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9
311` 작은 도적은 잡히고 큰 도적은 제후가 된다 (잡편:29.도척,9)
- 장자(잡편) ; 제29편 도척[9]-
자장이 만구득에게 물었다. “어찌하여 인의를 행하지 않습니까? 인의를 행하지 않으면 신용을 얻지 못하고, 신용을 얻지 못하면 벼슬에 임용되지 못하며, 벼슬에 임용되지 못하면 이익이 없게 됩니다. 그러므로 명성의 관점에서 보든지, 이익으로 계산하든지 인의야말로 가장 좋은 것입니다. 만약 명예나 이익을 버린다 하더라도 마음에 돌이켜 생각해 볼 때, 선비가 행동함에 있어서 인의는 하루도 행하지 않을 수 없는 것입니다.”
만구득이 말했다.
“수치를 모르는 자가 부자가 되고, 말이 많은 자가 출세합니다. 큰 명예와 이익이란 수치도 모르고 말만 많은 자들에게 돌아갑니다. 그러므로 명예란 관점에서 보든, 이익으로 계산하든 말 많은 것이 가장 좋은 것이 됩니다. 만약 명예와 이익을 내버리고 마음에 돌이켜 생각해 본다면 선비의 행동으로서는 그의 천성을 간직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입니다.”
자장이 말했다.
“옛날에 걸왕과 주왕은 천자라는 귀한 자리에 있으면서 온천하의 부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지금 노예들에게라도 너의 행동이 걸이나 주와 같다고 하면, 곧 부끄러운 빛을 띠며 마음으로 인정하지 않으려 하는데, 그들은 이러한 사람들까지도 천하게 여기는 대상입니다. 공자와 묵자는 필부로서 궁하게 지냈습니다. 그러나 지금 재상 자리에 있는 사람들에게라도 당신의 행동이 공자와 묵자 같다고 말하면 곧 얼굴빛을 바꾸면서 그런 정도에 이르기에 부족하다고 말하게 되는데, 이들은 선비들이 진실로 존귀하게 여기는 대상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천자의 권세를 지녔다 하더라도 반드시 존귀하지 않을 수 있고, 필부로서 궁하게 지낸다 하더라도 반드시 천한 것은 아닙니다. 귀천의 구분은 행동이 아름답고 악한 것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입니다.”
만구득이 말했다.
“작은 도적은 잡히고 말지만 큰 도적은 제후가 됩니다. 그런데 제후의 문하에는 의로운 선비들이 모이게 됩니다. 옛날의 제나라 환공 소백은 자기의 형을 죽이고 형수를 부인으로 삼았으나, 현명한 관중이 그의 신하가 되었습니다. 전성자 상은 제나라 임금을 죽이고 나라를 훔쳤으나, 공자는 그로부터 폐물을 받았습니다. 관중과 공자를 얘기함에 있어서는 그들을 천하게 보면서도 실지로 행동함에 있어서는 그들 아래에 머리를 숙이고 있습니다. 그러니 말과 행동의 실제 문제가 모순을 이룬 채 가슴속에서 싸우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러니 이치에 어긋난 것이 아닙니까?
그러므로 옛 책에서 말하기를「어떤 것이 나쁘고 어떤 것이 아름다운지 알 수가 없다. 성공을 하면 우두머리가 되어 존경받고, 성공하지 못하는 자는 꼬리가 되어 천대받게 된다」고 했습니다.”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9]-
子將問於滿苟得曰:「盖不爲行? 无行則不信, 不信則不任, 不任則不利. 故觀之名, 計之利, 而義眞是也. 若棄名利, 反之於心, 則夫士之爲行, 不可一日不爲乎!」
滿苟得曰:「无恥者富, 多信者顯. 夫名利之大者, 幾在无恥而信. 故觀之名, 計之利, 而信眞是也. 若棄名利, 反之於心, 則夫士之爲行, 拘其天乎!」
子將曰:「昔者桀紂貴爲天子, 富有天下, 今謂臧聚曰, 汝行如桀紂, 則有怍色, 有不服之心者, 小人所賤也. 仲尼墨翟, 窮爲匹夫, 今謂宰相曰, 子行如仲尼墨翟, 則變容易色稱不足者, 士誠貴也. 故勢爲天子, 未必貴也. 窮爲匹夫, 未必賤也. 貴賤之分, 在行之美惡.」
滿苟得曰:「小盜者拘, 大盜者爲諸侯, 諸侯之門, 仁義存焉. 昔者桓公小白殺兄入嫂, 而管仲爲臣. 田成子常殺君竊國, 而孔子受幣. 論則賤之, 行則下之, 則是言行之情悖戰於胸中也, 不亦拂乎! 故書曰:‘孰惡孰美? 成者爲首, 不成者爲尾.’」
(자장문어만구득왈:[합불위행? 무행즉불신, 불신즉불임, 불임즉불리. 고관지명, 계지리, 이의진시야. 약기명리, 반지어심, 즉부사지위행, 불가일일불위호!]
만구득왈:[무치자부, 다신자현. 부명리지대자, 기재무치이신. 고관지명, 계지리, 이신진시야. 약기명리, 반지어심, 즉부사지위행, 구기천호!]
자장왈:[석자걸주귀위천자, 부유천하, 금위장취왈, 여행여걸주, 즉유작색, 유불복지심자, 소인소천야. 중니묵적, 궁위필부, 금위재상왈, 자행여중니묵적, 즉변용이색칭부족자, 사성귀야. 고세위천자, 미필귀야. 궁위필부, 미필천야. 귀천지분, 재행지미악.]
만구득왈:[소적자구, 대도자위제후, 제후지문, 인의존언. 석자환공소백살형입수, 이관중위신. 전성자상살군절국, 이공자수폐. 론즉천지, 행죽하지, 즉시언행지정패전어흉중야, 불역불호! 고서왈:’숙악숙미? 성자위수, 불성자위미.’])
苟 진실로 구,구차할 구 1. 진실로(眞實-), 참으로 2. 다만, 단지(但只) 3. 겨우, 간신히 4. 만약(萬若) 5. 구차하게(苟且--) 6. 바라건대 7. 잠시(暫時) 8. 구차하다(苟且--), 구차(苟且)하게 굴다 9. 미봉하다(彌縫--: 일의... [부수]艹(초두머리)
盖 덮을 개,어찌 합 1. 덮다 2. 덮어씌우다 3. 숭상하다(崇尙--) 4. 뛰어나다 5. 해치다(害--) 6. 뚜껑 7. 덮개 8. 하늘 9. 상천(上天) 10. 일산(日傘: 자루가 굽은 부채의 일종(一種)으로 의장(儀仗)의 한 가지) 11. 모두... [부수]皿(그릇명)
顯 나타날 현 1. 나타나다 2. 드러나다 3. 뚜렷하다 4. 명확하다(明確--) 5. 분명하다(分明--) 6. 명백하다(明白--) 7. 높다 8. 귀하다(貴--) 9. 명성(名聲)이 있다 10. 지위(地位)가 높다 11. 밝다 12. 돌아가신 부모(父母) [부수]頁(머리혈)
破邪顯正파사현정 불교(佛敎)에서, 부처의 가르침에 어긋나는 사악(邪惡)한 도리(道理)를 깨뜨리고 바른 도리(道理)를 드러낸다는 뜻으로, 그릇된 생각을 버리고 올바른 도리(道理)를 행(行)함을 비유(比喩ㆍ譬喩)해 이르는 말
恥 부끄러울 치 1. 부끄러워하다, 부끄럽게 여기다 2. 욕보이다(辱---), 창피(猖披)를 주다 3. 부끄럼 4. 남에게 당한 부끄러움 5. 욕(辱), 치욕(恥辱)
拘 잡을 구 1. 잡다, 잡히다 2. 체포하다(逮捕--), 체포되다(逮捕--) 3. 굽히다, 구부리다 4. 굽다, 굽히다 5. (두 팔을 벌려)껴안다 6. 가지다, 쥐다, 취하다(取--) 7. 바로잡다, 단속하다(團束--) 8. 한정하다(限定--),... [부수]扌(재방변)
桀紂걸주 중국(中國) 하(夏)나라의 걸(桀)과 은(殷)나라의 주(紂). 천하(天下) 고금(古今)의 포악(暴惡)한 임금의 대표자(代表者)
桀 홰 걸,하왕 이름 걸 1. 홰, 닭의 홰 2. 준걸(俊傑), 뛰어난 인재(人材) 3. 하왕(夏王)의 이름, 걸왕(桀王) 4. 특출하다(特出--), 뛰어나다(=傑) 5. 용감하다(勇敢--), 씩씩하다 6. 흉포하다(凶暴ㆍ兇暴--), 흉악하다(凶惡ㆍ兇惡--)... [부수]木(나무목)
紂껑거리끈 주,주임금 주 1. 껑거리끈(껑거리막대의 양 끝에 매어 길마의 뒷가지와 연결하는 줄) 2. 말고삐(말굴레에 매어서 끄는 줄) 3. 창(窓), 창문(窓門) 4. 주(紂)임금 [부수]糹(실사변)
臧 착할 장 1. 착하다 2. 좋다 3. 감추다 4. 숨다 5. 종, 노복 6. 곳집(곳간(庫間)으로 지은 집) 7. 오장(五臟) 8. 회뢰 9. 뇌물(賂物) [부수]臣(신하신)
聚 모을 취 1. 모으다, 모이다 2. 거두어들이다 3. 갖추어지다 4. 저축하다(貯蓄--), 쌓다 5. 함께 하다 6. 무리(모여서 뭉친 한 동아리) 7. 마을, 동네 8. 저축(貯蓄) 9. 줌(한 주먹으로 쥘 만한 분량) 10. 함께,... [부수]耳(귀이)
怍 부끄러워할 작 1. 부끄러워하다 2. 빨개지다 3. (안색이)변하다(變--) 4. 노하다(怒--) 5. 화내다(火--) [부수]忄(심방변)
墨 먹 묵,교활할 미 1. 먹 2. 형벌(刑罰)의 종류(種類) 3. 그을음 4. 먹줄(나무나 돌에 곧은 줄을 긋는데 쓰는 도구) 5. 다섯 자 6. 점괘(占卦: 점을 쳐서 나오는 괘), 귀갑(龜甲)의 균열상 7. 척도의 이름 8. 묵자(墨子)의... [부수]土(흙토)
翟 꿩 적,고을 이름 책 1. 꿩(꿩과의 새) 2. 깃옷(상제가 입는 생무명의 상복) 3. 수레 포장 4. 오랑캐 a. 고을의 이름 (책) [부수]羽(깃우)
墨翟之守묵적지수 묵적(墨翟)의 지킴이라는 뜻으로, ①성의 수비(守備)가 굳세고 튼튼함을 이르는 말 ②자기(自己) 의견(意見)이나 주장(主張)을 굳이 지킴
宰 재상 재 1. 재상(宰相) 2. 가신(家臣) 3. 우두머리 4. 벼슬아치, 관원(官員) 5. 주재자(主宰者) 6. 요리사(料理師) 7. 무덤, 분묘(墳墓) 8. 주관하다(主管--), 다스리다 9. 도살하다(屠殺--) 10. (고기를)저미다(여러... [부수]宀(갓머리)
桓 굳셀 환 1. 굳세다 2. 크다 3. 머뭇거리다 4. 푯말(標-: 어떤 것을 표지하기 위하여 세우는 말뚝) 5. 하관(下棺)할 때 쓰는 나무틀 6. 무환자나무(無患子--: 무환자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7. 위풍당당(威風堂堂)한... [부수]木(나무목)
嫂 형수 수 1. 형수(兄嫂) 2. 결혼(結婚)한 여자(女子) [부수]女(계집녀)
竊 훔칠 절 1. 훔치다 2. 도둑질하다 3. 절취하다 4. 도둑 5. 도둑질 6. 살짝 7. 남몰래 8. 마음속으로 9. 슬그머니 [부수]穴(구멍혈)
竊鈇之疑 절부지의 도끼를 훔쳐 갔다고 의심(疑心) 받은 사람이 그 행동(行動)이나 말이 모두 훔쳐간 것처럼 보이나 다른 데서 발견(發見)되어 누명을 벗은 후(後)에는 그렇게 보이지 않았다는 옛일에서, 공연한 혐의(嫌疑)
幣 화폐 폐 1. 화폐(貨幣) 2. 비단(緋緞) 3. 폐백(幣帛) 4. 재물(財物) [부수]巾(수건건)
悖 거스를 패,우쩍 일어날 발 1. 거스르다 2. 어그러지다 3. 어지럽다 4. 혼란스럽다(混亂---) 5. 가리다, 엄폐하다(掩蔽--) 6. 거칠다, 나쁘다 a. 우쩍 일어나다 (발) b. 성(盛)한 모양 (발) c. 안색을 바꾸는 모양 (발) [부수]忄(심방변)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11 (0) | 2017.03.03 |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10 (0) | 2017.03.02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8 (0) | 2017.02.27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7 (0) | 2017.02.24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6 (0) | 2017.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