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조금씩배워보자/道德經

道德經 - 69 [用兵有言]

69.用兵有言, 吾不敢爲主而爲客, 不敢進寸而退尺, 是謂行無行, 

   용병유언  오불감위주이위객  불감진촌이퇴척  시위행무행



攘無臂, 扔無敵, 執無兵, 禍莫大於輕敵, 輕敵幾喪吾寶, 故抗兵相加, 哀者勝矣. 

양무비  잉무적  집무병  화막대어경적  경적기상오보  고항병상가  애자승의

攘(양)물리칠,(녕,영)어지러울,1. 물리치다, 내쫓다 2. 제거하다(除去--), 없애다 3. 훔치다, 가로 채다 4. 침탈하다(侵奪--), 빼앗다 5. 어지럽히다 6. 겸손하다(謙遜ㆍ謙巽--) 7. 물러나다 8. 사양하다(辭讓--) 9. 걷다, 걷어 올리다.../臂(비)팔/扔(잉)당길, 부술/幾(기)몇,1. 몇, 얼마, 어느 정도 2. 그 3. 거의 4. 어찌 5. 자주, 종종 6. 조용히, 조용하고 공손(恭遜)하게 7. 바라건대, 원하건대 8. 가, 언저리 9. 기미(幾微ㆍ機微), 낌새 10. 조짐(兆朕), 징조(徵兆) 11..../抗(항)겨룰, (강)큰 길,1. 겨루다 2. 대항하다(對抗--), 대적하다(對敵--) 3. 들다, 들어 올리다 4. 막다, 저지하다(沮止--) 5. 높다 6. 올리다, 승진시키다(昇進ㆍ陞進---) 7. 구하다(求--), 두둔하다(斗頓--) 8. 감추다, 숨기다.../相加 [xiāngjiā]1.[동사][수학] 더하다. 덧셈하다. 2.[동사] 덧붙이다. 더하다. 3.[동사] (상대에게) 가하다. (압력이나 영향 등을) 주다. 넣다./哀 [āi]1.[형용사] 슬프다. 비통하다. 애달프다.

2.[동사] 불쌍히 여기다. 가엾게 여기다. 3.[동사] 애도하다. ≒[悼(dào), 悲(bēi)]↔[乐(lè), 喜(xǐ)]




- 참고 : 병법에 이런 말이 있다. "나는 감히 선제공격은 하지 않으니 다만 끌려갈 뿐이다. 감히 한 뼘도 진군하려하지 않고 오히려 한나절이나 물러선다." 이를 일러 진 없는 행군, 팔 없이 휘두르는 주먹, 없는 적을 무찌름, 없는 병사를 잡음이라고 한다. 적을 가볍게 보는 것처럼 큰 화가 없으니, 적을 가볍게 보면 내 보배를 거의 잃을 것이다. 그러므로 병사를 서로 다툴 때, 슬퍼하는 자가 이기는 법인게다.




- 참고자료 : [출처 : http://www.zxuew.cn/daodejing/]

—————————注音版—————————


用(yòng)兵(bīng)有(yǒu)言(yán):

吾(wú)不(bù)敢(gǎn)为(wéi)主(zhǔ),而(ér)为(wéi)客(kè);

不(bù)敢(gǎn)进(jìn)寸(cùn),而(ér)退(tuì)尺(chǐ)。

是(shì)谓(wèi)行(xíng)无(wú)行(xíng);

攘(rǎng)无(wú)臂(bì);扔(rēng)无(wú)敌(dí);

执(zhí)无(wú)兵(bīng)。祸(huò)莫(mò)大(dà)于(yú)轻(qīng)敌(dí),

轻(qīng)敌(dí)几(jǐ)丧(sàng)吾(wú)宝(bǎo)。

故(gù)抗(kàng)兵(bīng)相(xiāng)若(ruò),

哀(āi)者(zhě)胜(shèng)矣(yǐ)。


[译文]


“用兵有言:吾不敢为主,而为客;不敢进寸,而退尺。是谓行无行,攘无臂。扔无敌,执无兵。”


兵书上说:我不敢主动挑起战端,而是采用守势。我不敢冒进半寸,宁可退后一尺。这就是所说的以无阵之阵来抗击,以无臂之臂夺取。以无兵之兵战斗,以无敌之心对敌。병서에서 말하길 : 나는 감히 전쟁의 실마리를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방어태세를 취한다. 나는 감히 반 마디를 들어가려 무릅쓰지 않는다, 차라리 한 척을 후퇴한다. 이것은 바로 소위 말하는  저항하며 반격하는 것에서 온 무진지의 진이다. 이는 무팔의 팔 쟁취이고, 병사 없는 병사의 전투이고, 적에 대해 적이 없는 마음을 통해서이다.

挑起战端 [tiǎoqǐzhànduān]1. 전쟁의 실마리를 일으키다./挑起 [tiǎoqǐ]1.[동사] 들어올리다. 내걸다.2.[동사] 야기하다. 불러일으키다. 도발하다. 선동하다./采用 [cǎiyòng]1.[동사] 채용하다. 채택되다. 적합한 것을 골라 쓰다. 응용하다./守势 [shǒushì]1.[명사] 수세. 방어 태세. ↔[攻势(gōngshì)]/冒 [mào] (冐) 무릅쓸 모 1.[동사] (위험을) 무릅쓰다. 아랑곳하지 않다. 개의치 않다. 2.[동사] (밖으로) 내뿜다. 터져 나오다. 튀어나오다. 내밀다. 발산하다. 3.[동사] 속이다. 사칭하다. 가장하다./宁可 [nìngkě]1.[부사] 차라리 …할지언정. 설령 …할지라도. [주로 ‘决不(juébù)·也不(yěbù)’와 호응하여 쓰임]/抗击 [kàngjī]

1.[동사] 저항하며 반격하다./夺取 [duóqǔ]1.[동사] (무력으로) 빼앗다. 2.[동사] 애써서 얻다. 쟁취하다./战斗 [zhàndòu]1.[명사] 전투. 2.[명사][비유] 전투. 투쟁. [무엇을 쟁취하거나 발전시키기 위한 격렬한 활동] 3.[동사] 전투하다. 교전하다.


“祸莫大于轻敌,轻敌几丧吾宝。故抗兵相若,哀者胜矣。”


祸莫大于轻敌逞强,轻敌逞强就要丧失三宝。所以俩兵相对,仁慈者胜。적을 가볍게 여기고 잘난체 함에서 막대한 화가 생기고, 적을 가볍게 여기고 잘 난체 하는 것은 바로 세가지 보물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두 군대가 서로 맞대어, 인자한 쪽이 승리 한다. 

逞强 [chěngqiáng]1.[동사] 잘난 척하다. 으스대다. 위세를 부리다. 지기 싫어하다.



[长篇大论]


借禅宗智慧开启成功门


“讲座开始前,我想同大家分享一个特殊的因缘。”“全球通名家讲谈”的现场,吴言生双手合十,难掩内心的激动。“我今天站立的这个地方,很有佛缘,它的名字叫佛山;而佛山的中心,又是一个很有禅意的地方,叫禅城。在佛山、在禅城讲佛教思想,讲禅宗智慧,有佛缘,有禅意。”

讲座 [jiǎngzuò]1.[명사] 강좌./分享 [fēnxiǎng]1.[동사] (기쁨·행복·좋은 점 등을) 함께 나누다〔누리다〕./掩 [yǎn]1.[동사] 가리다. 숨기다. 2.[동사] 닫다. 덮다. 3.[동사][방언] (문·창문 등을 닫을 때 손·물건 따위가 사이에) 끼다. 물리다./缘 [yuán](緣) 가장자리 연1.[동사][문어] …을〔를〕 따르다. 2.[개사][문어] …때문에. …을〔를〕 위하여. [원인이나 목적을 나타내며, ‘因为(…때문에)·为...3.[명사] 원인. 이유. 까닭.

 


“太虚大师说,中国佛教的特质在禅,禅宗也一直是中国佛教中最重要的宗派。”对于遍参禅门的吴言生来说,禅宗智慧是净化心灵、提升境界的法宝。他开宗明义地指出,“禅的最终目标是开悟。”在众人眼中,“开悟”是何等深奥的字眼,但在吴言生看来,禅是最生动、平常的智慧。

心灵 [xīnlíng]1.[명사] 심령. 정신. 영혼. 마음. 2.[형용사] 재치 있는. 눈치 빠른. 기민한. 영리한. 총명한. 똑똑한./提升 [tíshēng]1.[동사] 진급하다. 진급시키다. 발탁〔등용〕하다. 2.[동사] (권양기 따위로 광물·재료 등을) 높은 곳으로 운반하다./目标 [mùbiāo]  1.[명사] 목표. ≒[目的(mùdì)]2.[명사] 목적물. 표적./悟 [wù]1.[동사] 이해하다. 알다. 각성하다. 깨닫다./字眼 [zìyǎn]1.[명사] (문장 내의) 글자. 어휘. 말


放下,便是担当

放下 [fàngxià]1.[동사] (물건을) 내려놓다. 2.[동사] 내버려 두다. 진행을 멈추다. 3.[동사] 넣다. 수용하다./担当 [dāndāng]1.[동사] 담당하다. 맡다. 책임지다. ≒[肩负(jiānfù), 担负(dānfù)] 2.[명사] 담당. 책임.


“有人问慧海禅师:什么是修行?禅师说:饥餐困眠。学人不理解,说:我也是困了就睡,饿了就吃,为什么就不是修行?禅师告诉他:通常世人在吃饭的时候,不肯吃饭,总是想这想那,千般计较;在睡觉的时候不肯睡觉,总是梦这梦那,万种思量。所以他们吃饭的时候是在分别计较,睡觉的时候是在颠倒梦想。”

计较 [jìjiào]1.[동사] 따지다. 계산하여 비교하다. 염두에 두다. 문제시하다. 2.[동사] 논쟁하다. 승강이하다. 3.[동사] 계획〔생각〕하다. 상의〔상담〕하다. 협상하다./肯 [kěn]  1.[명사][문어] 뼈에 붙어 있는 살. 2.[동사] 승낙하다. 동의하다. 받아들이다. 3.[동사] (동사·형용사 앞에 쓰여) 기꺼이 동의하다./颠倒 [diāndǎo]1.[동사] (상하·전후의 위치가 원래와 달리) 뒤바뀌다. 전도되다. 2.[동사] 착란하다. 뒤섞여 어수선하다.


人类的童年时代,总是和所居住的这个世界浑然一体,但随着分别意识的生起,开始追名逐利、刻意钻营地度过一生。“生命的旅途上,到处都是疲惫的流浪者。因为我们看不破,放不下。禅宗常说,舍得舍得,能舍才能得。放下妄想,得到的是智慧。但是,‘放下’并不是枯木死灰,也不是缺乏担当。”几句禅语过后,吴言生搬出了鲜活的故事。

浑然一体 [húnrányìtǐ]1.[성어] 혼연일체가 되다. 완전히 하나로 어우러지다. ↔[支离破碎(zhīlípòsuì)]


“从前有位老婆婆供养了一位僧人,又请来一个妙龄少女给和尚端茶倒水。一天,老婆婆想测测这个出家人的修行到底到了哪种地步,就授意姑娘在送饭的时候一把抱住和尚,问他感觉如何。和尚的回答非常坚决:枯木已寒烟,三冬无暖意。意思是说,我感觉自己像一根枯死了的木头,在数九寒冬的天气里,心里面没有任何的暖意。在一般人看来,这位出家人的修行已经到了无情无欲的高深地步。但老婆婆听完姑娘的转述,却生气地将出家人赶走了。”


故事讲完,“全球通名家讲谈”的现场观众都在纳闷:这老婆婆怎么如此决断?


“枯木禅确实是修行的很高境界,却并非最彻底。枯木不能逢春,就是死灰,失去了爱心,也失去了承担。”言毕,吴言生又微笑着引出了另一个故事。


“一日大雨,小河涨满水,一个年轻女子在岸边踯躅,不敢过河。一位大和尚带着徒弟云游到此,便将姑娘抱到河对岸。姑娘回眸一笑,道谢而去,师徒二人也继续上路。小和尚觉得师傅做得不对,在心里嘀咕了半晌,终于忍不住问道:‘佛陀不是教导我们出家人不近女色吗?今天您怎么把那个姑娘给抱起来了呢?’师傅听后大笑:‘我早已把那姑娘放下了,你还一直把她抱在心里呢。’所以说,禅的智慧在于能在一个恰当的尺度内收放自如。人生也是一样,如果没有了承担,生命就没有了热情与责任,但当承担变成了负担,又失去了灵性和洒脱。”几句利落的点评,为吴言生赢得了满堂掌声。


现代管理的出路


2500年前,释迦牟尼在灵山会上拈花示众,诞生了“禅”;1400多年前,达摩大师又将禅带到中国。这样一种智慧早已被融入中国传统文化的点滴之中,被人们运用于生活的方方面面,包括企业的经营、管理。


传统的西方管理学是一种刚性、机械的管理,“以制度为中心,以量化考核为形式”,将人视为无差别的管理对象。当西方管理学的发展陷入困境时,他们开始反省,希望在东方智慧中找到走出困境的要旨。“韩国、日本的一些成功企业家就充分汲取了禅宗的智慧,禅式管理应运而生。禅式管理不是把自己的主观意识强加给被管理者,而是按照事物自身的规则来管理,激发每个员工内在的主动性和创造精神,关心人的心灵,尊重人的价值,重视人的成长。”


“全球通名家讲谈”的很多观众都是企业人士,“以人为本”总是他们挂在口头的管理名词,可如何与禅的智慧结合、真正落到实处,却是难题。


吴言生将禅式管理的内涵提炼为四点:“第一,平等。佛教对一切生命都无条件地加以尊重、关爱,所谓‘春色无高下,花枝自短长’。一个睿智的管理者不应该将自己凌驾于被管理者之上,而要共同努力、合作无间,从而一起走向成功。”


“第二点内涵是敬重。古代,有一个寺院的大饼做得非常好,香客纷纷捐出重金以求得品尝大饼的机会。一个乞丐拿着三文钱也想买一个大饼,方丈收下了钱,给了乞丐一个饼。十几年以后,事业有成的乞丐专程上山拜谢禅师当年的一饭之恩。方丈施给乞丐一个大饼是为了让他不挨饿,而收下那三文钱则是为了给他尊严。这样的一种尊敬可以激励人的一生,精神力量是非常大的。”


禅式管理的第三点内涵是包容。俗话说,“水至清则无鱼”,禅宗里也有一句话,“规矩不可行尽”。规章制度若定得太死,被管理者没有了任何弹性与空间,管理的绩效反而会大打折扣。“‘手把青秧插满田,低头便见水中天,六根清净方为道,退步原来是向前’,说的就是这个道理。”


 


禅式管理内涵的最后一点,吴言生将其归结为“感恩”。“每一个人的成功都是无数人帮助的结果。只有感恩,生活才会更充实,事业才会更辉煌,人生才会更成功!”


用出世心做入世事


“佛教倡导的是出世,而企业的精神却代表着积极入世,佛教思想与企业精神之间是否存在冲突?”一位现场观众的提问代表了很多人对佛教的疑惑,这也让吴言生发觉,原来有不少人对于佛教的理解还有偏差。


“首先,佛教并非出世而是入世的。大成佛教讲‘普度众生’、‘悲智双运’,说的就是一个修佛之人光是觉悟了远远不够,还必须来到世间,拯救其他的人。所以说佛教的精神是入世的,甚至是济世的。其二,日本明治时期的禅宗高手铃木正三曾提出‘工作坊就是道场’这个概念,在企业界的精英里非常流行。我们的工厂、企业就是我们修道的地方。出家人用爱心、平等、敬重、包容、感恩来管理道场,我们也可以用同样的精神来管理企业,企业也能因此产生凝聚力、向心力。”


开启了对佛教的认识之后,现场观众的思考就越来越深入,追问也愈来愈切。“佛教一直提倡放下,中国传统文化提倡的也是中庸忍让,这和现在社会中所提倡的积极进取是否存在冲突呢?我们该如何用禅宗更好地去解释它?”


 


“这就回到了我开头所讲的‘放下’与‘担当’,如何将它们与现实生活更加紧密地联系起来。一位名叫蒙克夫·基德的登山家,在不带氧气瓶的情况下,多次跨过海拔6500米的登山死亡线。许多人感到不可思议,基德却淡然地说:‘无氧登山最大的障碍是欲望。在空气稀薄的高山上,任何一个小小的杂念都会使你需要更多的氧气。为了登上峰顶,为了使四肢获得更多的氧气,必须学会拔除一切欲望和杂念。’当我们攀到了人生、事业的高处,一旦杂念过多,就会跌下来。要成功,就必须放下。这里的放下,并非是放下对事业的热爱与责任,而是放下杂念,释放潜能,从而更好更勇猛地达成我们生命的伟大目标。”


看着众人脸上或多或少显露的“顿悟”,吴言生欣喜地说:“最后送给大家一句话吧:用出世的心做入世的事业,用加法来工作,用减法来生活。这样,才能回归本心,享受智慧人生!”




- 준이해석 : 군사를 쓰는 것에 관한 말이 있다. 나는 감히 주인이 되지 않고 손님이 된다. 감히 한 마디를 전지하지 않고 한 척을 후퇴한다. 이는 행하지 않으면서 행하는 것, 팔 없이 물리치기, 적없이 쳐부수기, 군사 없이 장악하기를 말하는 것이다. 화禍는 적을 가벼이 여길 때 실로 크다. 적을 가벼이 여기면 종종 나의 보물을 잃게 한다. 고로 군사가 서로 더하여 대적함에 가엾게 여기는 자가 승리한다. 



- 준이생각 : 전쟁에 있어서 주인을 하지 않고 손님이 된다는 말은 필시 먼저 싸움을 걸고, 먼저 공격을 하고, 싸움의 빌미를 먼저 만들지 않고, 오히려 수동적으로 지키는 쪽을 한다는 의미로 보인다. 한 마디만큼을 전진하려 하기 보다는 한척 만큼을 후퇴하겠다는 말도, 오히려 상대의 공격을 기다려 그에 조용히 대응하겠다는 것이고, 이는 하지 않음의 함이고, 팔을 쓰지 않고 물리침이고, 적이 없이 처 부수는 것이고, 병사를 쓰지 않고 함락시킴이라고 하니 내용이 그대로 지금까지 노자가 설파하는 무위의 위라 할 수 있다. 실은 한 마디나 한 척이나 거대한 전쟁터로 보자면 도찐 개찐으로 여겨 지지만 그 만큼이라도 섣부른 선제 공격을 하지 않는다는 걸로 보인다. 그리고 적을 가벼이 여기면 막대한 화가 온다고 하고 또한 나의 보물을 상하게, 죽게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문장에 병사가 서로 더하여 싸운다고 하였는바, 이는 바로 전쟁이나 전투가 아닌가 생각 되고, 슬픈자가 승리 한다는 것은 그냥 슬프다기 보다는 인자한 마음으로 대하기에 진정으로 용기가 생기고, 적에 대해서도 가벼이 여기지 않고 그 생명의 중함을 느끼고 이를 아끼는 마음으로 싸우는 사람(? 이런 사람은 거의 성자에 가까운 수준)이 승리한다고 하는 것이다. 이런 사람이 전쟁터에 나올 일조차 없다고 느껴지지만, 아비규환의 전쟁터에 이런 사람이 부리는 군사들이 나타난다면 진정 이기리라 보인다. 이미 아군도 적군도 마음이 그리 가기 때문에...오늘의 문장도 부쟁에 이어지는 내용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