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以道佐人主者, 不以兵强天下, 其事好還, 師之所處, 荊棘生焉, 大軍之後, 必有凶年, 

   이도좌인주자  불이병강천하  기사호환  사지소처  형극생언  대군지후  필유흉년

佐(좌)도울,보좌하다,권하다,도움,속료/荊棘 ①나무의 가시②고난(苦難)의 길을 비유(比喩ㆍ譬喩)하여 이르는 말/荊(형)가시나무,곤장,아내/棘(극)가시/還(환)돌아올


善有果而已, 不敢以取强, 果而勿矜, 果而勿伐, 果而勿驕, 果而不得已, 

선유과이이  불감이취강  과이물긍  과이물벌  과이물교  과이부득이

勿(물)말,(몰)털/矜(긍)자랑할, 불쌍히 여기다, 괴로워하다, 아끼다, 엄숙하다/驕(교)교만할/果(과)열매, 실과, 결과, 시녀, 과연, 마침내, 만약, 과단성이 잇다, 이루다/伐(벌)칠, 베다,북을치다,찌르다,비평하다,모순되다, 자랑하다,치료하다,방패


果而勿强, 物壯則老, 是謂不道, 不道早已. 

과이물강  물장즉노  시위부도  부도조이


- 참고 : 도를 가지고 임금을 도우려는 사람은, 군사로 천하를 강하게 하려 하지 않는다. 그 일은 되돌아오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군사가 머문 자리에는 가시덤불만이 무성하고, 큰 군사를 일으킨 뒤에는 반드시 흉년이 든다. 군사에 능한 자는 이루면 곧 그치며, 감히 힘에 기대지 않는다. 이루되 뽐내지 않고, 이루되 자랑하지 않고, 이루되 교만하지 않고,이루되 어쩔수 없었다고 하고, 이루되 힘으로 누르지 않는다. 장성하면 곧 늙는 법이므로, 이는 도에 맞지 않는지라. 도에 맞지 않으면 일찍 죽는다.



- 참고자료 : 도로써 사람의 주인을 잘 보좌하는 사람은 무력으로 천하를 강하게 하지 않는다. 무력의 댓가는 반드시 자기에게 되돌아오기 마련이다. 군대가 처한 곳에는 가시덤불이 생겨나고, 대군이 일어난 후에는 반드시 흉년이 따른다. 부득이 해서 난을 구해줄 뿐 무력으로 세상을 억누르지 않는다. 좋은 성과가 있어도 뽐내지 아니하면, 좋은 성과가 있어도 으시대지 아니하면, 성과가 있었던 것도 단지 부득이 해서 그리된 것일 뿐이니, 좋은 성과를 올렸다 해서 강함을 과시하려 하지마라. 모든 사물은 강장하면 할수록 일찍 늙는 것이니, 이것을 일컬어 도답지 아니하다고 한다. 도답지 아니하면 일찍 끝나버릴 뿐이다.


* 어떠한 경우에도 무력으로 천하를 강하게 할 수는 없다. 도가 있는 자는 항상 그 근본으로 되돌아가 무위를 한다. 이겼다 하는 것은 단지 부득이해서 한 것의 결과일 뿐이다. 어떠한 경우에도 싸움의 승리가 나의 강함의 과시가 되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 준이해석 : 도道로서 사람들의 주인(왕)을 보필하려는 자, 군사로 천하를 억제하려고 해서는 안된다. 그러한 일은 곧잘 다시 돌아오기 때문이다. 군대가 있던 곳에는 가시덤불이 생겨나고, 대군이 지난 후에는 반드시 흉년이 온다. 결실이 있어 좋다면 이미 그런 것이고, 감히 무력을 취하려 하지 말라, 결실이 있어도 자랑하지 말고, 결실이 있어도 떠벌리지 말고, 결실이 있어도 교만하지 말고, 결실이 있어도 어쩔수 없이(부득이) 그렇다고 하라, 결실이 있다고 힘으로 어찌하려 하지 말고, 만물은 장차 이제 나이가 드니, 이러한 것이 도가 아니다(不道)라고 하며, 부도는 일찍 끝난다. 


- 준이생각 : 무력을 사용하여 억누르고 강제 한다는 것 자체가 도가 아닌 것이라고 말하고, 자랑하고, 으스대고, 교만해 하지 말고, 어찌하다 보니 어쩔수 없이 좋은 결과가 나왔노라고 말하라고 한다. 이러한 자기 자랑이나 떠벌림이나 자기 과신 같은 행위는 도에 맞는 행위가 아니라 하고 세상 모든 만물은 나이를 먹는다(즉 변하고 늙는다?)고 했다. 도에 따라 산다는 것은 소박하고, 겸손하고, 조용한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