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8
10` 공자 도척에게 기가 질리다 (잡편:29.도척,8)
- 장자(잡편) ; 제29편 도척[8]-
공자는 두 번 절하고 빠른 걸음으로 문을 달려 나와 수레에 올라서는 말고삐를 세 번이나 잡았다 놓쳤다. 눈은 멍하니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고 얼굴은 불꺼진 잿빛이었다. 수레 앞턱의 가로나무에 기대어 머리를 떨구고는 숨도 내쉬지 못할 정도였다. 노나라의 동문에 이르러 마침 유하계를 만났다. 유하계가 말했다.
“요즘 며칠동안 보지를 못하였는데, 거마의 행색을 보아하니, 혹시 도척을 만나러 갔다가 오는 것이 아닌가?”
공자는 하늘을 우러르며 한숨을 내쉬고 말했다. “그렇다네.”
유하계가 말했다. “도척이란 놈이 전에 이야기한 대로 자네의 뜻을 거스르지 않던가?”
“그랬다네. 나는 말하자면 아픈데도 없는데 뜸질을 한 격이 되고 말았네. 허둥대며 달려가다가 호랑이 머리를 매만지고 호랑이 수염을 잡아당긴 셈이니 자칫하면 호랑이에게 먹힐 뻔 하였네.”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8]-
孔子再拜趨走, 出門上車, 執轡三失, 目芒然无見, 色若死灰, 據軾低頭, 不能出氣. 歸到魯東門外, 過遇柳下季. 柳下季曰:「今者闕然數日不見, 車馬有行色, 得微往見跖邪?」
孔子仰天而歎曰:「然.」
柳下季曰:「跖得无逆汝意若前乎?」
孔子曰:「然. 丘所謂无病而自灸也, 疾走料虎頭, 編虎須, 幾不免虎口哉!」
(공자재배추주, 출문상차, 집비삼실, 목망연무견, 색약사재, 거식저두, 불능출기. 귀도노동문외, 과우류하계. 류하계왈:[금자궐연수일불견, 차마유행색, 득미왕견척야?]
공자앙천이탄왈:[연.]
류하계왈:[척득무역여의약전호?]
공자왈:[연. 구소위무병이자구야, 질주료호두, 편호수, 기불면호구재!])
拜趨 윗사람 앞에 나아가거나 또는 그의 집으로 찾아감
拜 절 배,뺄 배 1. 절(남에게 공경하는 뜻으로 몸을 굽혀 하는 인사) 2. 절하다 3. 굽히다 4. 삼가고 공경하다(恭敬--) 5. 벼슬을 주다 6. 받다 7. 방문하다(訪問--) 8. 찾다 9. 빼다 10. 뽑다 11. 발굴하다 [부수]手(손수)
趨 달아날 추,재촉할 촉 1. 달아나다 2. 달리다, 달려가다 3. 뒤쫓다, 추구하다(追求--) 4. 따라 행하다(行--) 5. 종종걸음치다 6. 빨리 걷다, (걸음이)빠르다 7. 붙쫓다 8. 추창하다(趨蹌--: 예도(禮度)에 맞게 허리를 굽히고... [부수]走(달릴주)
轡 고삐 비 1. 고삐(코뚜레, 굴레에 잡아매는 줄) 2. 재갈(말을 부리기 위하여 아가리에 가로 물리는 가느다란 막대) 3. 굴레(마소의 머리에 씌워 고삐에 연결한 물건) 4. 법(法)의 비유(比喩ㆍ譬喩) [부수]車(수레거)
攬轡澄淸 ①천하(天下)의 정치(政治)를 바로 잡을 웅지(雄志)를 품고 부임(赴任)함 ②처음으로 관직(官職)에 나아갈 때에 어지러운 정치(政治)를 바로잡을 큰 뜻을 품는 일
據 근거 거 1. 근거(根據) 2. 근원(根源) 3. 증거(證據) 4. 의지(依支)할 데 5. 기댈 곳 6. 의지하다(依支--) 7. 의탁하다(依託ㆍ依托--) 8. 믿고 의지하다(依支--) 9. 의거하다(依據--) 10. (증거로)삼다 11. 웅... [부수]扌(재방변)
軾 수레 앞턱 가로 댄 나무 식 1. 수레 앞턱 가로 댄 나무(수레 안에서 절을 할 때, 손으로 쥐는 앞턱의 가로 댄 나무) 2. 절하다 [부수]車(수레거)
闕 대궐 궐 1. 대궐(大闕) 2. 대궐문(大闕門) 3. 조정 4. 흠 5. 궐하다(闕--: 마땅히 해야 할 일을 빠뜨리다) 6. 이지러지다(한쪽 귀퉁이가 떨어져 없어지다) 7. 이지러뜨리다(이지러지게 하다) 8. 파다 9. 뚫다 [부수]門(문문)
微 작을 미 1. 작다, 자질구레하다 2. 정교하다(精巧--), 정묘하다(淨妙--), 자세하고 꼼꼼하다 3. 적다, 많지 않다 4. 없다 5. 어렴풋하다, 또렷하지 아니하다 6. 어둡다, 밝지 아니하다 7. 쇠하다(衰--), 쇠미하다(衰微--:... [부수]彳(두인변)
灸 뜸 구 1. 뜸(병을 치료하는 방법의 하나) 2. 뜸을 뜬 자리 3. 뜸을 뜨다 4. (불로)지지다 5. 버티다, 지탱하다(支撐--) [부수]火(불화)
無病自灸무병자구 병(病)이 없는 데 스스로 뜸질을 한다는 뜻으로, ①불필요한 노력을 하여 정력(精力)을 낭비(浪費)함 ②속담으로는 '긁어 부스럼'
虎 범 호 1. 범, 호랑이 2. 용맹스럽다(勇猛---) [부수]虍(범호엄)
編 엮을 편,땋을 변 1. 엮다 2. 짓다 3. 얽다 4. 매다 5. 만들다 6. 꾸미다 7. 편집하다(編輯--) 8. 창작하다(創作--) 9. 배열하다(配列ㆍ排列--) 10. 조직하다(組織--) 11. 편성하다 12. 날조하다(捏造--) 13. 책끈 14. 책,... [부수]糸(실사)
須 모름지기 수,수염 수 1. 모름지기(사리를 따져 보건대 마땅히) 2. 틀림없이 3. 결국(結局) 4. 마침내 5. 드디어 6. 반드시 7. 잠깐 8. 본래 9. 원래 10. 수염 11. 마땅히 ~해야 한다 12. 반드시 ~하여야 한다 13. 필요하다... [부수]頁(머리혈)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10 (0) | 2017.03.02 |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9 (0) | 2017.02.28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7 (0) | 2017.02.24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6 (0) | 2017.02.23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5 (0) | 2017.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