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32篇 列禦寇 1


326` 대우를 받는다는 것은 두려운 일이다 (잡편:32.열어구,1)  처신` 체세술` 인과응보` 업` 

- 장자(잡편) ; 제32편 열어구[1]- 

열자가 제나라로 가다말고 돌아오는 길에 백혼무인을 만났다. 백혼무인이 말했다. 

“어째서 되돌아왔느냐?” “놀랐기 때문입니다.” 

“어째서 놀랐느냐?” “제가 가는 길에 열 집 정도의 주막에서 식사를 했는데, 다섯 집이 제가 돈을 주기도 전에 먼저 식사를 제공했기 때문입니다.” 

“그 정도의 일로 네가 어찌 놀랐단 말이냐?” 

“그것은 저의 속마음의 정성됨이 아직 덜 풀려 외형으로 그것이 드러나 빛을 이룸으로써 밖으로 사람들의 마음의 위압했기 때문입니다. 사람들로 하여금 저보다도 노인은 가볍게 여기게 하고 공경하지 않게 한 것이니, 제 자신의 환난을 기르는 것과 마찬가지인 것입니다. 특히 주막의 주인이란 다만 음식을 팔아 이익을 도모하는 사람들이며, 그 이익 또한 보잘 것 없고 권한도 작습니다. 그런데도 저를 그처럼 대했으니 하물며 만승의 군주야 더 말할 것이 있겠습니까! 그의 몸은 나라를 위해 애쓰고 있고, 그의 정신은 정사를 처리하는 데 다 쓰고 있습니다. 아마 제가 가면, 그는 제게 나라 일을 맡기어 공을 세우기를 바랄 것입니다. 그래서 놀랐다는 것입니다.” 

“네 생각이 참 훌륭하구나. 그러나 네가 그처럼 처신하면, 사람들이 너를 따르게 될 것이다.” 


- 莊子(雜篇) ; 第32篇 列禦寇[1]- 

列禦寇之齊, 中道而反. 遇伯昏瞀人. 伯昏瞀人曰:「奚方而反?」 

曰:「吾驚焉.」 

曰:「惡乎驚?」 

曰:「吾嘗食於十漿, 而五漿先饋.」 

伯昏瞀人曰:「若是, 則汝何爲驚已?」 

曰:「夫內誠不解, 形諜成光, 以外鎭人心, 使人輕乎貴老, 而虀其所患. 夫漿人特爲食羹之貨, 無多餘之贏, 其爲利也薄, 其爲權也輕, 而猶若是, 而況於萬乘之主乎! 身勞於國而知盡於事, 彼將任我以事而效我以功, 吾是以驚.」 

伯昏瞀人曰:「善哉觀乎! 汝處已, 人將保女矣!」 

(열어구지제, 중도이반. 우백혼무인. 백혼무인왈:[해방이반?]

왈:[오경언.]

왈:[오호경?]

왈:[오상식어십장, 이오장선궤.]

백혼무인왈;[약시, 즉여하위경이?]

왈:[부내성불해, 형첩성광, 이외진인심, 사인경호귀로, 이제기소환. 부장인특위식갱지화, 무다여지영, 기위리야박, 기위권야경, 이유약시, 이황어만승지주호! 신로어국이지진어사, 피장임아이사이효아이공, 오시이경.]

백혼무인왈:[선재관호! 여처이, 인장보녀의!])


列 벌일 렬,벌일 열  1. 벌이다 2. 늘어서다 3. 줄짓다 4. 나란히 서다 5. 분리하다(分離--) 6. 순서(順序)를 매기다 7. 진열하다(陳列--) 8. 차례(次例) 9. 등급(等級) 10. 반열(班列: 품계나 신분, 등급의 차례) 11. 석차... [부수]刂(선칼도방)

禦 막을 어  1. 막다, 방어하다(防禦--) 2. 금하다(禁--), 금지하다(禁止--) 3. 멈추다 4. 항거하다(抗拒--), 저항하다(抵抗--) 5. 제사(祭祀) 지내다 6. 올리다, 바치다 7. 필적하다(匹敵--: 능력이나 세력이 엇비슷하여... [부수]示(보일시)

寇 도적 구  1. 도적(盜賊: 도둑) 2. 떼도둑 3. 외적 4. 원수(怨讐) 5. 난리(亂離) 6. 병기(兵器) 7. 성(姓)의 하나 8. 약탈하다(掠奪--) 9. 침범하다(侵犯--) 10. 노략질하다(擄掠---) 11. 해치다(害--) 12. 쳐들어오다... [부수]宀(갓머리)

昏 어두울 혼,힘쓸 민  1. (날이)어둡다, 희미하다(稀微--) 2. 날이 저물다 3. 일찍 죽다 4. 요절하다(夭折--) 5. 장가들다(=婚) 6. (눈이)흐리다 7. 어리석다 8. 현혹되다(眩惑--), 미혹되다(迷惑--) 9. 혼란하다(混亂--) 10.... [부수]日(날일)

瞀 어두울 무  1. (눈이)어둡다 2. (눈이)흐리다 3. 어리석다 4. (눈을 내리뜨고)공손(恭遜)히 보다 5. 흐트러지다 [부수]目(눈목)

惡 악할 악,미워할 오  1. 악하다(惡--) 2. 나쁘다 3. 더럽다 4. 추하다(醜--) 5. 못생기다 6. 흉년(凶年) 들다 7. 병들다(病--), 앓다 8. 죄인(罪人)을 형벌(刑罰)로써 죽이다 9. 더러움, 추악(醜惡)함 10. 똥, 대변(大便) 11. 병(病), 질병(疾病) 12. 재난(災難), 화액 13. 잘못, 바르지 아니한 일14. 악인, 나쁜 사람 15. 위세(位勢), 권위(權威) a. 미워하다 (오) b. 헐뜯다 (오) c. 부끄러워하다 오) d. 기피하다(忌避--) (오) e. 두려워하다 (오) f. 불길하다(不吉--) (오) g. 불화하다(不和--) (오) h. 비방하다(誹謗--) (오) i. 싫어하다 (오) j. 어찌 (오) k. 어찌하여 (오) l. 어느 (오) m. 어디 (오) [부수]心(마음심)

漿 즙 장  1. 즙(汁: 물기가 들어 있는 물체에서 짜낸 액체) 2. 미음(米飮: 푹 끓여 체에 걸러 낸 걸쭉한 음식) 3. 마실 것 4. 음료(飮料) 5. 풀 6. 풀을 먹이다 [부수]水(물수)

饋 보낼 궤  1. (음식을)보내다 2. (음식을)권하다(勸--) 3. 먹이다 4. 식사(食事) 5. 선사(膳賜: 보내준 음식이나 물품) [부수]飠(밥식변)

諜 염탐할 첩,말 잇닿을 섭  1. 염탐하다(廉探--) 2. 안심하다(安心--) 3. 날씬하다 4. 편안(便安)히 하다 5. 염탐꾼(廉探-) 6. 문서(文書) 7. 기록(記錄) a. 말이 잇닿다(서로 이어져 맞닿다) (섭) [부수]言(말씀언)

枼 나뭇잎 엽 부수木 (나무목, 4획)

鎭 진압할 진,메울 전  1. 진압하다(鎭壓--) 2. 누르다 3. 진정하다(鎭靜--) 4. 지키다 5. 안택(安宅)하다 6. 진영 7. 요해지(要害地) 8. 눌러 두는 물건(物件) 9. 오래 10. 언제나 11. 항상(恒常) a. 메우다 (전) b. 박아넣다... [부수]金(쇠금)

虀 버무릴 제  1. 버무리다(여러 가지를 한데에 뒤섞다) 2. 무치다 3. 부수다 4. 채소(菜蔬) 절임 [부수]艹(초두머리) 

金虀玉膾 금제옥회 맛있는 요리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羹 국 갱,땅 이름 랑,땅 이름 낭  1. 국, 끓인 국(채소 따위에 물을 많이 붓고 간을 맞추어 끓인 음식) 2. 삶다 3. 끓이다 a. 땅의 이름 (랑) [부수]羊(양양)

贏 남을 영  1. 남다 2. 돈을 벌다 3. 성하다(盛--: 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4. 넘치다, 가득 차다 5. 자라다, 성장하다(成長--) 6. 지나치다, 과도하다(過渡--) 7. 이기다, 낫다 8. 나아가다 9. 풀리다, 펴지다... [부수]貝(조개패)

效 본받을 효  

1. 본받다 2. 배우다 3. 나타내다, 드러내다 4. 밝히다, 명백(明白)히 하다 5. 주다, 수여하다(授與--) 6. 드리다, 바치다 7. 힘쓰다 8. 아뢰다(말씀드려 알리다) 9. 세다 10. 공(功), 공로(功勞) 11.... [부수]攵(등글월문)

效顰 월(越)의 서시(西施)가 불쾌(不快)하여 찡그렸더니, 어떤 추녀(醜女)가 그걸 보고 미인(美人)은 찡그린다고 여겨 자기(自己)도 찡그렸다는 옛일에서,  ①자기(自己) 분수(分數)를 모르고 남의 흉내를 냄을 이르는 말  ②남의 결점(缺點)을 장점(長點)인 줄 알고 본뜸 

장자(莊子)는 시대(時代)의 변천(變遷)에 따라 제도나 도덕도 변해야 한다고 강조(强調)하면서 다음과 같은 우화를 말했다. 공자(孔子)가 서쪽에 있는 위(衛)나라에 유세차 떠났을 때에 그의 제자 안연(顔淵)이 노(魯)나라의 악관(樂官)인 사금(師金)에게 선생님의 이번 여행을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사금은 공자(孔子)님은 곤경에 빠질 것이라고 하면서 그 까닭을 「제사에는 짚으로 엮은 개를 쓰는데, 제상에 진열하기 전에는 대로 만든 상자에 넣고 수놓은 헝겊으로 싸서 소중히 다루네. 그러나 제사가 끝나면 내다 버리지. 그런데, 공자(孔子)님도 옛날 성왕(聖王)이 쓰다 버린 짚으로 엮은 개를 주워다가 놀고 있네. 삼황오제(三皇五帝) 때의 예의와 제도는 오늘날에는 맞지 않으니 바꿔야 하네. 미인(美人) 서시(西施)는 가슴앓이병이 있어 언제나 얼굴을 찡그리고 다녔네. 그러자 그 마을의 추녀(醜女)가 이 모양을 보고 아름답다고 생각하여 자기도 가슴에 손을 대고 미간을 찡그리며 마을을 돌아다녔지. 그 흉한 모습을 본 마을 사람들 중에 부자들은 문을 걸어 잠그고 나오지 않았고, 가난한 사람들은 처자를 이끌고 먼 마을로 도망(逃亡)쳐 버렸다고 하네. 이 추녀(醜女)는 무엇이 서시(西施)를 아름답게 했는지 몰랐던 것일세. 성인(聖人)이 한 일이라고 무작정 흉내내는 것은 이 추녀(醜女)와 같다고나 할까.」 하고 말했다고 함

保 지킬 보  1. 지키다, 보호하다(保護--), 보위하다(保衛--) 2. 유지하다(維持--), 보존하다(保存--) 3. 보증하다(保證--), 책임지다(責任--) 4. 보증(保證)을 서다 5. 돕다, 보우하다(保佑--) 6. 기르다, 양육하다(養育--) 7. 붙다, 귀순하다(歸順--) 8. 편안하다(便安--), 안정시키다(安定---) 9. 차지하다, 점유하다(占有--) 10. 믿다, 의지하다(依支--) 11. 보증인(保證人), 보증(保證) 12. 보험(保險) 13. 고용인(雇傭人), 심부름꾼 14. 조합(組合) 15. 보(조선 시대 장정의 조직 단위) 16. 포대기 17. 작은 성 [부수]亻(사람인변)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