六祖口訣後序 3/3
是故大般若經六百卷,皆如來為菩薩果人說佛性,然而其間猶有為頓漸者說,惟金剛經為發大乘者說,為發最上乘者說。是故其經先說四生四相,次云凡所有相,皆是虛妄,若見諸相非相,即見如來。蓋顯一切法,至無所住,是為真諦。故如來於此經,凡說涉有即破之,以非直取實相,以示眾生,蓋恐眾生不解所說,其心反有所住故也,如所謂佛法即非佛法之類是也。是故六祖大師,於五祖傳衣付法之際,聞說此經云:應無所住而生其心。言下大悟,是為第六祖。如來云一切諸佛,及諸佛阿耨多羅三藐三菩提法,皆從此經出,其信乎哉!適少觀壇經,聞六祖由此經見性,疑必有所演說,未之見也。及知曹州濟陰,於邢君固處得六祖口訣一本,觀其言簡辭直,明白利斷,使人易曉而不惑,喜不自勝。又念京東河北陝西人,資性質樸信厚,遇事決裂,若使學佛性,必能勇猛精進,超越過人。然其為講師者,多傳百法論,上生經而已,其學者不知萬法隨緣生,緣盡法亦應滅,反以法為法,固守執著,遂為法所縛,死不知解,猶如陷沙之人,力與沙爭,愈用力而愈陷,不知勿與沙爭,即能出陷,良可惜也。適遂欲以六祖金剛經口訣,鏤板流傳,以開發此數方學者佛性,然以文多脫誤,因廣求別本刊校,十年間凡得八本,惟杭越建陝四本文多同,因得刊正謬句。董君遒力勸成之,且從諸朝士以資募工,大夫聞者,皆樂見助,四明樓君常願終承其事,嗚呼!如來云:無法可說是名說法。夫可見於言語文字者豈佛法之真諦耶?然非言語文字,則真諦不可得而傳也。學者因六祖口訣以求金剛經,因金剛經以求見自佛性,見自佛性,然後知佛法不止於口訣而已,如此則六祖之於佛法,其功可思議乎哉!或者以六祖不識字,疑口訣非六祖所作,譬夫大藏經,豈是世尊自作耶,亦聽法者之所傳也。或六祖言之,而弟子傳之,吾不得而知也,苟因口訣可以見經,何疑其不識字也。
元豐七年六月十日天臺羅適謹序
(시고대반야경육백권, 개여래위보살과인설불성, 연이기문유유위돈점자설, 유금강경위발대승자설, 위발최상승자설. 시고기경선설사생사생, 차운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개현일체법, 지무소주, 시위진체. 고여래어차경, 범설섭유즉파지, 이비직취실상, 이시중생, 개공중생불해소설, 기심반유소주고야, 여소위불법즉비불법지류시야. 시고육조대사, 어오조박의부법지제, 문설차경운:응무소주이생기심. 언하대오, 시위제육조. 여래운일체제불, 급제불하뇩다라삼막삼보리법, 개종차경출, 기신호재! 적소관단경, 문육조유차경견성, 의필유소연설, 미지견야. 급지조주제음, 어형균고처득육조구결일본, 관기언간사직, 명백리단, 사인역효이불혹, 희불자승. 우념경동하북섬서인, 자성질박신후, 우사결렬, 약사학불성, 필능용맹정진, 초월과인. 연기위구사자, 다박백법륜, 상생경이이, 기학자부지만법수연생, 연진법역응멸, 반이법위법, 고수집착, 수위법소박, 사부지해, 유여함사지인, 력여사쟁, 유용력이유함, 부지물여사쟁, 즉능출함, 양가석야. 적수욕이육조금강경구결, 루판류전, 이개발차수방학자불성, 연이문다탈오, 인광구별본간교, 십년문범득팔본, 유항월건섬사본문다동, 인득간정류구. 동군주력권성지, 차종제조사이자모공, 대부문자, 개락견조, 사명루군상원종승기사, 조호! 여래운:무법가설시명설법. 부가견어언어문학자이불법지진제야? 연비언어문자, 즉진제불가득이전야. 학자인육조구결이구금강경, 인금강경이구자견불성, 견자불성, 연후지불법부지어구결이이, 여차즉육조지어불법, 기공가사의호재! 혹자이육조불식자, 의구결비육조소작, 비부대장경, 이시세존자작야, 역청법자지소전야. 혹육조언지, 이제자전지, 오부득이지야, 구인구결가이견경, 하의기불식자야. 원풍칠년육월십일천대라적근서)
頓 조아릴 돈,둔할 둔,흉노 왕 이름 돌 1. 조아리다 2. 넘어지다 3. 꺾이다 4. 머무르다 5. 패하다(敗--) 6. 무너지다 7. 가지런히 하다 8. 숙사 9. 끼니 10. 갑자기 a. 둔하다(鈍--) (둔) b. 흉노왕의 이름 (돌) [부수]頁(머리혈)
漸 점점 점,적실 점 1. 점점 2. 차츰 3. 번지다 4. 천천히 나아가다 5. 스미다 6. 흐르다 7. 자라다 8. 적시다 9. 젖다(물이 배어 축축하게 되다) 10. 험하다(險--) 11. 차례(次例) [부수]氵(삼수변)
顯 나타날 현 1. 나타나다 2. 드러나다 3. 뚜렷하다 4. 명확하다(明確--) 5. 분명하다(分明--) 6. 명백하다(明白--) 7. 높다 8. 귀하다(貴--) 9. 명성(名聲)이 있다 10. 지위(地位)가 높다 11. 밝다 12. 돌아가신 부모(父母) [부수]頁(머리혈)
諦 살필 체,울 제 1. 살피다 2. 자세(仔細ㆍ子細)히 알다 3. 진실(眞實) 4. 이치(理致) a. 울다 (제) b. 부르짖다 (제) [부수]言(말씀언)
際 즈음 제,가 제 1. 즈음 2. 가, 끝 3. 변두리 4. 사이 5. 때 6. 닿다 7. 만나다 8. 사귀다 [부수]阝(좌부변)
壇 단 단,평탄할 탄,소제할 선 1. 단, 제단(祭壇) 2. 마루 3. 터, 기초(基礎) 4. 강단(講壇) 5. 사회 6. 장소(場所) 7. 특수 사회의 구성원 8. 뜰(집 안의 앞뒤나 좌우로 가까이 딸려 있는 빈터), 안뜰 a. 평탄하다(平坦--) (탄) b.... [부수]土(흙토)
濟 건널 제 1. 건너다 2. 돕다 3. 도움이 되다 4. 구제하다(救濟--) 5. 이루다 6. 성공하다(成功--) 7. 성취하다(成就--) 8. 더하다 9. 소용(所用) 있다 10. 쓸모가 있다 11. 유익하다(有益--) 12. 많다 13. 그치다... [부수]氵(삼수변)
陝 땅 이름 섬 1. 땅의 이름 2. 고을의 이름, 섬서성(陝西省) 3. 일정(一定)하지 아니하다(=閃)
[부수]阝(좌부변)
樸 순박할 박,나무 빽빽할 복 1. 순박하다(淳朴ㆍ淳樸ㆍ醇朴--) 2. 질박하다(質樸ㆍ質朴--: 꾸민 데가 없이 수수하다) 3. 다듬다 4. 통나무 5. 바탕 a. 나무가 빽빽하다 (복) b. 달라붙다 (복) c. 더부룩하게 나다 (복) d. 떡갈나무... [부수]木(나무목)
裂 찢을 렬,찢을 열 1. 찢다, 찢어지다 2. 쪼개다, 분할하다(分割--) 3. 터지다 4. 해지다, 무너지다 5. 마르다(옷감이나 재목 따위의 재료를 치수에 맞게 자르다), 재단하다(裁斷--) 6. 거열(車裂: 수레에 사지를 묶어 찢던... [부수]衣(옷의)
講 외울 강,얽을 구 1. 외우다, 외다, 암송하다(暗誦--) 2. 배우다 3. 익히다, 연구하다(硏究--) 4. 설명하다(說明--) 5. 풀이하다 6. 이야기하다 7. 계획하다(計劃ㆍ計畫--) 8. 꾀하다, 모의하다(謀議--) 9. 화해하다(和解--)... [부수]言(말씀언)
著 나타날 저,붙을 착 1. 나타나다, 나타내다 2. 분명하다(分明--) 3. 드러나다, 분명해지다(分明---) 4. 두드러지다 5. 그리다 6. 짓다, 저술하다(著述--) 7. 쌓다 8. 두다, 비축하다(備蓄--) 9. 세우다, 확립하다(確立--)...[부수]艹(초두머리)
遂 드디어 수,따를 수 1. 드디어, 마침내 2. 두루, 널리 3. 도랑(매우 좁고 작은 개울), 수로(水路) 4. 이루다 5. 생장하다(生長--) 6. 끝나다 7. 가다, 떠나가다 8. 나아가다 9. 답습하다(踏襲--) 10. 오래되다 11. 멀다, 아득하다... [부수]辶(책받침)
縛 얽을 박 1. 얽다 2. 동이다(끈이나 실 따위로 감거나 둘러 묶다) 3. 묶다, 포박하다(捕縛--) 4. 매이다 5. 구속되다(拘束--) 6. 포승(捕繩) 7. 복토(伏兔: 차여(車輿)와 차축을 연결 고정하는 나무) [부수]糸(실사)
陷 빠질 함 1. 빠지다 2. 빠뜨리다 3. 움푹 파이다 4. 날조하다(捏造--) 5. 모함하다(謀陷--) 6. 점령당하다(占領當--) 7. 함락당하다 8. 함정(陷穽ㆍ檻穽) 9. 결함(缺陷) 10. 결점(缺點) [부수]阝(좌부변)
鏤 새길 루,새길 누 1. 새기다 2. 박아 꾸미다 3. (길을 뚫어)소통시키다(疏通---) 4. 강철(鋼鐵) 5. 쇠붙이 장식(裝飾) 6. 촉루(鐲鏤: 중국에서 유명하였던 칼의 하나) [부수]金(쇠금)
刊 새길 간 1. 새기다 2. 깎다 3. (책을)펴내다 4. 발행하다(發行--) 5. 쪼개다 6. 덜다 [부수]刂(선칼도방)
凡 무릇 범 1. 무릇, 대체로 보아 2. 모두, 다, 전부(全部) 3. 보통(普通), 보통(普通)의, 예사로운(例事--) 4. 대강(大綱), 개요(槪要) 5. 상도(常度), 관습(慣習), 관례(慣例) 6. 평범하다(平凡--) 7. 범상하다(凡常--) [부수]几(안석궤)
杭 건널 항 1. (물을)건너다 2. 막다 3. 고을의 이름 4. 배, 나룻배 [부수]木(나무목)
謬 그르칠 류,그르칠 유 1. 그르치다 2. 잘못하다 3. 속이다 4. 착오(錯誤)를 저지르다 5. 틀리다 6. 사리에 맞지 않다 7. 어긋나다 8. 잘못 9. 착오(錯誤) 10. 미친 소리 [부수]言(말씀언)
董 감독할 동,짧을 종,바로잡을 독 1. 감독하다(監督--), 동독하다(董督--: 감시하며 독촉하고 격려하다) 2. 거두다, 깊이 간직하다 3. 굳다, 견고하다(堅固--) 4. 묻다, 감추다 5. 움직이다 6. 연뿌리(蓮--), 연근(蓮根) a. (머리카락이)짧다... [부수]艹(초두머리)
遒 닥칠 주 1. 닥치다 2. 다하다 3. 굳다 4. 모이다 5. 끝나다 6. 세다 [부수]辶(책받침)
募 모을 모,뽑을 모 1. 모으다 2. 뽑다 3. 부르다 4. 불러 모음 5. 뽑음 6. 부름 [부수]力(힘력)
耶 어조사 야,간사할 사 1. 어조사(語助辭) 2. 그런가 3. 아버지(=爺) 4. 예수, 야소교(耶蘇敎) a. 간사하다(奸邪--: 마음이 바르지 않다)(=邪) (사) b. 사특하다(邪慝--: 요사스럽고 간특하다) (사) [부수]耳(귀이)
議 의논할 의 1. 의논하다(議論▼--) 2. 토의하다(討議--) 3. 책잡다(責--: 남의 잘못을 들어 나무라다) 4. 가리다, 분간하다(分揀--) 5. 의견(意見) 6. 주장(主張) 7. 의논(議論▼) 8. 문체(文體)의 이름 [부수]言(말씀언)
譬 비유할 비 1. 비유하다(比喩ㆍ譬喩--), 설명하다(說明--) 2. 깨우치다, 인도하다(引導--) 3. 깨닫다 4. 비유(比喩ㆍ譬喩) 5. 비유컨대 [부수]言(말씀언)
苟 진실로 구,구차할 구 1. 진실로(眞實-), 참으로 2. 다만, 단지(但只) 3. 겨우, 간신히 4. 만약(萬若) 5. 구차하게(苟且--) 6. 바라건대 7. 잠시(暫時) 8. 구차하다(苟且--), 구차(苟且)하게 굴다 9. 미봉하다(彌縫--: 일의... [부수]艹(초두머리)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고자료 (0) | 2017.06.21 |
---|---|
六波羅密 (0) | 2017.06.21 |
六祖口訣後序 2/3 (0) | 2017.06.21 |
六祖口訣後序 1/3 (0) | 2017.06.20 |
32 應化非眞分 (0) | 2017.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