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白圭曰 吾欲二十而取一 何如> 20150912
10-01 白圭曰 吾欲二十而取一 何如
백규왈 오욕이십이취일 하여
백규가 말하기를 “나는 세금을 이십 분의 일을 받아들이고 싶은데 어떨까요?”
10-02 孟子曰 子之道 貉道也
맹자왈 자지도 맥도야
貉(맥)오랑캐, (학)담비
맹자가 말하기를 “그대의 도는 오랑캐의 도(貉道)라는 것입니다.
10-03 萬室之國 一人 陶則可乎 曰不可 器不足用也
만실지국 일인 도즉가호 왈불가 기부족용야
陶(도)질그릇,(요)사람이름
일만 호 장안에 질그릇쟁이가 하나면 될까요?”“안 되겠지요. 그릇을 쓰기에 부족할 것입니다.”
10-04 曰夫貉 五穀不生 惟黍生之 無城郭宮室宗廟祭祀之禮 無諸侯幣帛饔飱 無百官有司 故二十取一而足也
왈부맥 오곡불생 유맥생지 무성곽궁실종묘제사지례 무제후폐금옹손 무백관유사 고이십취일이족야
祀(사)제사/饔(옹)아침밥 /飱(손)저녁밥
“그렇다면 저 오랑캐 땅에서는 오곡이 나지 못하고, 오직 좁쌀만이 나는데, 성곽이나 가옥이나 종묘나 제사같은 예절이 없고, 제후의 폐백이나 향연따위도 없으며,여러 벼슬아치들도 없으니, 그러므로 이십 분의 일을 받아들여도 넉넉합니다.
10-05 今居中國 去人倫 無君子 如之何其可也
금거중국 거인륜 무군자 여지하기가야
이제 중국에 살면서 인륜을 버리고 지도자도 없다면 어찌 옳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
10-06 陶而寡 且不可以爲國 況無君子乎
도이과 차불가이위국 황무군자호
寡(과)적을
질그릇쟁이가 적어도, 나라를 이룩할 수 없는데, 하물며 지도자까지 없으면 될 말인가?
10-07 欲輕之於堯舜之道者 大貉小貉也 欲重之於堯舜之道者 大桀 小桀也
욕경지어요순지도자 대맥소맥야 욕중지어요순지도자 대걸 소걸야
요순의 도보다도 가볍게 하려는 사람은 큰 오랑캐에 대하여 작은 오랑캐인 셈이
요, 요순의 도보다도 중하게 하려는 사람은 큰 걸(桀)에 대하여 작은 걸(桀)인 셈입
니다.”
- 참고자료 :(위나라의 제상) 백규가 말하기를 “나는 세금으로 20분의 1을 거두려고 하는데 그렇게 하면 어떻습니까?”하니, 맹자가 답하기를 “자네의 (정치) 방도는 맥국의 방도일세. 만개 집이 있는 나라에 한 사람이 질그릇을 구우면 곧 되겠는가?”하니, 답하기를 “불가합니다. 그릇이 사용하는데 부족하지요.”했다. (맹자가) 말하기를 “저 맥이라는 나라는 오곡이 생산되지 못하고, 오직 기장만 자랄 수 있고, 성곽이나, 궁궐이나, 종묘나, 제사지내는 예절이 없으며, 제후들가 교류하기 위한 폐백이나 음식 대접도 없으며, 백관이나 책임을 분담하는 유사도 없네. 그리하여 20분의 1만 취하여 받아들여도 충족하게 되었네.”하고,“지금 여러 종족 중 중심국가인 중국에 살면서 사람이 지킬 도리인 인륜도 버리고, 통치할 지도자인 군자도 없으면 어떻게 하여야 옳겠는가? 질그릇이 적어도 나라라고 할 수가 없거늘 하물며 통치 지도자인 군자가 없어서 되겠는가? (십분의 1로 정한)요순의 방도를 더 가볍게 하기 위해 세금을 줄이려 한다면 이는 땅덩이가 큰 맥국이나 작은 맥국이고, 요순의 방도를 어기고 더 무겁게 세금을 거둔다면 폭군인 대걸과 소걸이 된다.”하였다.
나라로서 백성을 다스리고 이웃나라와 교류를 하자면 20뿐의 1만 세금을 받아서는 아니 된다.요순의 수세 방법인 10분의 1을 덜 받거나 더 받아도 아니 된다.
- 준이생각 : 맹자시대에도 조세제도는 중요한 사안이었던 거 같다. 암튼 맹자의 취지는 국가가 해야 할 일들(제사 같은)을 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만큼은 조세로 거두어 들여 제대로 치루어야 하지, 적게 더두어 들여 제대로 행사를 못 치러서도(대맥, 소맥), 무리하여 과하게 거두어 들여서도(대걸, 소걸)아니 된다고 하였다.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告子章句下 - 12 <惡乎執> 20150915 (0) | 2015.09.14 |
---|---|
告子章句下 - 11 <白圭曰 丹之治水也> 20150914 (0) | 2015.09.14 |
告子章句下 - 09 <辟土地 充府庫> 20150911 (0) | 2015.09.10 |
告子章句下 - 08 <魯欲使愼子 爲將軍> 20150910 (0) | 2015.09.10 |
告子章句下 - 07 <五覇者 三王之罪人也> 20150909 (0) | 2015.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