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視之不見 名曰夷. 聽之不聞 名曰希. 搏之不得 名曰微. 此三者不可致詰, 故混而爲一. 

  시지불견 명왈이  청지불문 명왈희  박지부득 명왈미  차삼자불가치힐  고혼이위일

希(희)바랄,(치)칡베,[ xī ]희망을 바라다/搏(박)두드릴,어깨,[ bó ](맨손,칼,몽둥이로) 갈기다, 후려치다, 덮쳐 잡다, 박동하다/微(미)작을,[ wēi ]작다,미약하다, 미천하다, 오묘하다, 쇠락하다, 약간,/致(치)이를, 빽빽할, 이루다, 부르다,[zhì] 표시하다, 나타내다, 다하다, 집중하다, 주다, 보내다/混(혼)섞을, 오랑캐,[ hùn ]섞다, 혼합하다, 그럭저럭 살다, 사귀다, 함부로, 기만하다, 더럽다/詰(힐)물을, 꾸짖을, 조사하다


其上不皦, 其下不昧, 繩繩不可名, 復歸於無物. 是謂無狀之狀, 無物之狀, 是謂恍惚.

기상불교  기하불매  승승불가명  복귀어무물  시위무상지상  무물지상  시위황홀

皦(교)옥석 흴,[ jiǎo ]새하얗다, 눈부시다, 반짝거리다, 명확하다/昧(매)어두울,[ mèi ]어둡다, 어리석다, 알지 못하다, 숨기다, 무례하다/繩(승)노끈, 밧줄,绳[ shéng ]바로잡다, 통제하다, 잇다, 계승하다, 먹줄, 규칙/恍(황)황홀할,(광)용맹스러운 모양/惚(홀)황홀할/恍惚[huǎnghū](정신이)얼떨떨하다, 흐리멍덩하다, 희미하다, 아련하다, 어렴풋하다


迎之不見其首, 隨之不見其後. 執古之道以御今之有, 能知古始, 是謂道紀.

영지불견기수  수지불견기후  집고지도이어금지유  능지고시  시위도기

迎(영)맞을,[ yíng ]맞이하다, 영접하다, ~을 향하여, ~쪽으로/隨(수)따를, (타)게으를/御(어)거느릴, 막을,(아)맞을,[ yù ](말,수레를)몰다, 부리다, 다스리다, 황제와관련있는, 막다, 저항하다, 맞서다/紀(기)벼리,해, 세월, 단서, 규율, 터, 적다.


- 참고 : 보려하여도 보이지 않아 이를 어렴풋하다고 하고, 들으려 해도 들리지 않아 이를 흐릿하다고 하고, 잡으려 해도 얻을 수 없어 이를 희미하다고 한다. 이 세가지는 따져 물을 수 없는 것이라, 뒤섞여 하나이다. 그 위는 밝지 않고, 그 아래는 어둡지 않다. 끝없이 이어져 구분할 수 없고, 존재 이전으로 다시 돌아간다. 이를 형상없는 형상이라 부르고, 실체없는 모양이라 부르니, 그저 황홀하다 한다. 맞이해도 그 머리를 볼 수 없고, 따라가도 그 꼬리를 볼 수 없다. 옛날의 도를 얻어 지금의 일을 다스리니, 도의 시작을 알 수 있으므로 이를 도의 실마리라 부른다.



- 참고자료 : 보아도 보이지 않는 것을 이름하여 ‘이’라 하고, 들어도 들리지 않는 것을 이름하여 ‘희’라 하고, 만져도 만져지지 않는 것을 이름하여 ‘미’라 한다. ‘이’, ‘희’, ‘미’ 이 셋은 꼬치꼬치 캐물을 수 없다. 그러므로 뭉뚱그려 하나로 삼는다. 그 위는 밝지 아니하고, 그 아래는 어둡지 아니하다. 이러지고도 이어지는데 이름 할 수 없도다. 다시 물체 없는 데로 돌아가니 이를 일컬어 모습 없는 모습이요, 물체 없는 형상이라 한다. 이를 일컬어 황홀하다 하도다. 앞에서 맞이하여도 그 머리가 보이지 않고, 뒤에서 따라가도 그 꼬리가 보이지 않는다. 옛 도를 잡어 오늘의 있음을 제어한다. 능히 옛 시작을 파악하니 이를 일컬어 도의 ‘벼리’라고 한다.


* 노장사상은 한마디로 카오스의 철학이다. 코스모스(피타코라스(582-500BC)가 최초사용, 조화를 갖춘 세계)가 생겨나기 이전의 상태, 즉, 규정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모습이 없는 것이 곧 모습이 있는 것이요, 모습이 있는 것이 곧 모습이 없는 것이다. 없다고 말하려고 하면 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이루어지고 있고, 있다고 말하려고 하면 그 형체를 볼 수가 없다. 그래서 모습 없는 모습이요, 물체 없는 형상이라 말한 것이다.


*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황홀”이라는 말의 유래가 된다. 모든 존재가 생성되는 비존재의 상태 모습 없는 모습의 그 근원적 인식을 일으켜 “황홀”이라고 한다. 곧 우리의 인식에 명료하게 구분되어 나타나는 모든 명언(名言) 이전의 무차별적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 “옛 시작”이야말로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도의 벼리”인 것이다. 시간에 대한 통관적 이해 없으면 우리는 오늘의 질서를 파악할 수 없는 것이다.



- 준이해석 : 보려하나 보이지 않는 것을 夷라 불러 이름하고, 들으려 하나 들리지 않는 것을 希라 불러 이름하고, 잡으려하나 잡히지 않는 것을 微라 불러 이름한다. 이 세 개는 끝까지 알아낼 수 없는 것이라, 고로 서로 섞이어 하나가 되어 있다. 그 위는 밝지 않고, 그 아래는 어둡지 않으며, (서로)잇고 이어져 이름 붙일 수 없어, 무물(無物)로 돌아 간다. 이리하여 형태 없는 형태, 물질 없는 모양이라 하고 이를 가리켜 恍惚이라 한다. 그것을 맞아 그 머리를 볼 수 없고, 그것을 따름에 그 뒤를 볼수 없다. 옛 도를 집어 지금의 세상(今之有)을 다스리니, 옛 시작을 알 수 있어, 이를 도기道紀(도의 벼리)라 부른다. 


- 준이생각 : 이번 장에서는 황홀에 대해 이야기 한다. 황홀이라 함은 보이지도 않고 들리지도 않고 잡히지도 않아 도대체 알수 없는 것이고 이러한 세 개의 성질은 서로 섞여서 서로 이어져 도대체 그 이름을 붙이기도 알 수도 없는 것이며 그 앞도 뒤도 보아도 보이지 않고 그 위도 아래도 밝지도 어둡지도 않아 무상의 상이고 무물의 상이라 이를 황홀이라 한다고 한다. 자연은 이러한 황홀한 허(비어 있음)의 혼연이라는 말인 듯 한데, 역시나 그 혼돈의 세상이 바로 이 자연이고 이를 황홀 하다고 하는게 아닐까 한다. 허나 우리가 도라고 하는 것은 아주 오래전부터 내려 오는 것으로서 그 시작을 알수 있으니 이를 도기라 하고 이로써 지금의 것(사물, 세상)을 다스리고 있다는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