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1
288` 외물에 끌려 자기 삶을 어지럽히지 마라 (잡편:28.양왕,1)
- 장자(잡편) ; 제28편 양왕[1]-
요가 천하를 허유에게 물려주려 하였으나 허유가 받지 않았다. 다시 자주지부에게 물려 주려하니 자주지부가 말했다.
“저를 천자로 삼아주시겠다니 좋기는 합니다만, 저는 마침 심한 우울증에 걸려 있어 치료하고 있는 중입니다. 천하를 다스릴 만한 겨를이 없습니다.”
천하가 지극히 귀중한 것이기는 하나 그렇다고 그것 때문에 자기의 삶을 손상시킬 수는 없는 것이다. 하물며 다른 사물이야 말할 것이 있겠는가? 오직 천하를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하는 사람에게만 천하를 맡길 수 있는 것이다.
순이 천하를 자주지백에게 맡기려하니 자주지백이 말했다.
“제가 마침 심한 우울증에 걸려 있어서 병을 고치고 있는 중입니다. 천하를 다스릴 만한 겨를이 없습니다.”
본래 천하란 큰그릇이기는 하지만 그것으로 자기의 목숨과 바꾸지는 앉겠다는 것이다. 이것이 도를 터득한 사람과 세속적인 사람과의 차이이다.
순이 천하를 선권에게 물려주려 하니 선권이 말했다.
“저는 이 우주 안에 서서, 겨울에는 털옷을 입고, 여름에는 칡·베옷을 입으며, 봄이면 땅을 갈아 씨를 뿌리고, 몸은 일하기에 족할 만큼 튼튼하며, 가을에는 곡식을 거둬들여 몸을 편히 쉬게 할 수 있습니다. 해가 뜨면 나가 일하고 해가 지면 집에 돌아와 쉬면서, 천지사이를 유유히 소요하며 마음은 한가롭게 자득하고 있습니다. 어찌 천하 따위를 일삼겠습니까? 슬프게도 당신은 나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마침내 그는 천하를 받지 않고 나라를 떠나 깊은 산 속으로 들어갔는데, 그가 있는 곳을 알 수가 없었다.
순이 천하를 그의 벗인 석호의 농부에게 물려주려 하니 석호의 농부가 말했다.
“부지런도 하시군. 당신도 꽤나 억척스런 사람이야.”
그는 순의 덕이 지극하지 못하다고 여겼던 것이다. 그리하여 부부가 손을 잡고 자식들을 이끌고 바다 속의 섬으로 들어가 평생 돌아오지 않았다.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1]-
堯以天下讓許由, 許由不受. 又讓於子州支父, 子州支父曰:「以我爲天子, 猶之可也. 雖然, 我適有幽憂之病, 方且治之, 未暇治天下也.」 夫天下至重也, 而不以害其生, 又况他物乎! 唯无以天下爲者, 可以托天下也.
舜讓天下於子州支伯. 子州支伯曰:「予適有幽憂之病, 方且治之, 未暇治天下也.」 故天下大器也, 而不以易生, 此有道者之所以異乎俗者也.
舜以天下讓善卷, 善卷曰:「余立於宇宙之中, 冬日衣皮毛, 夏日衣葛絺. 春耕種, 形足以勞動. 秋收斂, 身足以休食. 日出而作, 日入而息, 逍遙於天地之間而心意自得. 吾何以天下爲哉! 悲夫, 子之不知余也!」 遂不受. 於是去而入深山, 莫知其處.
舜以天下讓其友石戶之農, 石戶之農曰:「捲捲乎后之爲人, 葆力之士也!」 以舜之德爲未至也, 於是夫負妻戴, 攜子以入於海, 終身不反也.
(요이천하양허유, 허유불수. 우양어자주지부, 자주지부왈:[이아위천자, 유지가야. 수연, 아적유우지병, 방차치지, 미가치천하야.] 부천하지중야, 이불이해기생, 우황타물호! 유무이천하위자, 가이탁천하야.
순양천하어자주지백. 자주지백왈:[여적유유우지병, 방차치지, 미가치천하야.] 고천하대기야, 이불이역생, 차유도자지소이이호속자야.
순이천하양선권, 선권왈:[여립어우주지중, 동일의피모, 하일의갈치. 춘경종, 형족이노동. 추수렴, 신족이휴식. 일출이작, 일입이식, 소요어천지지간이심의자득. 오하이천하위재! 비부, 자지부지여야!] 수불수. 어시거이입심산, 막지기처.
순이천하양기우석호지농, 석호지농왈:[권권호후지위인, 보력지사야!] 이순지덕위미지야, 어시부부처재, 휴자이입어해, 종신불반야.)
讓 사양할 양 1. 사양하다(辭讓--) 2. 양보하다(讓步--) 3. 겸손하다(謙遜ㆍ謙巽--) 4. 넘겨주다 5. 꾸짖다 [부수]言(말씀언)
幽 그윽할 유,검을 유 1. 그윽하다 2. 멀다, 아득하다 3. 깊다 4. 조용하다, 고요하다 5. 어둡다, 밝지 아니하다 6. 가두다, 갇히다 7. 피하여 숨다 8. 검다 9. 귀신(鬼神), 초현실적(超現實的)인 것 10. 저승 11. 어두운 곳... [부수]幺(작을요)
托 tuō (tuō) 맡길 탁 1. 맡기다, 의탁하다(依託ㆍ依托--) 2. 부탁하다(付託--), 위임하다(委任--) 3. 밀다, 손으로 밀어서 열다 4. 의지하다(依支--) 5. 받치다 6. 받침, 대 [부수]扌(재방변)
余 나 여,남을 여 1. 나 2. 나머지(=餘) 3. 나머지 시간(時間) 4. 여가(餘暇) 5. 여분 6. 정식 이외의 7. 다른 8. 남다 9. 남기다 [부수]人(사람인)
葛 gé, gě (gé) 칡 갈 1. 칡(콩과의 낙엽 활엽 덩굴성 식물) 2. 갈포(葛布: 칡 섬유로 짠 베) 3. 나라의 이름 4. 성(姓)의 하나 5. (가리어)덮다 [부수]艹(초두머리)
絺 칡베 치 1. 칡베(칡의 섬유로 짠 고운 베) 2. 성(姓)의 하나 3. 바느질하다 4. 수놓다(繡--) [부수]糸(실사)
耕 밭 갈 경 1. 밭을 갈다 2. (농사에)힘쓰다, 농사짓다(農事--) 3. 노력하다(努力--) 4. 생계(生計)를 꾸리다 5. 경적(耕籍: 임금이 신하를 거느리고 적전(籍田)을 갈던 일) 6. 농사(農事) [부수]耒(가래뢰)
斂 거둘 렴,거둘 염 1. 거두다 2. 넣다, 저장하다(貯藏--) 3. 모으다 4. 감추다, 숨기다 5. 염하다(殮--) 6. 장사지내다(葬事---) 7. 단속하다(團束--) 8. 오므리다 9. 험하다(險--) 10. 거의, 대략(大略) 11. 줄잡아 12.... [부수]攵(등글월문)
遂 드디어 수,따를 수 1. 드디어, 마침내 2. 두루, 널리 3. 도랑(매우 좁고 작은 개울), 수로(水路) 4. 이루다 5. 생장하다(生長--) 6. 끝나다 7. 가다, 떠나가다 8. 나아가다 9. 답습하다(踏襲--) 10. 오래되다 11. 멀다, 아득하다...[부수]辶(책받침)
捲 거둘 권,말 권 1. 거두다 2. 말다 3. 돌돌 감아 말다 4. 힘쓰다 5. 분발하다(奮發--: 마음과 힘을 다하여 떨쳐 일어나다) 6. 힘써 일하다 7. 용기(勇氣)를 내다 8. 주먹 9. 기세(氣勢: 기운차게 뻗치는 형세) 10. 힘쓰는... [부수]扌(재방변)
捲土重來 흙먼지를 날리며 다시 온다는 뜻으로, ①한 번 실패(失敗)에 굴하지 않고 몇 번이고 다시 일어남 ②패한 자가 세력(勢力)을 되찾아 다시 쳐들어옴 ③한번 실패(失敗)하고 나서 다시 그 일에 도전(挑戰)함
葆 더부룩할 보 1. (풀이)더부룩하다 2. 보전하다(保全--) 3. 칭찬하다(稱讚--) 4. 뿌리 5. 움돋이 6. 깃으로 된 장식(裝飾) 7. 채소(菜蔬) 8. 포대기 9. 보배 10. 성채(城砦: 성과 요새를 아울러 이르는 말) [부수]艹(초두머리)
負 질 부 1. 지다, 짐지다 2. 떠맡다 3. 빚지다 4. 업다 5. 힘입다 6. (부상을)입다 7. 저버리다 8. 패하다(敗--) 9.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10. 짐 11. 지는 일 12. 빚 [부수]貝(조개패)
攜 이끌 휴 1. 이끌다 2. 끌다 3. 가지다 4. 들다, 휴대하다(携帶--) 5. 잇다, 연하다(連--: 잇닿아 있다) 6. 떨어지다 7. 흩어지다 [부수]扌(재방변)
攜手 손을 마주 잡는다는 뜻으로, 함께 감을 이르는 말. 데리고 감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3 (0) | 2017.01.10 |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2 (0) | 2017.01.09 |
莊子(雜篇) ; 第27篇 遇言 6 (0) | 2017.01.04 |
莊子(雜篇) ; 第27篇 遇言 5 (0) | 2017.01.03 |
莊子(雜篇) ; 第27篇 遇言 4 (0) | 2017.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