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10
312` 본성에 어긋나면 재앙을 자초한다 (잡편:29.도척,10)
- 장자(잡편) ; 제29편 도척[10]-
자장이 말했다. “선생님께서 인의를 행하지 않으신다면 멀고 친한 사람의 구별이 없게 될 것이고, 귀하고 천한 신분의 기준도 없게 될 것이며, 어른과 아이의 질서도 없게 될 것입니다. 임금과 신하, 아버지와 아들, 남편과 아내, 어른과 아이, 친구들 사이의 관계인 오륜(五倫)과, 아저씨들, 형제들, 일가들, 조카들, 스승, 친구들 사이의 관계인 육기(六紀)도 어떻게 구별할 구가 있겠습니까?”
만구득이 말했다.
“요임금은 맏아들을 죽였고, 순임금은 이복동생을 귀향 보냈었는데, 멀고 친한 사람의 구별이 있는 것입니까? 탕임금은 걸왕을 내쳤고, 무왕은 주왕을 죽였는데, 귀하고 천한 신분의 기준이 있는 것입니까? 왕계는 형을 물리치고 왕위의 계승자가 되었고, 주공은 형을 죽였는데 어른과 아이의 질서가 있는 것입니까? 유학자들은 거짓된 이론을 펴고, 묵가의 사람들은 모든 사람을 다 같이 사랑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오륜과 육기의 분별이 있는 것입니까?
그런데도 선생께서는 명분을 바르다고 주장하고 저는 이익을 바르다고 주장하는데, 명분이고 이익이고 그 사실을 알고 보면 이치에 순응되지도 않고 도리에 합치되지도 않는 것입니다.
제가 전에 무약에게 물으니,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소인들은 재물을 추구하고, 군자들은 명예를 추구한다. 그들이 그들의 진실함을 변화시키고 그들의 본성을 바꾸는 방법은 서로 다르지만, 그들이 마땅히 하여야 할 일은 버리고 그들이 해서는 안 되는 일을 추구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한가지인 것이다. 그러므로 소인이 되지 말고 본성으로 되돌아가 자연을 따르고, 군자가 되지도 말고 하늘의 원리를 따르기만 하라고 하는 것이다.
굽었든 곧았든 간에 하늘의 법도에 서로 호응해야 한다. 자기 사방을 둘러보면서 적응하며 때의 변화에 더불어 살아가야 한다. 옳든 그르든 간에 원만한 마음을 지켜야만 한다. 자기의 뜻을 홀로 이룩하여 도와 더불어 세상에 노닐어야 한다. 한결같이 행동하려고 애쓰지 말고, 의로움을 이룩하려 애쓰지 말라. 그러면 자기의 본성만을 잃게 될 것이다. 자기의 부를 추구하지 말 것이며, 성공하려 애쓰지 말아야 한다. 그런 행동은 자기의 천성을 버리는 결과가 될 것이다.
비간은 심장이 도려내어지고 오자서는 눈이 도려내졌는데, 충성하려 했기 때문에 닥친 재난이었던 것이다. 직궁은 아버지의 도둑질을 증언했다가 처벌되었고, 미생이 여자와의 약속을 지키려다가 다리 밑에서 물에 빠져 죽은 것은 신의를 지키려던 환란인 것이다. 포자가 나무를 끌어안고 선 채로 말라죽고, 승자가 자기 변명도 못해보고 목매어 죽었던 것은 깨끗함을 지키려다 받은 피해이다. 공자가 어머니가 돌아가실 때 종신을 하지 못하고, 광자가 아버지가 돌아가실 때 종신하지 못했던 것은, 의로움을 지키려는 데서 온 과실인 것이다. 이상은 예전부터 전해 내려오고 후세에도 이야기되어지는 사실들이다.
선비 된 사람으로서 자기 말이 올바른 것이라 고집하고 자기 행동이 올바르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그런 재앙을 당하고 그런 환란을 만나게 된 것이다.」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10]-
子將曰:「子不爲行, 卽將疏戚无倫, 貴賤无義, 長幼无序. 五紀六位, 將何以爲別乎?」
滿苟得曰:「堯殺長子, 舜流母弟, 疏戚有倫乎? 湯放桀, 武王殺紂, 貴賤有義乎? 王季爲適, 周公殺兄, 長幼有序乎? 儒者僞辭, 墨者兼愛, 五紀六位將有別乎!
「且子正爲名, 我正爲利. 名利之實, 不順於理, 不監於道. 吾日與子訟於无約曰:‘小人殉財, 君子殉名. 其所以變其情, 易其性, 則異矣. 乃至於棄其所爲而殉其所不爲, 則一也.’ 故曰, 无爲小人, 反殉而天. 无爲君子, 從天之理. 若枉若直, 相而天極. 面觀四方, 與時消息. 若是若非, 執而圓機. 獨成而意, 與道徘徊. 无轉而行, 无成而義, 將失而所爲. 无赴而富, 无殉而成, 將棄而天.
「比干剖心, 子胥抉眼, 忠之禍也. 直躬證父, 尾生溺死, 信之患也. 鮑子立乾, 勝子不自理廉之害也. 孔子不見母, 匡子不見父, 義之失也. 此上世之所傳, 下世之所語, 以爲士者正其言, 必其行, 故服其殃, 利其患也.」
(자장왈:[자불위행, 즉장소척무륜, 귀천무의, 장유무서. 오기육위, 장하이위별호?]
만구득왈:[요살장자, 순류모제, 소척유륜호? 탕방걸, 무왕살주, 귀천유의호? 왕계위적, 주공살형, 장유유서호? 유자위사, 묵자겸애, 오기육위장유별호!]
[차자정위명, 아정위리. 명리지실, 불순어리, 불감어도. 오일여자송어무약왈:’소인순재, 군자순명. 기소이변기정, 역기성, 즉이의. 내지어기기소위이순기소불위, 즉일야.’ 고왈, 무위소인, 반순이천. 무위군자, 종천지리. 약왕약직, 상이천극. 면관사방, 여시소식. 약시약비, 집이원기. 독성이의, 여도배회. 무전이행, 무성이의, 장실이소위. 무부이부, 무순이성, 장기이천.]
[비간부심, 자서결안, 중지화야. 직궁증부, 미생익사, 신지환야. 포자립건, 승자부자리렴지해야. ㅈ공자불견모, 광자불견부, 의지실야. 차상세지소전, 하세지소어, 이위사자정기언, 필기행, 고복기앙, 리기환야.])
卽 곧 즉 1. 곧 2. 이제 3. 만약(萬若), 만일(萬一) 4. 혹은(或-: 그렇지 아니하면) 5. 가깝다 6. 가까이하다 7. 나아가다 8. 끝나다 9. 죽다 10. 불똥 [부수]卩(병부절)
疏 소통할 소 1. 소통하다(疏通--) 2. 트이다 3. 드물다 4. 성기다(물건의 사이가 뜨다) 5. 깔다 6. 멀어지다 7. 멀다 8. 새기다 9. 상소하다(上訴--: 상급 법원에 재심을 요구하다) 10. 빗질 11. 주석(註釋) 12. 채소(菜蔬) [부수]疋(짝필)
戚 친척 척,근심할 척,재촉할 촉 1. 친척(親戚), 일가(一家) 2. 겨레 3. 도끼 4. 두꺼비(두꺼빗과의 양서류) 5. 악기(樂器)의 이름 6. 가깝다, 가까이하다 7. 친하다(親--), 친하게 지내다 8.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염... [부수]戈(창과)
五紀六位 六位:君、臣、父、子、夫、妇也,亦言父、母、兄、弟、夫、妻。
五纪:仁、义、礼、智、信是也。也作岁、月、日、星辰、历法。《尚书·洪范》
適 맞을 적 1. 맞다 2. 마땅하다 3. 가다 4. 시집가다(媤---) 5. 즐기다 6. 꾸짖다 7. 전일하다(專---: 마음과 힘을 모아 오직 한 곳에만 쓰다) 8. 마침 9. 맏아들 10. 큰마누라 [부수]辶(책받침)
辭 말씀 사 1. 말씀 2. 문체(文體)의 이름 3. 핑계 4. 사퇴하다 5. 알리다 6. 청하다(請--) 7. 타이르다 8. 사양하다(辭讓--) [부수]辛(매울신)
兼 겸할 겸 1. 겸하다(兼--), 아우르다 2. 둘러싸다 3. 포용하다(包容--), 겸용하다(兼用--) 4. 얻다 5. 쌓다, 포개다, 겹치다 6. 배가 되게 하다 7. 나란히 하다 8. 배향하다(配享--) 9. 다하다, 진하다(津--) 10.... [부수]八(여덟팔)
且또 차,공경스러울 저,도마 조 1. 또, 또한 2. 우선 3. 장차(將次) 4. 만일(萬一) 5. 구차하다(苟且--) a. 공경스럽다(恭敬---) (저) b. 머뭇거리다 (저) c. 어조사(語助辭) (저) d. 도마(제사의 희생을 올려놓는 제기) (조) e. 적대(炙臺:... [부수]一(한일)
訟 송사할 송,용납할 용 1. 송사하다(訟事--), 고소하다(告訴--) 2. 다투다 3. 쟁론하다(爭論--) 4. 신원하다(伸冤--: 가슴에 맺힌 원한을 풀어 버리다) 5. 꾸짖다 6. 자책하다(自責--) 7. 드러내다 8. 버젓하다(남의 시선을 의식하여... [부수]言(말씀언)
殉 따라 죽을 순 1. 따라 죽다, 순사하다(殉死--) 2. 순장하다(殉葬--) 3. (목숨을)바치다 4. 따르다 5. 추구하다(追求--), 탐하다(貪--) 6. 경영하다(經營--) 7. 돌다, 순행하다(巡行--) 8. 순장(殉 葬)할 사람 [부수]歹(죽을사변)
變 변할 변 1. 변하다(變--), 변화하다(變化--) 2. 고치다, 변경하다(變更--) 3. 변통하다(變通--) 4. 움직이다 5. (조정에)고변하다(告變--) 6. 놀라게 하다 7. 다투다 8. 속이다 9. 어그러지다 10. 좁다 11. 변화(變化)... [부수]言(말씀언)
枉 굽을 왕,미칠 광 1. 굽다, 휘다 2. 굽히다, 복종하다(服從--) 3. 사특하다(邪慝--: 요사스럽고 간특하다) 4. 능멸하다(凌蔑ㆍ陵蔑--) 5. (누명을)씌우다 6. 억울하다(抑鬱--), 원통하다(冤痛--) 7. 잘못, 과실(過失) 8.... [부수]木(나무목)
終身讓路不枉百步 종신양로불왕백보 평생(平生) 동안 남에게 길을 양보(讓步)하면서 살아도 그 손해(損害)가 백보밖에 안 된다는 뜻으로, 겸양(謙讓)의 미덕(美德)을 장려(奬勵)하는 말
消息 ①천지(天地) 시운(時運)이 돌고 돌아 자꾸 변화(變化)함. 일월(日月)의 내왕(來往). 때의 변천(變遷). 영고(榮枯)와 성쇠(盛衰). 풍신(風信) ②안부(安否) 상황(狀況) 또는 새로이 생기는 사실(事實) 등(等)에 관(關)한 기별(奇別)이나 알림
消 사라질 소 1. 사라지다 2. 삭이다 3. 없애다, 소멸시키다(消滅---) 4. 녹이다 5. (쇠하여)줄어들다 6. 소모하다(消耗--), (시간을)보내다 7. 거닐다, 배회하다(徘徊--) 8. 물러서다 9. (남몰래)행하다(行--) 10.... [부수]氵(삼수변)
息 쉴 식 1. (숨을)쉬다 2. 호흡하다(呼吸--) 3. 생존하다(生存--) 4. 살다, 생활하다(生活--) 5. 번식하다(繁殖ㆍ蕃殖ㆍ蕃息--) 6. 자라다, 키우다 7. 그치다, 그만두다, 중지하다(中止--) 8. 망하다(亡--), 멸하다(滅--)... [부수]心(마음심)
徘徊 목적(目的) 없이 거닒
徘 어정거릴 배 1. 어정거리다 2. 방황하다(彷徨--), 배회하다(徘徊--) 3. 노닐다 4. 그리워하다 [부수]彳(두인변)
徊 머뭇거릴 회 1. 머뭇거리다 2. 노닐다 3. 배회하다(徘徊--), 어정거리다 4. 돌다, 돌게 하다 5. 꽃의 이름 [부수]彳(두인변)
轉 구를 전 1. 구르다 2. 회전하다(回轉ㆍ廻轉--) 3. 선회하다(旋回--) 4. 맴돌다 5. 옮기다 6. 바꾸다 7. 부리다 8. 조종하다(操縱--) 9. 깨닫다 10. 알다 11. 터득하다 12. 넘어지다 13. 다루다 14. 나부끼다 15.... [부수]車(수레거)
赴 다다를 부,갈 부 1. 다다르다 2. 나아가다, 향하여 가다 3. 힘쓰다 4. 달려가다 5. 들어가다 6. 넘어지다 7. 알리다, 가서 알리다 8. 부고하다(訃告--: 사람의 죽음을 알리다) 9. 부고(訃告: 사람의 죽음을 알림) [부수]走(달릴주)
剖 쪼갤 부 1. 쪼개다 2. 가르다, 깨뜨리다 3. 다스리다, 처리하다(處理--) 4. 명확하다(明確--), 명백하다(明白--) 5. 똑똑히 [부수]刂(선칼도방)
胥 서로 서 1. 서로, 함께 2. 다, 모두 3. 잠깐 동안 4. 아전(衙前: 조선 시대(時代)에, 중앙과 지방의 관아에 속한 구실아치) 5. 재주꾼 6. 게장, 게젓 7. 악관(樂官) 8. 어조사(語助辭)(시구의 무의미한 조사) 9.... [부수]月(육달월)
抉 도려낼 결 1. 도려내다, 후벼내다 2. 긁어내다 3. 들추어내다, 폭로하다(暴露--) 4. (구멍을)파다, 뚫다 5. 깍지(활을 쏠 때 엄지손가락에 끼우는 기구) [부수]扌(재방변)
直躬證父직궁증부 직궁(直躬)이 아비를 고발(告發)하고 증인(證人)이 된다는 뜻으로, 지나친 정직(正直)은 도리어 정직(正直)이 아님을 비유(比喩ㆍ譬喩)해 이르는 말
鮑 절인 물고기 포 1. 절인 물고기 2. 전복(全鰒: 전복과의 조개를 통틀어 이르는 말) 3. 혁공(革工: 가죽으로 섬세한 물건을 만드는 수공(手工)) 4. 갖바치(가죽신을 만드는 일을 직업으로 하던 사람) [부수]魚(물고기어)
廉 청렴할 렴,청렴할 염,살필 렴,살필 염 1. 청렴하다(淸廉--), 결백하다(潔白--) 2. 검소하다(儉素--), 검박하다(儉朴--: 검소하고 소박하다) 3. 살피다, 살펴보다 4. 날카롭다, 예리하다(銳利--) 5. 끊다, 끊어지다 6. 곧다, 바르다 7. 값싸다,... [부수]广(엄호)
匡 바를 광,앉은뱅이 왕 1. 바르다 2. 바로잡다, 바루다 3. 구원하다(救援--), 구제하다(救濟--) 4. 돕다, 보좌하다(補佐ㆍ輔佐--) 5. 비뚤다, 휘다 6. 두려워하다, 겁내다 7. 편안하다(便安--) 8. 눈자위(눈알의 언저리) 9. 광주리(대,... [부수]匚(튼입구몸)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12 (0) | 2017.03.06 |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11 (0) | 2017.03.03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9 (0) | 2017.02.28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8 (0) | 2017.02.27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7 (0) | 2017.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