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希言自然 故飄風不終朝 驟雨不終日 孰爲此者天地 天地尙不能久 而況於人乎 故從事於道者
희언자연 고표풍부종조 취우부종일 숙위차자천지 천지상불능구 이황어인호 고종사어도자
希[ xī ](희)바랄,(稀)적다, 드물다,희소하다, 극히, 매우/飄(표)나부낄, 빠르다,회오리바람/驟(취)달릴, 빠르다, 몰아가다, 자주/尙(상)오히려, 더욱이, 아직풍습, 숭상하다, 높이다, 자랑하다, 주관하다, 장가들다, 꾸미다/況(황)상황, 하물며
道者同於道 德者同於德 失者同於失 同於道者 道亦樂得之 同於德者 德亦樂得之
도자동어도 덕자동어덕 실자동어실 동어도자 도역락득지 동어덕자 덕역락득지
同於失者 失亦樂得之 信不足焉 有不信焉.
동어실자 실역락득지 신부족언 유불신언
- 참고 : 말이 적은 것은 자연스럽다. 그렇기에 회오리바람은 아침 내내 불지 않고, 갑작스런 비는 종일 내리지 않는다. 누가 이렇게 하는가? 하늘과 땅이다. (그런데 이러한) 하늘과 땅마저 변치 않을 수 없으니, 하물며 사람이야. 따라서 길을 따라 일을 좇을 때,[2]도를 따르면 도와 같아지고, 덕을 따르면 덕과 같아지며, 잘못을 따르면 잘못과 같아진다. 도와 같아지면, 도 또한 이를 즐거이(편히) 받아들이고, 덕과 같아지면, 덕 역시 이를 즐거이 받아들이며 잘못과 같아지면, 잘못 역시 이를 즐거이 받아들인다. 믿음이 넉넉치 않으면, 믿지 않음이 있을 뿐.
- 참고자료 : 말이 없는 것이야말로 스스로 그러한 것이다. 그러므로 회오리 바람은 아침을 마칠 수 없고, 소나기는 하루를 마칠 수 없다. 누가 이렇게 만들고 있는가? 하늘과 땅이다. 하늘과 땅도 이렇게 오래 갈 수 없거늘, 하물며 사람에서랴! 그러므로 도를 따라 섬기는 자는 알아야 할 것이다. 도를 구하는 자는 도와 같아지고 얻음을 구하는 자는 얻음과 같아지고 잃음을 구하는 자는 잃음과 같아진다. 도와 같아지는 자는 도 또한 그를 즐거이 얻으리. 얻음과 같아지는 자는 얻음 또한 그를 즐거이 얻으리. 잃음과 같아지는 자는 잃음 또한 그를 즐거이 얻으리.
* 도(道)에 종사하는 자는 도에 같아지고, 덕(德)에 종사하는 자는 덕에 같아지고, (失)에 종사하는 자는 실에 같아진다. 도를 얻는 자는 도 또한 그를 얻을 것이요. 도를 잃는 자는 도 또한 그를 잃을 것이다.
- 준이해석 : 말이 드문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고로 회오리 바람은 아침을 다 하도록 지속치 않고, 쏟아지는 비는 하루를 다 하도록 지속치 않는다. 누가 이러한 것들을 하는가 ? 천지다. 천지는 오히려 영원할 수 없음에 하물며 인간에게는 어떠할 것인가? 고로 일을 따름에 도로 행하는 자는 도자는 도에 같아지고 덕을 행하는 자는 덕에 같아지고 실失을 행하는 자는 실에 같아진다. 도는 도를 얻음에 즐거움이 있고 이는 덕을 행하는 자에게도 같으면 덕은 덕을 얻음에 즐거움이 있고 실을 행하는 자에게도 같아서 실 또한 실을 얻음에 즐거움이 있다. 믿음이 부족하다는 것은 불신이 있음이다.
- 준이생각 : 맹자의 말을 대충 들여다 보면 여러 가지 가치관이 나오는데, 이번 장에만 봐도 도, 덕, 그리고 실失까지. 그런데 재밌는 것이 이러한 가치관들이 무엇은 더 낫고 무엇은 나쁘고 하는 그런 표현 보다는 그냥 등가물로서 병렬로 나열된다는 점이 특색있다고 보여진다. 도를 가까이 하고 이를 행하려는 사람은 도와 비슷해지고 또 즐거이 도를 얻고, 덕을 가까이 하고 행하려는 자도 덕과 비슷해지고 또 덕을 얻음에 즐거움이 있다 까지는 대충 공맹의 사상과 비슷하여 자연스럽게 들어오는데, 난데 없이 실失을 행하는 자도 이와 똑같다, 그리고 그것이 더 좋다 나쁘다라는 말은 어디에도 없다. 그래서 여기서 나는 좀 색다른 의견을 내어 본다. 도니 덕이니 실이니 하는 것들은 결국엔 같은 것이 아닐까? 좀 다르게 표현해 본다면, 태초부터 있던 혼돈, 황홀, 돈돈한 것임에 결국은 한 몸의 다른 표현이 아닐까 하는...하지만 이 모든 자연의 법과 체를 이해하고 순응한다는 것으로서 악당의 또는 루저로서의 길보다는 도와 덕을 따르는 사람으로서의 모습이 더 자연스러운 것이 아닐까 하는... 하나이기도 하지만 실상은 시시각각 그 모습이 바뀌어 지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속에서만 규정되어 지는, 대국적으로 본다면 상대적인 것에 불과한... 내가 제대로 가는건지 잘 모르겠다.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道德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道德經 - 31 [夫佳兵者, 不祥之器] (0) | 2016.01.13 |
---|---|
道德經 - 30 [以道佐人主者] (0) | 2016.01.12 |
道德經 - 25 [有物混成] (0) | 2016.01.12 |
道德經 - 29 [將欲取天下而爲之] (0) | 2016.01.11 |
道德經 - 28 [大制不割] (2) | 2016.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