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三十輻共一轂, 當其無, 有車之用. 埏埴以爲器, 當其無, 有器之用.
삼십폭공일곡 당기무 유차지용 연식이위기 당기무 유기지용
輻(복,폭)바퀴살,(부)몰려들/共(공)한가지, 함께 하다, 공손하다, 공경하다/轂(곡)바퀴통/埏埴 도자기(陶瓷器)의 원료(原料)로 쓰는 흙을 개는 일/埏(연)땅 가장자리,(선)이길/埴(식,치)찰흙
鑿戶牖以爲室, 當其無, 有室之用. 故有之以爲利, 無之以爲用.
착호유이위실 당기무 유실지용 고유지이위리 무지이위용
鑿(착)뚫을,(조)구멍,(촉)새길/牖(유)들창
- 참고1 : 서른 개의 바퀴살이 하나의 통에 모여있으니 그 없음에 쓰임이 있다.
진흙을 이겨 그릇을 만드니 그 없음에 그릇의 쓰임이 있다.
문과 창을 뚫어 집을 만드니 그 없음에 집의 쓰임이 있다.
따라서 있음의 이로움은 없음의 쓰임 때문이다.
- 참고2 : 車輪というものは三十本の輻(や)が真ん中の轂(こしき)に集まって出来ている。その轂に車軸を通す穴があいているからこそ車輪としての用を為すのだ。器を作るときには粘土をこねて作る。その器に何もない空間があってこそ器としての用を為すのだ。戸や窓をくりぬいて家は出来ている。その家の何もない空間こそが家としての用を為しているのだ。だから何かが「有る」という事で利益が得られるのは、「無い」という事が影でその効用を発揮しているからなのだ。
- 참고자료 : 서른개 바퀴살이 하나의 바퀴통에 모인다. 그 바퀴통 속의 빔에 수레의 쓰임이 있다. 찰흙을 빚어 그릇을 만든다. 그 그릇의 빔에 그릇의 쓰임이 있다. 문과 창을 뚫어 방을 만든다. 그 방의 빔에 방의 쓰임이 있다. 그러므로 있음의 이로움은 없음의 쓰임이 있기 때문이다.
* 없음(無)은 곧 빔(虛)이요, 빔은 곧 있음(有)의 쓰임(用)이다. 있음의 리(利)됨은 없음의 용(用)됨 때문이다. 모든 존재 유(有)는 존재 자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이로움(利)때문이다. 그러나 그 이로움은 없음(빔)의 쓰임(용) 때문인 것이다.
- 준이해석 : 서른개의 바퀴살이 하나의 바퀴통에 함께 하여, 그 빈 부분으로 수레의 쓸모가 있다. 흙을 개어 그릇을 만듦에, 그 빈 부분으로 그릇의 쓸모가 있다. 문과 들창을 뚫어 방을 만듦에 그 빈 곳으로 방의 쓸모가 있게 된다. 고로, 있어서 이로움이 되고자 하는 것은 없기에 쓸모가 있는 것이다.
- 준이생각 : 무언가 쓸모를 얻는 것들을 잘 생각해 보면 그 빈 부분에 의해서이다라는 말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虛의 속성을 이야기 하는 걸로 본다. 그냥 무엇인가가 없기에 비어 있는 것이 아니고, 그 허가 있기에 사물이 비로소 제 쓸모를 갖게 되고 이로움이 되는 것이니, 이 허야 말로 존재가치를 가지게 하는 부분이다라고 생각을 해 보게 되는데...좀 더 곰곰이 생각해 볼 일이다.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道德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道德經 - 13 [寵辱若驚] (0) | 2015.12.15 |
---|---|
道德經 - 12 [五色令人目盲] (0) | 2015.12.14 |
道德經 - 10 [載營魄抱一] (0) | 2015.12.10 |
道德經 - 09 [持而盈之,不如其已] (0) | 2015.12.10 |
道德經 - 08 [上善若水] (0) | 2015.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