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조금씩배워보자/道德經

道德經 - 51 [道生之, 德畜之]

51.道生之, 德畜之, 物形之, 勢成之, 是以萬物莫不尊道而貴德, 

   도생지  덕휵지  물형지  세성지  시이만물막부존도이귀덕

畜(축)짐승,쌓을,(휵)기를/莫不 [mòbù]1.[부사] …하지 않는 자가〔것이〕 없다. 모두 …하다./尊 [zūn]1.[형용사] (지위나 서열이) 높다. 고귀하다.2.[동사] 존경하다. 존중하다. 숭상하다.3.[형용사][경어] 당신. [옛날, 상대방과 관계 있는 사람이나 사물을 일컬을 때 쓰였음]/勢 형세 (세)1. 형세(形勢) 2. 권세(權勢) 3. 기세(氣勢: 기운차게 뻗치는 형세) 4. 기회(機會) 5. 동향(動向) 6. 시기(時期) 7. 불알,고환(睾丸) 8. 언저리


道之尊, 德之貴, 夫莫之命而常自然, 故道生之, 德畜之, 長之育之, 亭之毒之, 養之覆之, 

도지존  덕지귀  부막지명이상자연  고도생지  덕휵지  장지육지  정지독지  양지복지

亭 [tíng]1.[명사] 정자.2.[명사] 정자 모양의 작은 건물.3.[형용사][문어] 꼭 알맞다. 치우치지 않다. 균등하다. 균형이 맞다. 적당하다./覆 (복)다시, (부)덮을 [fù]1.[동사] 뒤집(히)다. 엎어지다. 전복되다. 고꾸라지다.2.[동사] 멸망하다.3.[동사] 덮다. 뒤덮다. 씌우다. 덮어 가리다.


生而不有, 爲而不恃, 長而不宰, 是謂元德. 

생이불유  위이불시  장이불재  시위원덕

恃 [shì]1.[동사] 의지하다. 믿다.2.[명사][문어] 어머니./宰 재상(재)[zǎi]1.[동사] 주관하다. 주재(主宰)하다.2.[동사] (가축·가금 등을) 도살하다. 죽이다. 잡다.3.[동사][비유] 바가지씌우다. 폭리를 취하다./元(원)으뜸,1. 으뜸, 처음, 시초(始初) 2. 우두머리, 두목(頭目), 임금 3. 첫째, 첫째가 되는 해나 날 4. 기운(눈에는 보이지 않으나 오관(五官)으로 느껴지는 현상), 천지의 큰 덕, 만물(萬物)을 육성하는 덕 5....


- 참고 : 도는 낳고, 덕은 기르니, 사물의 모양이 잡히고, 힘의 흐름이 생긴다. 그러므로 만물은 도를 살피고 덕을 귀히 여기지 않는 것이 없다. 도를 높이고 덕을 귀히 여기는 것은, 누가 시키지 않아도 자연히 그러한 것이다. 그러므로 도는 낳고, 덕은 기르니, 기르고 보살피고, 이루고 성숙시키고, 돌보고 덮어준다. 낳되 소유하지 않으며, 위하되 뻐기지 않으며, 기르되 간섭하지 않으니, 이를 그윽한 덕이라 부른다.



- 참고자료 : [출처 : http://www.zxuew.cn/daodejing/]

—————————注音版—————————


道(dào)生(shēng)之(zhī),德(dé)畜(xù)之(zhī),

物(wù)形(xíng)之(zhī),势(shì)成(chéng)之(zhī)。

是(shì)以(yǐ)万(wàn)物(wù)莫(mò)不(bù)尊(zūn)道(dào)而(ér)贵(guì)德(dé)。

道(dào)之(zhī)尊(zūn),德(dé)之(zhī)贵(guì),

夫(fū)莫(mò)之(zhī)命(mìng)而(ér)常(cháng)自(zì)然(rán)。

故(gù)道(dào)生(shēng)之(zhī),

德(dé)畜(xù)之(zhī);长(cháng)之(zhī)育(yù)之(zhī);

成(chéng)之(zhī)熟(shú)之(zhī);养(yǎng)之(zhī)覆(fù)之(zhī)。

生(shēng)而(ér)不(bù)有(yǒu),为(wéi)而(ér)不(bù)恃(shì),

长(cháng)而(ér)不(bù)宰(zǎi)。是(shì)谓(wèi)玄(xuán)德(dé)。


[译文]


“道生之,德畜之,物形之,势成之。”


“道”创生了他,“德”哺育了他,“物”使他成形,“环境”使他成长。도는 그를 창생케 하고, 덕은 그를 보육하고, 물物은 그를 형성케 하고, 환경은 그를 성장케 한다.



“是以万物莫不尊道而贵德”


故万物由此而来,因此他们都尊敬“道”、珍贵“德”。고로 만물은 저러한 것에 의해 이어 오고, 따라서 그들은 모두 도를 존경하고 덕을 진귀히 여긴다., 



“道之尊,德之贵,夫莫之命而常自然。”


“道”的尊敬、“德”的珍贵,不加干涉,任万物自化自成(遵循自然)。도의 존경과 덕의 진귀함은 간섭을 더하지 않고 만물로 하여금 스스로가 되고 스스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故道生之,德畜之,长之育之,成之熟之,养之覆之。”


“道”创生了万物,“德”哺育万物,使万物生长作育,使万物成熟结果,使万物养息延续。만물을 창생케 하는 도와, 만물을 보육하는 덕은, 만물로 하여금 자라나게 하고 기르게 한다. 만물이 성숙하여 열매를 맺도록 한다.



“生而不有,为而不恃,长而不宰。是谓玄德。”


创生了万物而据为己有,兴作万物而不自恃己能,长养万物而不为主宰。此乃“道”最高境界。만물을 창생하고서 자신의 소유로 만들지 않고, 만물을 일으켜 만들고서 자기 하고픈대로 교만하게 굴지 않고, 만물을 자라고 길게 하면서도 통치하려 하지 않는다. 이것이 ‘도’가 최고 경계이다. 

据为己有 [jùwéijǐyǒu]1.[성어] 자기의 소유로 만들다. 남의 것을 강점하다. 남의 것을 강제로 차지하다./自恃 [zìshì]1.[형용사][문어] 교만하게 굴다.2.[동사][문어] 자시하다. (유리한 조건에) 기대다. 의지하다. 의거하다. 믿다./主宰 [zhǔzǎi]1.[동사] 주재하다. 통치하다. 지배하다.2.[명사] 주재자.


[长篇大论]


本章没有找到相关故事,故禅理故事一则。


取悦自己

取悦 [qǔyuè]1.[동사] (남을) 기쁘게 하다. 비위를 맞추다. ≒[讨好(tǎohǎo)


一位诗人。他写了不少的诗,也有了一定的名气,可是,他还有相当一部分诗却没有发表出来,也无人欣赏。为此,诗人很苦恼。

名气 [míngqì]1.[명사] 명성. 지명도. ≒[名声(míngshēng)]/欣赏 [xīnshǎng]1.[동사] 감상하다.2.[동사] 좋아하다. 마음에 들다./为此 [wèicǐ]1.[접속사] 이 때문에. 이를 위해서. 그런 까닭에


诗人有位朋友,是位禅师。这天,诗人向禅师说了自己的苦恼。禅师笑了,指着窗外一株茂盛的植物说:“你看,那是什么花?”诗人看了一眼植物说:“夜来香。”禅师说:“对,这夜来香只在夜晚开放,所以大家才叫它夜来香。那你知道,夜来香为什么不在白天开花,而在夜晚开花呢?”诗人看了看禅师,摇了摇头。

叫 [jiào](呌) 부르짖을 규 1.[동사] 외치다. 고함치다. 소리지르다. 소리치다. 부르짖다.

2.[동사] 부르다. 불러 오다. 호출하다. 3.[동사] 요구하다. 명령하다. …시키다. …하게 하다.


禅师笑着说:“夜晚开花,并无人注意,它开花,只为了取悦自己!”诗人吃了一惊:“取悦自己?”禅师笑道:“白天开放的花,都是为了引人注目,得到他人的赞赏。而这夜来香,在无人欣赏的情况下,依然开放自己,芳香自己,它只是为了让自己快乐。一个人,难道还不如一种植物?”

赞赏 [zànshǎng]1.[동사] 찬상하다. 칭찬하며 높이 평가하다.


禅师看了看诗人又说:“许多人,总是把自己快乐的钥匙交给别人,自己所做的一切,都是在做给别人看,让别人来赞赏,仿佛只有这样才能快乐起来。其实,许多时候,我们应该为自己做事。”诗人笑了,他说:“我懂了。一个人,不是活给别人看的,而是为自己而活,要做一个有意义的自己。”

钥匙 [yàoshi] 1.[명사] 열쇠./懂 [dǒng]1.[동사] 알다. 이해하다. 터득하다. 정통하다.2.[명사] (Dǒng) 성(姓)./活 [huó]1.[동사] 살다. 생존하다. 생활하다. ↔[死板(sǐbǎn)]2.[동사] 살리다. 목숨을 구하다.3.[형용사] 유동적〔이동식·조립식〕이다. 고정되어 있지 않다. 흔들리다.


禅师笑着点了点头,又说:“一个人,只有取悦自己,才能不放弃自己:只要取悦了自己,也就提升了自己:只要取悦了自己,才能影响他人。要知道,夜来香夜晚开放,可我们许多人,却都是枕着它的芳香入梦的啊。”

提升 [tíshēng]1.[동사] 진급하다. 진급시키다. 발탁〔등용〕하다.2.[동사] (권양기 따위로 광물·재료 등을) 높은 곳으로 운반하다./枕 [zhěn]1.[명사] 베개.2.[동사] (베개를) 베다.

3.[동사] 깔다. 받치다./入梦 [rùmèng]1.[동사] 꿈에 빠지다. 잠들다. ≒[入眠(rùmián), 入睡(rùshuì)]



- 준이해석 :  도道는 나게 하고, 덕德은 기르고, 물物은 형태를 만들어 주고, 기세勢는 이루어지게 한다. 이것이 만물에 도를 존경하고 덕을 귀히 여지 않는 자가 없는 이유다. 도의 존엄과 덕의 귀함은 명령하지 않고 언제나 자연스럽다, 고로 도는 나게 하고, 덕은 기르고, 크게 하고 자라게 하고 적당하게 하고 괴롭게 하고 키우면서 엎어지게 한다. 낳되 소유하지 않고, 위해주면서 기대지 않고, 길러주면서 간섭하지 않는 것 이것을 으뜸덕元德 이라 한다.


- 준이생각 : 오늘도 도와 덕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도는 세상 만물을 생기게 하는 것이고 덕은 그것을 기르는 것이고, 물질은 그것이 형태를 가지게 하고, 기세는 그것을 이루게 한다고 하여 만물이 모두 도를 존경하고 덕을 귀히 여긴다고 한다. 이리 본다면 도, 덕, 물, 세, 네가지는 서로 애초부터 다른 것이었을까 ? 아마도 덕,물,세 이 세가지 또한 모두 도에서 난 것이기에 결국은 하나일거라는 가정을 잊지 말아야 되지 않을까 싶다. 하지만 현실에 우리가 보고 느끼는 만물이란 것이 이 네가지를 통하여 비로소 이 세상에 실존하고 무언가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그리고 도의 존엄함이나 덕의 귀함 이 둘은 만물에게 이리 저리 명령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자연스럽게 – 절로 그러하게 한다고 한다. 저절로 그러하게 하여 도는 만물을 나게 하고, 덕은 기르고,長之育之, 亭之毒之, 養之覆之 그런데 여기서 장은 나이 들게 하고 육은 뭔가 성숙하게 하고, 정은 꼭 알맞게 하는 것- 쾌적하게 하는 것이고 독은 죽을 정도로 괴롭히는 것이고, 보듬어 기르면서(양), 엎어지게 하고 멸망시키는 것(복) 어찌 보면 세상에 나서 이런 저런 희노애락 부귀영화를 다 맛보고 살다가 다시 돌아 가는- 죽는 것까지 전체가 도와 덕이 ‘자연히’되게 한다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전에 배웠던 구절이 반복된다. 세상에 나게 하면서도 자기 것이라고 주장치 않고, 위해주면서도 기대지 않는, 길러 주면서 이러쿵 저러쿵 간섭하지 않는 것 이것이 바로 원덕이라고 말한다고 노자는 말한다. 아마도 덕의 가장 원형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