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嬖人臧倉> 20150428
16-01 魯平公將出 嬖人臧倉者 請曰他日君出則必命有司所之 今乘輿已駕矣 有司未知所之 敢請
노평공장출 폐인장창자 청왈타일군출즈필명유사소지 금승여이가의 유사미지소지 감청
嬖(폐)사랑할 /臧(장)착할 /倉(창)곳집 / 駕(가)멍에
孟子 曰何哉 君所謂輕身 以善於匹夫者 以爲賢乎 禮義由賢者出而孟子之後喪 踰前喪
맹자 왈하재 군소위경신 이선어필부자 이위현호 예의유현자출이맹자지후상 유전상
踰(유)넘을, (요)멀
君無見焉 公曰諾
군무견언 공왈낙
諾(낙)허락할,
16-02 樂正子入見曰 君奚爲不見孟軻也 曰或告寡人曰 孟子之後喪 踰前喪 是以不往見也 曰何哉
약정자입견왈 균계위불견맹가야 왈혹고과인왈 맹자지후상 유전상 시이불왕견야 왈하재
軻(가)수레, 사람이름
君所謂踰者 前以士 後以大夫 前以三鼎而後以五鼎與 曰否 謂棺槨衣衾之美也 曰非所謂踰也 貧富不同也
군소위유자 전이사 후이대부 전이삼현이후이오현여 왈부 위관곽의금지미야 왈비소위유야 빈부부동야
棺(관)널 / 槨(곽)외관 /衾(금)이불
16-03 樂正子見孟子曰 克告於君 君爲來見也 嬖人有臧倉者沮君 君是以不果來也 曰行或使之 止或尼之
약정자견맹자왈 극고어군 군위래견야 폐인유장창자저군 군시이불과래야 왈행혹사지 지혹일지
沮(저)막을 / 尼(니)여승, (닐, 일)말릴
行止非人所能也 吾之不遇魯侯天也 臧氏之子 焉能使予不遇哉
행지비인소능야 오지불우노후천야 장씨지자 언능사여불우재
● 노평공이 외출하려 하는데 시신(侍臣)인 장창이란 자가 말하기를 “먼저는 주군 께서 외출하실 때 반드시 유사에게 어디로 가신다고 일러 놓으시더니 오늘은 가마 도 벌써 준비가 다 되었는데 유사가 아직 어디로 가시는지 모르고 있습니다. 어디 로 가실는지?”
“맹자를 만나보려 하오.” “웬일이십니까? 주군께서 경솔하게 몸을 움직여 한갖 하찮은 사내를 먼저 찾아보 려 하시니 그를 현인으로 생각하시는지? 예의는 현인에게서 나오는 것인데 맹자 는 나중에 치른 상례(喪禮)가 먼저 치른 상례보다 나았다 합니다. 주군은 그를 만 나실 것이 없습니다.” “그렇게 하지요.” 악정자가 들어가 보고 “주군께서는 왜 맹자를 만나지 않으셨습니까?” “어느 사람이 내게 말하기를 ‘맹자의 나중 상례가 먼저 상례보다 나았다.’ 그렇게 말하기에 가서 만나지 않은 것이요.” “아니 주군께서 소위 나았다는 것은 앞 선에는 선비[士] 벼슬이었고 뒤에는 대부 벼슬이었기 때문에 앞 선에는 삼정(三鼎)의 예로써 치르고 뒤에는 오정(五鼎)의 예 로써 치른 것을 말하시는 것입니까?” “아니오. 그것이 아니라 관곽과 수의가 아름다웠다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소위 지나친 것이 아닙니다. 빈부의 정도가 달랐던 것이랍니다.”
악정자가 맹자를 보고 “제가 주군께 아뢰어 주군께서 와 뵈옵기로 한 것인데 신하 들 중에 장창이란 자가 있어 주군을 만류한 까닭에 주군께서도 떨치지 못하였답 니다.” “가는 데에도 그 무엇이 가도록 하여 주고 그만 두는 데에도 그 무엇이 그렇게 그 만 두게 하는 것이라, 간다거나 그만 둔다거나 하는 것은 사람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는 것이다. 내가 노후(魯侯)와 만나지 못한 것은 천명인 것이니 장씨집 아이 놈이 어찌 나로 하여금 못 만나게 할 수야 있었겠느냐!”
-준이생각 ;이번 편이 맹자권지일(양혜왕장구 상하)의 마지막편이다. 천하를 제대로 만들어 보고자 하는 포부(권력욕 아님, 인본적 철학 맞음)를 가지고 세상을 기다리던 맹자였지만...한 낱 애첩 때문에 그 기회를 놓치게 된다. 봉황이 그 때를 기다린다해도 시운을 만나지 못하면 한 낱 시운을 잘 탄 참새 한마리 때문에 일을 그르치기도 하는 것이리라. 터져 오르는 분노로 참새에 욕을 해도 시원 찮을 판이지만 맹자는 천운이라고 말한다. 그 사람의 마음속 상실감이 얼마나 컸을까 싶다.내가 제대로 그 뜻을 새겨 들었는지는 전혀 알 수 없지만 왠지 이때 맹자의 마음을 이해 할 거 같다.
내 마음속 평생 18번 중 하나...^^
https://www.youtube.com/watch?v=U0qxKvhpW5A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公孫丑章句上 - 02 (1/3) <浩然之氣> 20150501 (0) | 2015.04.30 |
---|---|
公孫丑章句上 - 01 <管仲晏子> 20150429 (0) | 2015.04.28 |
梁惠王章句下 - 15 <效死勿去> 20150427 (0) | 2015.04.26 |
梁惠王章句下 - 14 <齊人將築薛> 20150426 (0) | 2015.04.25 |
梁惠王章句下 - 13 <間於齊楚> 20150425 (0) | 201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