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31篇 漁父  7


324` 어울려 갈만한 사람과 어울려 간다 (잡편:31.어부,7) 

- 장자(잡편) ; 제31편 어부[7]- 

공자가 다시 두 번 절하고 일어나 말했다. 

“지금 제가 선생님을 뵙게 된 것은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입니다. 선생님께서는 부끄럽게 여기지 않으시고 제자처럼 대하시며 몸소 가르쳐 주셨습니다. 선생님 댁은 어디십니까. 선생님을 따라가 학업을 닦아 위대한 도를 완전히 배우고 싶습니다.” 

어부가 말했다. 

“내가 듣기로는 함께 갈만한 사람과는 함께 어울려 오묘한 도에 이르도록 가도 되지만, 함께 갈 수 없는 자는 그런 도를 알지 못하고 있을 것이므로 삼가 함께 어울리지 말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래야 몸에 아무런 재난이 없게 될 것입니다. 선생께서는 더 노력하십시오. 나는 이만 가야 할 것 같습니다. 이만 작별해야 하겠습니다.” 

그리고는 삿대질하여 배를 물에 띄우고 갈대밭 사이로 사라졌다. 

안회가 수레를 돌리고 자로는 손잡이 줄을 공자에게 주었으나, 공자는 돌아보지도 않았다. 떠나간 배가 남긴 물결이 잠잠해지고 삿대 소리가 들리지 않게 된 다음에야 수레에 올랐다. 


- 莊子(雜篇) ; 第31篇 漁父[7]- 

孔子又再拜而起曰:「今者丘得遇也, 若天幸然. 先生不羞而比之服役, 而身敎之. 敢問舍所在, 請因受業而卒學大道.」 

客曰:「吾聞之, 可與往者與之, 至於妙道. 不可與往者, 不知其道, 愼勿與之, 身乃无咎. 子勉之! 吾去子矣, 吾去子矣!」 乃刺船而去, 延緣葦間. 

顔淵還車, 子路授綏, 孔子不顧, 待水波定, 不聞拏音而後敢乘. 

(공자우재배이기왈:[금자구득우야, 약천행연. 선생불수이차지복역, 이신교지. 감문사소재, 청인수업이졸학대도.]

객왈:[오문지, 가여왕자여지, 지어묘도. 불가여왕자, 부지기도. 진물여지, 신내무구. 자면지! 오거자의, 오거자의!] 내자선이거, 연연위간.

안연환차, 자로수수, 공자불고, 대수파정, 불문라음이후감승.)


幸 다행 행  1. 다행(多幸), 행복(幸福), 좋은 운(運) 2. 요행(僥倖ㆍ徼幸), 뜻하지 않은 좋은 운(運) 3. 거둥(擧動▼: 임금의 나들이) 4. 은총(恩寵), 베풀어 준 은혜(恩惠) 5. 오래 사는 일 6. 다행(多幸)히, 운좋게... [부수]干(방패간)

羞 부끄러울 수  1. 부끄러워하다 2. 수줍어하다 3. 두려워하다, 겁내다 4. 미워하다, 싫어하다 5. (음식을)올리다 6. 드리다 7. 나가다 8. 추천하다(推薦--), 천거하다(薦擧--) 9. 부끄럼 10. 수치(羞恥) 11. 치욕(恥辱),... [부수]羊(양양)

因 인할 인  1. 인하다(因--: 어떤 사실로 말미암다) 2. 말미암다, 원인이나 계기(契機)로 되다 3. 의지하다(依支--) 4. 의거하다(依據--) 5. 겹치다 6. 잇닿다(서로 이어져 맞닿다), 연달다 7. 이어받다 8. 따르다,... [부수]囗(큰입구몸)

咎 허물 구,큰북 고  1. 허물, 저지른 잘못, 죄과 2. 재앙(災殃), 근심거리 3. 미움, 증오(憎惡) 4. 종족(種族)의 이름 5. 꾸짖다 6. 미워하다, 증오하다(憎惡--) 7. 책망하다(責望--), 비난하다(非難--), 벌하다(罰--) a.... [부수]口(입구)

誰怨誰咎수원수구 「누구를 원망(怨望)하며 누구를 탓하랴」라는 뜻으로,  곧, 남을 원망(怨望)하거나 꾸짖을 것이 없음

天與不取反受其咎천여불취반수기구

「하늘이 주는 것을 취(取)하지 않으면 도리어 그 허물을 받는다」라는 뜻으로,  기회(機會)를 잘 포착(捕捉)하지 않으면 화(禍)를 입게 된다는 것을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

勉 힘쓸 면  1. 힘쓰다, 부지런히 일하다 2. 권하다(勸--), 힘쓰도록 격려하다(激勵--) 3. 권면하다(勸勉--: 권하고 격려하여 힘쓰게 하다) 4. 억지로 하게 하다, 강요하다(強要--) [부수]力(힘력)

刺 찌를 자,찌를 척,수라 라,수라 나,비방할 체  1. 찌르다, 찔러 죽이다 2. 끊다, 절단하다(切斷ㆍ截斷--) 3. 나무라다, 헐뜯다, 꾸짖다, 비난하다(非難--) 4. 책망하다(責望--) 5. 간하다(諫--), 충고하다(忠告--) 6. 묻다, 알아보다, 문의하다(問議--)7. 배를 젓다, 삿대질하다 8. 취하다(取--), 마땅한 것으로 골라 가지다 9. 바느질하다 10. 가시, 침, 창끝(槍-) 11. 바늘 12. 명함(名銜) a. (칼로)찌르다 (척) b. 베어 버리다, 덜어 없애다 (척) c. 살피다, 알아보다 (척) d. 정탐하다(偵探--) (척) e. 잔소리하다, 말이 많다 (척) f. 수라(水剌), 진지 (라) g. 비방하다(誹謗--), 비난하다(非難--), 꾸짖다 (체) [부수]刂(선칼도방)

延 늘일 연  1. 늘이다, 잇다 2. 늘어놓다, 벌여놓다 3. 끌다, 끌어들이다 4. 불러들이다 5. 이끌다, 인도하다(引導--) 6. 서로 통하다(通--) 7. 넓어지다, 퍼지다 8. 미치다(공간적 거리나 수준 따위가 일정한 선에... [부수]廴(민책받침)

緣 인연 연,부인 옷 이름 단  1. 인연(因緣), 연줄 2. 연분(緣分) 3. 가장자리, 가선(-縇: 의복의 가장자리를 딴 헝겊으로 가늘게 싸서 돌린 선) 4. 까닭, 이유(理由) 5. 가설(架設) 6. 장식(裝飾) 7. 겉(물체의 바깥 부분) 8. 연유... [부수]糸(실사)

葦 갈대 위  1. 갈대(볏과의 여러해살이풀) 2. 거룻배(돛이 없는 작은 배) [부수]艹(초두머리) 

綏 편안할 수  1. 편안하다(便安--) 2. 편안(便安)히 하다 3. 물러가다 4. 기의 장식(裝飾) 5. 끈, 줄 [부수]糹(실사변)

拏 붙잡을 나,붙잡을 라  1. 붙잡다 2. 맞당기다, 잡아당기다 3. 체포하다(逮捕--) 4. 비비다, 뒤섞다 5. 누르다 [부수]手(손수)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