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道常無名, 樸, 雖小, 天下莫能臣也, 侯王若能守之, 萬物將自賓, 天地相合,
도상무명 박 수소 천하막능신야 후왕약능수지 만물장자손 천지상합
樸(박)순박할,1. 순박하다(淳朴ㆍ淳樸ㆍ醇朴--) 2. 질박하다(質樸ㆍ質朴--: 꾸민 데가 없이 수수하다) 3. 다듬다 4. 통나무 (복)나무 빽빽할/賓(빈)손,1. 손, 손님 2. 사위(딸의 남편을 이르는 말) 3. 물가 4. (손으로)대접하다(待接--) 5. 객지살이하다(客地----) 6. 복종하다(服從--), 따르다 7. 인도하다(引導--) 8. 따르게 하다, 굴복시키다(屈服---)
以降甘露, 民莫之令而自均, 始制有名, 名亦旣有, 夫亦將知止,
이강감로 민막지령이자균 시제유명 명역기유 부역장지지
均(균)고를,(운)운,(연)따를/旣(기)이미,(희)쌀
知止, 可以不殆, 譬道之在天下, 猶川谷之於江海.
지지 가이불태 비도지재천하 유천곡지어강해
譬(비)비유할,1. 비유하다(比喩ㆍ譬喩--), 설명하다(說明--) 2. 깨우치다, 인도하다(引導--) 3. 깨닫다 4. 비유(比喩ㆍ譬喩) 5. 비유컨대/猶(유)오히려, 가히, 다만, 이미
- 참고 : 도는 늘 이름이 없다. 소박하고 비록 작지만, 천하의 그 무엇도 (도를) 신하 삼을 수 없다. 만약 왕후가 이를 지킬 수 있으면, 모든 것이 스스로 따를 것이다. 하늘과 땅이 서로 모여, 단 이슬을 내리듯, 백성은 시키지 않아도 스스로 가지런히 한다.(무언가를) 만들기 시작하면, (그에 걸맞는) 이름이 생기니, 이미 이름이 있다면, 무릇 멈출 줄 알아야 하고, 멈출 줄 알면 위험하지 않다. 도가 천하에 있는 것을 비유하자면, 계곡물이 강과 바다를 향하는 것과 같다.
- 참고자료 : 도는 늘 이름이 없다. 통나무는 비록 작지만 하늘아래 아무도 그를 신하로 삼을 수 없다. 제후 제왕이 이 통나무를 잘 지킨다면 만물이 스스로 질서 지워질 것이다. 하늘과 땅이 서로 만나 단 이슬이 내리듯이, 백성들은 법령을 내리지 않아도 스스로 제 길을 찾는다. 통나무에 제한을 가하여서 비로소 이름이 생겨나게 되는 것이니, 이름이 일단 생겨난 후에는 대저 또한 그침을 알아야 할 것이다. 그침을 알아야 위태롭지 아니할 수 있다. 도가 천하에 있는 것을 비유하면, 온갖 계곡의 시내들이 강과 바다로 흘러들어 가는 것과도 같다.
* 도(道)는 이름이라고 하는 분별적 기(器)의 세계이전의 사태이므로 무명(無名)이요, 무명은 곧 박(樸,통나무)의 별칭이다. 박은 통나무요, 모든 것이 구체화되기 이전의 가능태이다. 절대 공(空), 절대 무(無)라는 것은 있을 수 없다. 그러한 실체를 우리는 “박(樸)”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 이 박은 분명 무명(無名)이요, 무형(無形)이요, 무물(無物)이다. 그러나 없다고 무시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 천지(天地)는 자연계를 가리키고, 천하(天下)는 인간세 즉, 인간중심적 사회를 가리킨다. 통나무를 껴안고 무위를 실천하며, 구체적인 물로써 그 참된 모습을 구차스럽게 하지 않으며, 욕망으로써 그 신령함을 해치지 않으면, 곧 만물이 스스로 손님노릇을 잘하고 또 도는 스스로 얻어지는 것이다. 발견은 “앎”의 확충이다. 발견 그자체로는 아무런 죄가 없다. 발명은 “작”의행위이다. 발명에는 발명자의 윤리적 책임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 노자는 발견에서 발명으로 연결되는 인간의 고리를 곧 인간의 욕(欲,욕망)이라고 파악한다. 그 욕의 끊임없는 절제가 곧 문명의 과제상황인 것이다. 제한을 가하여서 이름이 생겨나면 첨예한 대립을 하면서 싸움을 벌리는 인간세가 전개된다. 그래서 이름이 생겨난 후 에는 대저 또한 그침을 알아야 한다라고 말한 것이다.
- 준이해석 : 도는 언제나 이름이 없다. 질박하고 비록 작으나 천하(인간)는 누구도 이를 신하로 할 수 없다, 제후나 왕이 만약 이를 지킬 수 있다면, 만물은 장차 스스로 따를 것이고, 천지(자연)는 서로 어울릴 것이다. 단 이슬을 내려주고 백성은 명령(강제)하지 않아도 스스로 균형을 맞출 것이다. 만듦을 시작함에 이름이 있다. 이름은 역시 이미 가지고 있다. 그것은 역시 장차 멈추어야 함을 안다. 멈추는 것을 아니, 위태롭지 아니할 줄 안다. 도를 천하에 있는 것으로 비유하자면 가히 강과 바다로 흘러가는 계곡물이라 한다.
- 준이생각 : 道는 질박하고 작다. 도를 신하로 둘 수 있는 자는 없으나 도를 지키고 따른다면 세상만물을 스스로 따라 오고, 자연은 서로 어울리고, 백성들도 스스로 평화롭다. 이는 도를 내세워 곡학아세한다는 것이 헛된 것이고, 도를 따르는 것이 천하의 순리에 따르는 것이니 자연히 세상 만물이 함께 가게 된다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계곡에 물이 흘러 가듯, 세상 만물 속을 흐르는 도의 기운을 그려 본다. 하지만 이것이 무엇인가 형태를 띄고 나타 날 때는, 즉 아마도 무엇인가에 쓸 용도로 일부를 잘라내어 손을 댔을 경우에는 언제 그만두어야 할지도 알고, 그 쓰임을 다 하면 다시 돌려 보내야 한다는 것이 아닐까 한다. 도...그리하여 그 자체로는 소박하고 질박하나 그것은 만물의 근원이고 끝이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道德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道德經 - 34 [大道氾兮, 其可左右] (2) | 2016.01.18 |
---|---|
道德經 - 33 [知人者智, 自知者明] (0) | 2016.01.18 |
道德經 - 31 [夫佳兵者, 不祥之器] (0) | 2016.01.13 |
道德經 - 30 [以道佐人主者] (0) | 2016.01.12 |
道德經 - 23 [希言自然] (0) | 2016.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