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外篇 19 達生 10


188` 자연의 이치에 따라 천연에 합치되면 신기에 이른다 (외편:19.달생,10) 

- 장자(외편) ; 제19편 달생[10]- 

재경이라는 명공이 나무를 깎아서 북틀을 만들었다. 북틀이 만들어지자 그 것을 본 사람들이 귀신의 솜씨 같다고 모두 놀랐다. 노나라 제후가 그 것을 보고 재경에게 물었다. 

“그대는 무슨 도술로 이것을 만들었는가?” 

재경이 대답했다. 

“저는 목수인데 무슨 도술이 있겠습니까? 그렇지만 한가지 원리는 있습니다. 저는 북틀을 만들려 할 때에는 감히 기운을 소모하는 일이 없이 반드시 재계를 함으로써 마음을 고요히 만듭니다. 사흘동안 재계를 하면 감히 이익과 상이나 벼슬과 녹을 생각하지 않게 됩니다. 닷새동안 재계를 하면 감히 비난과 칭찬이나 교묘함과 졸렬함을 생각하지 않게 됩니다. 이레동안 재계를 하면 문득 제가 지닌 손발과 육체까지도 잊게 됩니다. 이렇게 되었을 때에는 나라의 조정도 안중에 없고, 오로지 안으로 기교를 다하기만 하며, 밖의 혼란 같은 것은 없어져 버립니다. 그렇게 된 뒤에야 산림으로 들어가 재목의 성질을 살피고, 모양도 완전한 것을 찾아냅니다. 그리고는 완전한 북틀을 마음속에 떠올린 뒤에야 손을 대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지 않을 적에는 그만둡니다. 곧 저의 천성과 나무의 천성을 합치시키는 것입니다. 제가 만든 기구가 신기에 가까운 이유는 여기에 있을 것입니다.” 


- 莊子(外篇) ; 第19篇 達生[10]- 

梓慶削木爲鐻, 鐻成, 見者驚猶鬼神. 魯侯見而問焉, 曰:「子何術以爲焉?」 

對曰:「臣工人, 何術之有! 雖然, 有一焉. 臣將爲鐻, 未嘗敢以耗氣也, 必齊以靜心. 齊三日, 而不敢懷慶賞爵祿. 齊五日, 不敢懷非譽巧拙. 齊七日, 輒然忘吾有四枝形體也. 當是時也, 无公朝, 其巧專而而滑消. 然後入山林, 觀天性. 形軀至矣, 然後成見鐻, 然後加手焉. 不然則已. 則以天合天, 器之所以疑神者, 其由是與!」 

(재경삭목위거, 거성, 견자경유귀신. 노후견이문언, 왈:[자하술이위언?]

대왈:[신공인, 하술지유! 수연, 유일언. 신장위거, 미상감이모기야, 필제이정심. 제삼일, 이불감회경상작록. 제오일, 불감회비예교졸. 제칠일, 첩연망오유사지형체야. 당시시야, 무공조, 기교전이이활삭. 연후입산림, 관천성. 형구지의, 연후성견거, 연후가수언. 불연즉이. 즉이천합천, 구지소이의신자, 시유시여!]


梓 가래나무 재,가래나무 자  1. 가래나무(가래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2. 목수(木手), 목공(木工) 3. 나무 그릇 4. 판목(板木) 5. 관(棺), 널 6. 고향(故鄕) a. 가래나무(가래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자) b. 목수(木手), 목공(木工)... [부수]木(나무목)

削 깎을 삭,채지 소,칼집 초  1. 깎다 2. 빼앗다 3. 모질다 4. 약해지다 5. 작다 6. 지근대다 7. 창칼 a. 채지(采地: 공신에게 내리던 채읍(采邑)) (소) b. 화락하다(和樂--: 화평하게 즐기다) (소) c. 칼집 (초) [부수]刂(선칼도방) 

鐻 악기 걸이 거  1. 악기(樂器) 걸이 2. 편경ㆍ편종을 다는 기구(器具) 3. 악기(樂器)의 이름 4. 나무로 만든 악기(樂器) 5. 톱 [부수]金(쇠금)

耗 소모할 모,소식 모  1. 소모하다(消耗--) 2. 쓰다, 소비하다 3. 없애다 4. 흉년(凶年) 들다 5. 덜다 6. 어지럽다 7. 비다, 공허하다(空虛--) 8. 척박하다(瘠薄--) 9. 해치다 10. 모곡(耗穀: 축이 날 것을 미리 셈하여 한 섬에... [부수]耒(가래뢰)

齊 가지런할 제,재계할 재,옷자락 자,자를 전  1. 가지런하다 2. 단정하다(端整--) 3. 질서(秩序) 정연하다(整然--: 가지런하고 질서가 있다) 4. 재빠르다, 민첩하다(敏捷--) 5. 오르다 6. 같다, 동등하다(同等--) 7. 좋다, 순탄하다 8. 다스리다 9.... [부수]齊(가지런할제)

齋 재계할 재,집 재,상복 자  1. 재계하다(齋戒--: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다) 2. 정진하다 3. 공경하다(恭敬--) 4. 시주하다 5. 집, 방 6. 식사 7. 명복(冥福)을 비는 불공 a. 상복(上服: 윗옷. 위에 입는 옷) (자) b. 윗옷(위에 입는... [부수]齊(가지런할제)

䶒좋을 제,재계할 재  1. 좋다 2. 아름답다 a. 재계하다(齋戒--: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다) (재) b. 공손하다(恭遜--) (재) c. 엄숙하다(嚴肅--) (재) d. 삼가다(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재)

[부수]齊(가지런할제) 

䶓 길쌈할 제 1. 길쌈하다(실을 내어 옷감을 짜다)

懷 품을 회  1. 품다 2. 임신하다(妊娠--) 3. 생각하다 4. 싸다, 둘러싸다 5. 따르다 6. 위로하다(慰勞--) 7. 달래다 8. 보내다, 보내어 위로하다(慰勞--) 9. 길들이다, 따르게 하다 10. 편안하다(便安--) 11. 이르다(어떤... [부수]忄(심방변)

譽 기릴 예,명예 예  1. 기리다 2. 즐기다(=豫) 3. 찬양하다(讚揚--) 4. 칭찬하다(稱讚--) 5. 바로잡다 6. 명예(名譽) 7. 영예(榮譽) 8. 좋은 평판 9. 칭찬(稱讚) 10. 찬양(讚揚) [부수]言(말씀언)

巧 공교할 교  1. 공교하다(工巧--: 솜씨나 꾀 따위가 재치가 있고 교묘하다) 2. 솜씨가 있다 3. 예쁘다 4. 아름답다 5. 약삭빠르다 6. 재주 7. 책략(策略) 8. 작은 꾀 9. 공교히(工巧-) 10. 교묘(巧妙)하게 [부수]工(장인공)

拙 옹졸할 졸  1. 옹졸하다(壅拙--), 졸하다(拙--) 2. 둔하다(鈍--), 어리석다 3. 질박하다(質樸ㆍ質朴--: 꾸민 데가 없이 수수하다) 4. 서툴다 5. 불우하다(不遇--), 곤궁하다(困窮--) 6. 저(겸사(謙辭)) [부수]扌(재방변)

輒 문득 첩  1. 문득 2. 쉽게 3. 번번이 4. 오로지 5. 늘 6. 언제나 7. 항상(恒常) 8. 수레 양쪽에 두르는 휘장(揮帳) 9. 직립하다 [부수]車(수레거)

滑 미끄러울 활,익살스러울 골  1. 미끄럽다 2. 미끄럽게 하다 3. 반드럽다 4. 부드럽게 하다 5. 교활하다(狡猾--) a. 익살스럽다 (골) b. 어지럽다 (골) c. 다스리다 (골) d. 물이 흐르다 (골) e. 흐리(게하)다 (골) [부수]氵(삼수변) 

消 사라질 소  1. 사라지다 2. 삭이다 3. 없애다, 소멸시키다(消滅---) 4. 녹이다 5. (쇠하여)줄어들다 6. 소모하다(消耗--), (시간을)보내다 7. 거닐다, 배회하다(徘徊--) 8. 물러서다 9. (남몰래)행하다(行--) 10.... [부수]氵(삼수변)

軀 몸 구  1. 몸, 신체(身體) 2. 좌(座: 불상을 세는 말) 3. 허우대 4. (말을 몰아 앞으로)나아가다

[부수]身(몸신)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 外篇 19 達生 12  (0) 2016.08.31
莊子 - 外篇 19 達生 11  (0) 2016.08.31
莊子 - 外篇 19 達生 9  (0) 2016.08.29
莊子 - 外篇 19 達生 8  (0) 2016.08.29
莊子 - 外篇 19 達生 7  (0) 2016.08.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