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爲學日益, 爲道日損, 損之又損, 以至於無爲, 無爲而無不爲, 

   위학일익  위도일손  손지우손  이지어무위  무위이무불위

損(손)덜, 줄다, 감소하다


取天下, 常以無事, 及其有事, 不足以取天下. 

취천하  상이무사  급기유사  부족이취천하


- 참고 : 배우면 날마다 더하고, 도를 (행)하면 날마다 덜어낸다. 덜고 또 덜어서, 하는 것 없음(무위)에 이른다. 하는 것 없지만 못하는 것도 없다. 언제나 (일부러) 하지 않음으로서 천하를 얻지, (일부러) 하는 수준이 되면, 천하를 얻기에 부족하다.



- 참고자료 : [출처 : http://www.zxuew.cn/daodejing/]


—————————注音版—————————


为(wéi)学(xué)日(rì)益(yì),为(wéi)道(dào)日(rì)损(sǔn)。

损(sǔn)之(zhī)又(yòu)损(sǔn),以(yǐ)至(zhì)于(yú)无(wú)为(wéi)。

无(wú)为(wéi)而(ér)无(wú)不(bù)为(wéi)。

取(qǔ)天(tiān)下(xià)常(cháng)以(yǐ)无(wú)事(shì),

及(jí)其(qí)有(yǒu)事(shì),不(bù)足(zú)以(yǐ)取(qǔ)天(tiān)下(xià)。


[译文]


“为学日益,为道日损。损之又损,以至于无为。”


每天学习能够一天一天的增长学识,而求道却要去情、欲,贪、憎、痴、颠倒梦想等等一点点损掉。乃至损到无为。매일 공부하면 하루하루 학식을 증장할 수 있으나 도를 구하는 것은 오히려 정,욕심,탐욕, 증오, 어리석음, 전도된 꿈 등등을 조심씩 덜어내어 없애야 하는 것이다. 심지어 줄고 줄어 무위에 이른다. 

够 [gòu] (夠) 충분할 구1.[동사] 필요한 수량·기준 등을 만족시키다.2.[동사][구어] (손 등을 뻗어) 닿다. 미치다. 가져오다.3.[부사] 제법. 비교적. 자못. 꽤(나). 썩. 퍽./能够 [nénggòu]1.[동사] …할 수 있다.2.[동사] …해도 된다.3.[동사] …에 쓰인다. …에 효과가 있다. ≒[可以(kěyǐ)]/憎 [zēng]1.[동사] 미워하다. 혐오하다. 증오하다. 싫어하다. ≒[恨(hèn)]↔[爱(ài)]/痴 [chī](癡) 어리석을 치1.[형용사] 어리석다. 멍청하다. 바보 같다. ≒[呆(dāi), 笨(bèn), 傻(shǎ)]↔[灵(líng)]2.[형용사] (사람 또는 사물에) 정신이 나가다〔빠지다〕3.[형용사][방언] 실성하다. 정신 이상이 되다. 미치다./却 [què] 1. 도리어, 오히려/去 [qù]1.[동사] (‘来(오다)’와 상대되는 말로) 가다.2.[동사] 떠나다.3.[동사] 제거하다. 없애다./颠倒 [diāndǎo]1.[동사] (상하·전후의 위치가 원래와 달리) 뒤바뀌다. 전도되다.2.[동사] 착란하다. 뒤섞여 어수선하다./贪 [tān]1.[동사] 탐오(貪汚)하다. 횡령하다. 부정부패하다.2.[동사] 재물을 좋아하다.3.[동사] 욕심을 부리다. 골몰하다. 탐내다./乃至 [nǎizhì] 1.[접속사] 더 나아가서. 심지어. 〓[乃至于(nǎizhìyú)]


“无为而无不为。”


“得道多助,失道寡助”因而“无为”而无所不为。“득도하면 많은 것이 돕고, 실도하면 도움이 적다”그러므로 “무위” 하면 하지 못하는 바 없다. 

寡 [guǎ]1.[형용사] 적다. 모자라다. 부족하다. 2.[형용사] 과부인. 남편이 없는. 3.[형용사] 싱겁다./因而 [yīn'ér]1.[접속사] 그러므로. 그런 까닭에. 따라서. ≒[故而(gù'ér), 故此(gùcǐ)]


“取天下常以无事,及其有事,不足以取天下。”


治理国家要常清静不扰攘,至于那些政治繁苛,就不配治理国家。국가를 통치함에 있어 언제나 소란스럽지 않은 청정함이 필요하다. 저러한 정치의 너무 복잡하고 엄함에 이르면,즉 국가를 통치할 자격이 없는 것이다. 

扰攘 [rǎorǎng]1.[형용사][문어] 소란스럽다./至于 [zhìyú]1.[동사] …의 정도에 이르다. …한 결과에 이르다. [주로 부정형이나 반문에 쓰임]2.[개사] …으로 말하면. …에 관해서는./繁 [fán] (緐) 많을 번1.[형용사] 복잡하다. 번잡하다.2.[동사] 번식하다. 증가하다. 불어나다. 늘어나다. 많아지다. ↔[简(jiǎn)]☞[繁(Pó)]3.[형용사] 많다. 다양하다. 번다하다./苛 [kē](가)가혹할 1.[형용사] 장황하다. 번잡하다. 자질구레하다. 까다롭다.2.[형용사] 가혹하다. 엄하다. 혹독하다. 각박하다./繁苛(법 따위가)너무 복잡(複雜)하고 엄함/配 [pèi]1.[동사] 분배하다. 배치하다.2.[동사] (…할) 자격〔능력〕이 있다. (…에) 어울리다. (…할) 만하다.3.[동사] 결혼하다. 혼인하다. 남녀가 결합하다.


 [长篇大论]


本章老子阐述了,为学,只能增长知识,添加私欲,因此就会虚伪百出,忧烦众生。而求道则损知去欲,内心清静虚怀若谷,外在的自然也就无为无事了。不是不学,而是要向自然学习。


一偈得道


佛祖释迦牟尼有个弟子叫般特,他生性迟钝,佛祖让五百位罗汉天天轮流教他学问,可是他仍然一点也不开窍。佛祖于是把他叫到前面,逐字逐句的教他一首诗偈:“守口摄意身莫犯,如是行者得度世。”


佛祖说:“你不要以为这首偈子很平常,你只要认认真真地学会这首偈子,就相当不容易了啊!”


于是,般特翻来覆去的就学这首偈子,有一天终于体悟出了其中的禅理。


有一次,佛祖派般特去给附近的僧尼讲经说法。那些僧尼早就对般特的愚笨有所耳闻,所以心里都很不服气,私下说:“这样愚钝的人也会讲经说法啊?”但是,他们表面上仍然很有礼貌的接待般特。


般特惭愧而谦虚的对僧尼们说:“我生来愚钝,在佛祖身边只学到一个偈子,现在讲给大家听听。”


接着,般特就念那首偈子:“守口摄意身莫犯,如是行者得度世。”


他刚念完,僧尼们就开始哄笑起来,私下说:“竟然只会一首启蒙偈子,我们早就倒背如流了啊,还用你来讲什么啊?”


但般特不动声色,仍然从容的往下讲。他说得头头是道,而且讲出了很多新意,从一首看似普通的偈子道出了无限深邃的禅理。


这时,僧尼们听得如痴如醉,连连赞叹起来:“一首启蒙偈子,居然能够理解到这么深的程度,实在是高人一等啊!”于是大家对他肃然起敬。



- 준이해석 : 학문을 하면 매일 늘고, 도를 구하면 매일 줄어든다. 줄고 또 줄어 무위에까지 이른다. 무위이면서 하지 못하는 것이 없다. 천하를 취하고자 한다면 언제나 무사하게 해야 한다. 만일 일이 생긴다면(유사), 천하를 취하는데 부족한 것이다.


- 준이생각 : 학문을 하면 매일 매일 지식이 쌓여서 그 지식은 늘어 가지만, 도를 찾는 사람은 자신에게 있는 사념(情、欲,贪、憎、痴、颠倒梦想等等)을 하나씩 하나씩 없애 가는 과정이기에 매일 매일 줄어 든다고 표현 하였다. 그리하여 궁극적으로는 무위의 상태를 향하고 이 무위의 상태가 오면 또한 무불위라고 하였다. 천하를 통치 한다는 것은 언제나 무사하도록 건사하는 것이고 만약 이런 저런 시끄러운 일이 생긴다면 천하를 통치하기에 부족한 것이다라고 하는데, 이것이 바로 노자의 통치 철학이 아닌가 싶다. 제대로 된 통치는 무위의 통치이며 무사의 통치이어야 하며, 누가 누구를 다스리는지 모르는 상태로서 사람들이 평온하게 살 수 있는 국가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자못 즐거운 나라라 생각된다. 매일 매일 시끄럽고 너저분한 언행으로 미디어를 떠들썩 하게 하면서도 부동의  35프로 지지층으로 권력을 행사하고 있는 이나라 정치는 대체 어찌할까 싶다. 그리고 이번 시간에 배운 爲道日損, 損之又損, 以至於無爲. 내 마음속에 혹처럼 주렁 주렁 매 달린 사념, 자연에 반하는 욕심들, 탐욕들,...내려 놓아야 한다. 하나 하나 내려 놓으면서 자유로와 지는 정신의 상태. 노자가 말하는 도에 근접하는 것이 아닐까 한다.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道德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道德經 - 50 [出生入死]  (0) 2016.02.17
道德經 - 49 [聖人無常心]  (0) 2016.02.17
道德經 - 47 [不出戶, 知天下]  (0) 2016.02.15
道德經 - 46 [天下有道]  (0) 2016.02.05
道德經 - 45 [大成若缺]  (0) 2016.02.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