǔ)视(shì)之(zhī)道(dào)。


[译文]


“治人事天,莫若啬,夫为啬,是谓早服。”


治理国家,要像保护自然一样顺其自然(万物有自己的生存法则,任由它自生自灭咱们不加以干扰),所以只有这样才能尽早顺从“道”。나라를 관리함에 자연을 보호 하는 것과 마찬가기로 그 자연에 따라야 한다.(만물은 자신의 생존법칙을 갖고 있고, 마음대로 그에 의해 자생자멸하고 우리들은 지장을 더하지 말아야 하며, 따라서 이러함이 있어야만 비로소 도를 따를수 있는 것이다)

治理 [zhìlǐ]1.[동사] 통치하다. 다스리다. 관리하다. 2.[동사] 정비하다. 수리하다. 치수하다. 손질하다. 고치다./自生自灭 [zìshēngzìmiè]1.[성어] 자생 자멸하다./灭 [miè]번체 (滅) 없어질 멸 1.[동사] 불이 꺼지다. 빛이 소멸되다. 2.[동사] 불을 끄다. 소등하다. 3.[동사] 소멸하다. 멸망하다./咱 [zán]1.[대명사] 우리(들). 2.[대명사][방언] 나. 저. ☞[咱(zá), 咱(zan)]≒[俺(ǎn)]/干扰 [gānrǎo]1.[동사] (남의 일을) 방해하다. (남의 일에) 지장을 주다. 교란시키다.2.[동사][물리] (전파·신호를) 방해하다./任由 [rènyóu]1.[동사] 임의로 하게 하다. 마음대로 하게 하다.


“早服谓之重积德,重积德则无不克,无不克则莫知其极。莫知其极,可以有国,有国之母,可以长久。”


只有早顺“道”而行才能多积“德”,只有多积“德”才能“无不克”,只有“无不克”才能达到大道无穷,只有大道无穷才能达到安邦治国,只有以道为治国之本,立国之母国才能达到长治久安。단지 일찍이 도를 따르고 행해야만 덕을 많이 쌓을 수 있다, 덕을 많이 쌓아야만 “이기지 못함이 없음”을 할 수 있다. “이기지 못함”이 있어야만 영구한 편안함(구안)에 이를수 있다.



“是谓深根固柢,长生久视之道。”


所以这样的国家才是深根固柢,她的根植于长生久视之道。따라서 이러한 국가이어야 깊고 굳은 뿌리가 되어, 국가의 뿌리가 장생구시의 도에 의해 자라난다. 

植 [zhí] 1.[동사] 심다. 재배하다. 2.[동사] 양성하다. 배양하다. 수립하다. 세우다. 3.[동사][의학] 이식하다.


[长篇大论]


墨子论度


郑人是墨子的学生。他谨遵师诲,墨守成规,然而买鞋的事却惹出了大笑话。在众人的讥笑声中郑人百思不得其解,是老师错了?还是自己有问题?最后他只好向自己的老师求解。


墨子问明了原委,连连摇头。郑人问:“老师,我宁信度,不信足,有什么错吗?”


墨子思索了片刻:“宁信度,不信足。这种说法并不为过,但是你真的这么认为吗?”


郑人疑惑了:“当时我是这么认为的,但现在。现在……”


“你当时就不是这么认为的。”墨子断然否定了他的说法:“宁信度,不信足。说明度比足更重要,如果你真的这么认为。那么你到集市上去的时候为什么带着足,却没有带度?你把度忘了,说明你并不重视度,如果你真的带了度就不会惹出这么大的麻烦。”


“其实我觉得度是不需要的,我自己带着足不就够了吗?”郑人不解。


墨子仰天长叹:“我追求的是天下之度啊!凡事皆有度,我们的任务是去制定度,然后让所有的人都去遵守它,这才是我们墨家的精髓。你带着一枚度去买鞋,这显得很不方便,也没必要,可是如果你让别人帮你买鞋,度的作用可就大了。推而广之。如果我们将天下人之足皆一一测量,然后按其大小分成若干等次度,以甲乙丙丁名之,然后使人人皆知自己之度,这样一来以后买鞋只需记得自己的度名就够了,用不着每次买鞋都要测量一次。这样才能从复杂走向简单。人人有度才是我们真正的追求,广而言之:我们要做到宁信度,不信人。”

[번역 : 구글링 ^^] Zheng Mo are students. He Jinzun division Hui, legalistic, but a pair of shoes, but things stir up big joke. Laugh at the sound of the crowd of people puzzled Zheng, a teacher wrong? Or they have a problem? Finally he had to his teacher solving.


Mo asked to understand the whole story, repeatedly shook his head. Zheng asked: "Teacher, I would prefer reliability, do not believe enough, what's wrong with you?"


Mo thought for a moment: "I would rather reliability, do not believe this statement is not enough too, but you really think so?"


Zheng people wondering: "I think so, but now ...... now."


. "You would not think so at the time of" Mo categorically denied his statement:.. "Rather reliability, do not believe enough is more important than the description of the foot, if you really think so then you go to the market when Why with foot, but not with the degree? degree you forget that you do not pay attention to the degree, if you really brought a degree would not stir up so much trouble. "


"Actually, I think the degree is not required, I do not take enough enough?" Zheng people puzzled.


Mo Yangtianchangtan: "I seek is the degree of the world of things are degrees ah, our task is to develop degrees, then let all the people to obey it, this is the essence of our Mohists you take one!. of gold to buy shoes, which seem inconvenient, it is not necessary, but if you let others help you buy shoes, the role may make a big degree. By extension, if the people of the world we are one measure of the foot and then and other times its size into several degrees to the name of B, CD, and then make their own degree of publicity about it, so that after a pair of shoes just to remember his own name degree is enough, do not need every pair of shoes . must be measured once in order to have everyone from the simple to the complex degree is our real pursuit, broadly speaking: we have to do rather reliability, 



- 준이해석 : 사람을 다스리고 하늘을 섬김에 아끼는 것 만한 것이 없다. 그대가 오직 아낄줄 안다면 이는 早服(일찍 실행하기)으로서 이다. 早服은 거듭 덕을 쌓는 것이라고 말한다. 거듭 덕을 쌓는다면 이기지 못함이 없어진다. 이기지 못함이 없는 것은 즉, 그 다함을 알 수 없는 것이다. 그 다함을 알지 못한다면 나라를 가질 수 있다. 나라의 어머니가 있다면 오래 오래 갈 수 있다. 이를 일컬어 깊고 단단한 뿌리라고 한다. 이는 오래 살고 오래 살피는 도라 한다.


- 준이생각 : 도를 실행하려면 덕을 쌓아야 한다. 덕을 쌓기 위해서는 ‘早服’을 해야 하는데, 이를 행하는데 “啬”과 같은 것이 없다고 한다. 啬은 ‘아끼는 것’을 말하고, 早服은 이러한 아낌을 행하는 것을 일찍이 실행하는 것을 말한다고 본다. 아낀다는 것을 무엇을, 어떻게, 왜, 언제 아낀다는 것일까? 그리고 왜 하필 아낀다라는 것으로 표현한 것일까 ? 아낀다의 반대말을 생각해 본다면, ‘낭비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아끼는 것과 그 반대편의 낭비하다를 놓고 본다면 어떨까? 그것이 정신과 관련된것이라면, 조금 안다고 그것을 방자하게 자랑하고 아전인수식으로 조금 아는 지식을 자식의 이익으로 삼으려고 안간힘을 쓰는 것일 게고, 그것을 아낀다는 것은 그것을 굳이 드려 내려 하지 않고 그것을 통하여 자신을 수양하고 자신의 행동의 엄격한 잣대로 적용함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사물에 관한 것이라면, 필요한 한 만큼만 준비하고 사용하는 것이 아낀다는 것이고, 이를 두서 없이 대충 준비하여 쓰고 남아 이를 버리거나 훼손하는 것이 낭비일 것이다. 이것을 입 밖에 내는 ‘말’에 적용해 보면 꼭 필요한 때에 가장 필요한 내용과 양만을 적절히 하는 것이 말을 아끼는 것이고, 이를 여기 저기 퍼뜨리고 조잘 대는 것이 바로 말을 낭비한 것이 아닐까 ?  그렇다면 ‘아낀다啬’를 좀더 현실에 맞는 말로 바꾸어 본다면 검소, 소박, 질박, 순후 이런 것으로 보아야 되지 않을까 한다. 이러한 삶을 일찍부터 실행하여(早服), 하루 하루 삶속에서 덕을 쌓아가게 되면 ‘이기지 못하는 것이 없는’경지에 오르게 되고 즉 ‘모든 사람과 사물이 발 벗도 나서서 도와 주는 상태‘ 가 되는 것이고 이 정도면 나라를 가지게 되고 순수히 덕을 쌓은 그대는 나라의 어머니가 되리니 그 나라와 그대는 오랫동안 지속될 것이다. 이는 높게 쌓은 덕이 바로 깊고 단단한 뿌리처럼 되기 때문이고 이러한 도를 長生久視(길이 살며 오랫동안 살피는)의 도라고 한다. 대충 이렇게 해석을 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