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內篇 5 德充符 05~06
64` 중요한 것은 속에 지니고 있는 재질과 덕이다 (내편:5.덕충부,5)
- 장자(내편) ; 제5편 덕충부[5]-
노나라 애공이 공자에게 물었다.
“위나라에 추하게 생긴 사람이 있는데 이름이 애태타라 합니다. 남자들이 그와 함께 생활하게 되면 그를 흠모하여 떠나지를 못하였고, 여자들이 그를 보게 되면 부모들에게 다른 사람의 처가 되느니 차라리 그의 첩이 되겠다고 간청하는 사람들이 수십 명이 넘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가 어떠한 주장을 내세운다는 말은 들어본 적이 없고, 언제나 사람들과 화합할 따름이었습니다. 그에게는 사람의 죽음을 구제해 줄만한 지위도 없었고, 사람들을 배부르게 해줄 만큼 모아놓은 재산도 없었습니다. 거기에다 추한 외모는 세상을 놀라게 할 정도였습니다.
화합하기는 하지만 주장을 내세우지는 않고, 명성이 사방으로 알려지지도 않았습니다. 그런데도 남녀들이 그에게 몰려들었습니다. 이것은 반드시 보통 사람들과는 다른 점이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내가 그를 불러서 보니 과연 추함은 세상을 놀라게 할 만했습니다. 내가 그와 지낸 지 한 달도 되지 않아서 나는 그의 사람됨에 마음이 끌렸고, 일년이 되지 않아, 나는 그를 믿게 되었습니다. 나라에 재상이 없는 터라 나는 그에게 재상자리를 맡기려 했습니다. 그는 걱정하는 듯하더니 아무 일도 아닌 듯 사양을 했습니다. 나는 마침내 그에게 나라를 맡기려던 일을 부끄럽게 여기고 말았습니다. 얼마 안 있어 그는 나를 떠나가 버렸습니다. 나는 멍하니 무엇을 잃어버린 듯했습니다. 이 나라에 함께 즐길 이가 없어진 것 같았습니다. 그는 어떤 사람입니까?”
공자가 말했다. “제가 일찍이 초나라에 사신으로 간 일이 있었습니다. 마침 그 때 새끼 돼지들이 죽은 어미의 젖을 빨고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조금 있으니 새끼돼지들이 놀라 어미를 버리고 달아났습니다. 그것은 자기들을 돌보아 주지 않았기 때문이며, 자기들과는 달랐기 때문입니다. 새끼 돼지들이 그 어미를 사랑한 것은 그 형체를 사랑한 것이 아니라, 그 형체를 부리는 재덕(才德)을 사랑했던 것입니다.
싸우다가 죽은 사람을 장사지낼 때 칼을 함께 묻어주지 않습니다. 다리를 잘린 사람은 신발에 대하여 애착이 없습니다. 그것은 모두 그러할 근본이 없기 때문입니다. 천자의 하녀가 되려면 앞머리를 자르지 않고 귀에 구멍을 뚫지 않아야 하며, 하인 중에서도 장가를 든 자들은 밖에 머물게 하며 다시 부리지 않습니다. 형체가 완전하다는 것조차도 부리는 조건에 들어가는데 하물며 덕이 완전한 사람이야 어떻겠습니까?
애태타는 말은 하지 않아도 남에게 믿음을 주고, 아무 노력 없이도 남과 친해집니다. 사람들이 자기 나라를 내어주면서도 그가 받지 않을까 두려워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그는 반드시 재질은 완전하면서도 덕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는 사람일 것입니다.”
- 莊子(內篇) ; 第5篇 德充符[5]-
魯哀公問於仲尼曰:「衛有惡人焉, 曰哀駘它. 丈夫與之處者, 思而不能去也. 婦人見之, 請於父母曰 ‘與爲人妻, 寧爲夫子妾’者, 十數而未止也. 未嘗有聞其唱者也, 常和人而矣. 无君人之位以濟乎人之死, 无聚祿以望人之腹. 又以惡駭天下, 和而不唱, 知不出乎四域, 且而雌雄合乎前. 是必有異乎人者也. 寡人召而觀之, 果以惡駭天下. 與寡人處, 不至以月數, 而寡人有意乎其爲人也. 不至乎期年, 而寡人信之. 國無宰, 寡人傳國焉, 悶然而後應, 氾然而若辭. 寡人醜乎, 卒授之國. 無幾何也, 去寡人而行, 寡人卹焉若有亡也, 若無與樂是國也. 是何人者也?」
仲尼曰:「丘也嘗使於楚矣, 適見㹠子食於其死母者, 少焉眴若皆棄之而走. 不見己焉爾, 不得類焉爾. 所愛其母者, 非愛其形也, 愛使其形者也. 戰而死者, 其人之葬也不以翣資. 刖者之屨, 無爲愛之. 皆無其本矣. 爲天子之諸御, 不爪翦, 不穿耳. 取妻者止於外, 不得復使. 形全猶足以爲爾, 而況全德之人乎! 今哀駘它未言而信, 無功而親, 使人授己國, 唯恐其不受也, 是必才全而德不形者也.」
(노애공문어중니왈:위유악인언, 왈애태타. 장부여지처자, 사이불능거야. 부인견지, 청어부모왈 ‘여위인처, 녕위부자첩자, 십수이미지야. 미상유문기창자야, 상화인이의. 무군인지위이제호인지사, 무취록이망인지복. 우이악해천하, 화이불창, 지불출호사역, 차이자웅합호전. 시필유이호인자야. 과인소이관지, 과이악해천하. 여과인처, 부지이월수, 이과인유의호기위인야. 부지호기년, 이과인신지. 국무재, 과인전국언, 민연이후응, 범연이약사. 과인추호, 졸수지국. 무기하야, 거과인이행, 과인휼언약유망야, 약무여락시국야. 시하인자야?
중니왈:구야상사어금의, 적견돈자식어기사모자, 소언순약개기지이주. 불견기언이, 부득류언이. 소애기모자, 비애기형야, 애사기형자야. 전이사자, 기인지장야불이삽자. 월자지구, 무위애지. 개무기본의. 위천자지제어, 불조전, 불천이. 취처자지어외, 부득복사. 형전유족이위이, 이황전덕지인호! 금애태타미언이신, 무공이친, 사인수기국, 유공기불수야, 시필재전이덕불형자야.)
惡 악할 악,미워할 오 1. 악하다(惡--) 2. 나쁘다 3. 더럽다 4. 추하다(醜--) 5. 못생기다 6. 흉년(凶年) 들다 7. 병들다(病--), 앓다 8. 죄인(罪人)을 형벌(刑罰)로써 죽이다 9. 더러움, 추악(醜惡)함 10. 똥, 대변(大便) 11....
婦 며느리 부 1. 며느리 2. 지어미 3. 아내 4. 여자(女子) 5. 암컷 6. 예쁘다 7. 정숙하다(貞淑--)
唱 부를 창 1. (노래)부르다 2. 먼저 부르다 3. 말을 꺼내다, 앞장서서 주장하다(主張--) 4. 인도하다(引導--) 5. 노래, 가곡(歌曲
濟 건널 제 1. 건너다 2. 돕다 3. 도움이 되다 4. 구제하다(救濟--) 5. 이루다 6. 성공하다(成功--) 7. 성취하다(成就--) 8. 더하다 9. 소용(所用) 있다 10. 쓸모가 있다 11. 유익하다(有益--) 12. 많다 13. 그치다...
聚 모을 취 1. 모으다, 모이다 2. 거두어들이다 3. 갖추어지다 4. 저축하다(貯蓄--), 쌓다 5. 함께 하다 6. 무리(모여서 뭉친 한 동아리) 7. 마을, 동네 8. 저축(貯蓄) 9. 줌(한 주먹으로 쥘 만한 분량) 10. 함께,...
祿 녹 록,녹 녹 1. 녹(관리의 봉급) 2. 복(福), 행복(幸福) 3. 제육(祭肉: 제사에 쓰는 고기) 4. 녹을 주다 5. 봉급(俸給)을 주다 6. 복을 내리다
望 바랄 망,보름 망 1. 바라다, 기다리다 2. 기대하다(期待ㆍ企待--), 희망하다(希望--) 3. 그리워하다 4. 바라보다 5. 망보다(望--), 엿보다 6. 원망하다(怨望--), 책망하다(責望--) 7. 보름, 음력(陰曆) 매월 15일 8. 전망(展望),...
駭 놀랄 해 1. 놀라다 2. 소란스럽다(騷亂---) 3. 혼란스럽다(混亂---) 4. 경계하다(警戒--) 5. 흩어지다 6. 어지러워지다 7. 일어서다
宰 재상 재 1. 재상(宰相) 2. 가신(家臣) 3. 우두머리 4. 벼슬아치, 관원(官員) 5. 주재자(主宰者) 6. 요리사(料理師) 7. 무덤, 분묘(墳墓) 8. 주관하다(主管--), 다스리다 9. 도살하다(屠殺--) 10. (고기를)저미다(여러...
悶 답답할 민 1. 답답하다 2. 깨닫지 못하다 3. (사리에)어둡다 4. 번민하다(煩悶--) 5. 혼미하다(昏迷--) 6. 민망하다(憫惘--) 7. 뒤섞이다 8. 번민(煩悶) 9. 혼미(昏迷)한 모양
醜 추할 추 1. (용모(容貌)가)추하다(醜--) 2. 못생기다 3. 밉다 4. 못되다 5. 나쁘다 6. 미워하다 7. 부끄러워하다 8. 견주다(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서로 대어 보다) 9. 유사하다 10. 이름(人名, 地名)...
授 줄 수 1. 주다 2. 수여하다(授與--) 3. 전수하다(傳受--) 4. 제수하다(除授--: 천거에 의하지 않고 임금이 직접 벼슬을 내리다) 5. 받다(=受) 6. 가르치다
卹 진휼할 휼,먼지 떨 솔 1. 진휼하다(賑恤--) 2. 구제하다(救濟--) 3. 돌보다 4. 가엾게 여기다 5. 깔끔하다, 들어맞다 6. 놀라고 두려워하는 모양 a. 먼지를 떨다 (솔) b. 긁고 문지르다 (솔)
㹠 돼지 새끼 돈 1. 돼지 새끼 2. 돼지
眴 깜작할 순,어지러울 현 1. (눈을)깜작하다 2. 눈짓하다 3. 보다 4. 놀라는 모양 a. 어지럽다 (현) b. 현기증 나다 (현) c. 아찔하다 (현) d. (눈을)감다 (현) e. (눈이)어둡다 (현) f. 선명한 모양 (현)
棄 버릴 기 1. 버리다 2. 그만두다 3. 돌보지 않다 4. 꺼리어 멀리하다 5. 물리치다 6. 잊다
爾 너 이 1. 너 2. 성(姓)의 하나 3. 어조사(語助辭) 4. 같이 5. 그(其) 6. 뿐 7. 이(此) 8. 그러하다 9. 가깝다
葬 장사지낼 장 1. 장사지내다(葬事---) 2. 매장하다(埋葬--) 3. 장사(葬事)
翣 불삽 삽 1. 불삽(黻翣: 발인 때에, 상여의 앞뒤에 세우고 가는 제구) 2. 운삽(雲翣: 발인할 때에, 영구(靈柩)의 앞뒤에 세우고 가는 널판) 3. 부채 4. 종고(綜鼓)걸이틀 위의 꾸미개 5. 부채질하다
刖 벨 월 1. (발꿈치를)베다 2. (발을)자르다 3. 위태롭다(危殆--) 4. 발꿈치 베는 형벌(刑罰)
屨 신 구 1. 신(발에 신는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2. 짚신 3. 가죽신 4. 신다 5. 자주 6. 여러 번
爪 손톱 조 1. 손톱 2. 갈퀴 3. 메뚜기(물건이 벗겨지지 않도록 꽂는 기구) 4. 긁다, 할퀴다 5. (손톱, 발톱을)자르다 6. 움켜잡다 7. 돕고 지키다
翦 자를 전 1. 자르다 2. 끊다, 베다 3. 깎다 4. 멸망시키다(滅亡---) 5. 제거하다(除去--), 없애다 6. 가위 7. 깃에 붙인 화살
穿 뚫을 천 1. 뚫다 2. 꿰뚫다 3. 뚫어지다 4. 개통하다(開通--) 5. 통과하다(通過--) 6. 관통하다(貫通--) 7. (실을)꿰다 8. (신발을)신다 9. (옷을)입다 10. 구멍 11. 묘혈(墓穴)
猶 오히려 유,움직일 요 1. 오히려 2. 가히 3. 다만 4. 이미 5. 크게, 지나치게 6. ~부터 7. 그대로 8. 마땅히 9. 원숭이 10. 태연(泰然)한 모양 11. 허물 12. 꾀하다 13. 망설이다 14. 머뭇거리다 15. 말미암다(=由) 16. 같다,...
恐 두려울 공 1. 두렵다, 두려워하다 2. 무서워하다 3. 공갈하다(恐喝--) 4. 위협하다(威脅--), 으르다(무서운 말이나 행동으로 위협하다) 5. 염려하다(念慮--), 조심하다 6. 두려움 7. 아마도
65` 지극한 사람은 재질과 덕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내편:5.덕충부,6)
- 장자(내편) ; 제5편 덕충부[6]-
애공이 말했다.
“무엇을 재질이 완전하다고 하는 것입니까?”
공자가 말했다. “죽음과 삶, 존속과 사라짐, 곤궁과 영달, 가난과 부, 어짊과 아둔함, 욕과 칭찬, 굶주림과 목마름, 추위와 더위 이러한 것들은 일의 변화이며 운명의 현상입니다. 낮과 밤이 눈앞에서 바뀌고 있지만 사람들의 지각은 그 시작을 규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변화는 조화를 어지럽히지 못하고, 마음 속에 스며들지도 못하는 것입니다. 그런 마음으로 조화됨으로써 즐겁게 통달하여 충실함을 잃지 않게 하면 밤낮으로 변화가 들어올 틈이 없게 되어 만물과 더불어 어울리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은 만물과 접하여 마음에 조화를 이룩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재질이 완전하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애공이 말했다. “무엇을 덕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다고 하는 것입니까?”
공자가 말했다. “평형이란 물이 가득히 멈추어 있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그것을 법도로 삼을 수 있는 사람은 안으로 그 평형을 보전하여 밖으로 요동하지 않게 됩니다. 덕이란 수양으로써 조화가 이룩된 것입니다. 덕이 겉으로 나타나지 않는 사람이라면 사람들이 그로부터 떠날 수가 없게 됩니다.”
애공이 훗날 그 얘기를 민자에게 했다.
“처음에 나는 천하의 임금으로서 나라를 다스림에 있어 백성들의 바램을 손에 잡고 그들의 죽음을 걱정하면서, 나는 지극히 도통한 임금이라 여겼었습니다. 지금 나는 지인의 말씀을 듣고 나서 내 나라를 망치게 될까 두려워하게 되었습니다. 나와 공자는 임금과 신하가 아니라 덕으로 맺어진 벗입니다.”
- 莊子(內篇) ; 第5篇 德充符[6]-
哀公曰:「何謂才全?」
仲尼曰:「死生存亡, 窮達貧富, 賢與不肖毁譽, 飢渴寒暑, 是事之變, 命之行也. 日夜相代乎前, 而知不能規乎其始者也. 故不足以滑和, 不可入於靈府. 使之和預通而不失於兌. 使日夜無卻而與物爲春, 是接而生時於心者也. 是之謂才全.」
「何爲德不形?」
曰:「平者, 水停之盛也. 其可以爲法也, 內保之而外不蕩也. 德者, 成和之修也. 德不形者, 物不能離也.」
哀公異日以告閔子曰:始也吾以南面而君天下, 執民之紀而憂其死, 吾自以爲至通矣. 今吾聞至人之言, 恐吾無其實, 輕用吾身而亡其國. 吾與孔丘, 非君臣也, 德友而已矣.」
(애공왈:하위재전?
중니왈:사생존망,궁달빈부, 현여불초훼예, 기갈한서, 시사지변, 명지행야. 일야상대호전, 이지불능규호기시자야. 고부족이활화, 불가입어령부. 사지화예통이부실어태. 사일야무각이여물위춘, 시접이생시어심자야. 시지위재전.
하위덕불형?
왈:평자, 수정지성야. 기가이위법야, 내보지이외불탕야. 덕자, 성화지수야. 덕불형자, 물불능리애공이일이고민자왈:시야오이남면이군천하, 집민지기이우기사, 오자이위지통의. 금오문지인지언, 공오무기실, 경용오신이망기국. 오여공구, 비군신야, 덕우이이의.)
肖 닮을 초,같을 초,꺼질 소 1. 닮다 2. 모양이 같다 3. 본받다 a. 꺼지다 (소) b. 쇠약하다(衰弱--) (소) c. 쇠하다(衰--) (소) d. 흩어지다 (소) e. 작다 (소)
毁 헐 훼 1. 헐다 2. 부수다 3. 제거하다(除去--), 철거하다(撤去--) 4. 이지러지다(불쾌한 감정 따위로 얼굴이 일그러지다) 5. 무너지다 6. 감손하다(減損--) 7. 훼손하다(毁損--) 8. 손상하다(損傷--) 9. 비방...
譽 기릴 예,명예 예 1. 기리다 2. 즐기다(=豫) 3. 찬양하다(讚揚--) 4. 칭찬하다(稱讚--) 5. 바로잡다 6. 명예(名譽) 7. 영예(榮譽) 8. 좋은 평판 9. 칭찬(稱讚) 10. 찬양(讚揚)
規 법 규 1. 법(法) 2. 법칙(法則) 3. 꾀 4. 책략(策略) 5. 동그라미 6. 문체(文體) 이름 7. 그림쇠(원형을 그리는 제구) 8. 꾀하다 9. 바로잡다 10. 본뜨다 11. 모범(模範)으로 삼다 12. 경계하다(警戒--) 13....
滑 미끄러울 활,익살스러울 골 1. 미끄럽다 2. 미끄럽게 하다 3. 반드럽다 4. 부드럽게 하다 5. 교활하다(狡猾--) a. 익살스럽다 (골) b. 어지럽다 (골) c. 다스리다 (골) d. 물이 흐르다 (골) e. 흐리(게하)다 (골)
靈府 신령(神靈)한 곳이라는 뜻으로, 마음을 이르는 말
靈 신령 령,신령 영 1. 신령(神靈) 2. 혼령(魂靈), 혼백(魂魄), 영혼(靈魂) 3. 귀신(鬼神), 유령(幽靈), 도깨비 4. 정기(精氣), 영기(靈氣) 5. 정신(精神), 감정(感情) 6. 존엄(尊嚴) 7. 하늘, 천제(天帝) 8. 영적인 존재(存在)...
府 마을 부 1. 마을, 고을 2. 도읍(都邑), 도시(都市) 3. 관청(官廳), 관아(官衙) 4. 곳집(곳간(庫間)으로 지은 집) 5. 사물(事物)이 모이는 곳 6. 창자(큰창자와 작은창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7. 가슴 8. 영묘(靈廟:...
預 맡길 예,미리 예 1. 맡기다 2. 참여하다(參與--) 3. 관계하다(關係--) 4. 즐기다 5. 놀다 6. 미리 7. 사전에(事前-)
兌 바꿀 태,기쁠 태,날카로울 예,기뻐할 열 1. 바꾸다, 교환하다(交換--) 2. 기쁘다, 기뻐하다 3. 곧다, 굽지 아니하다 4. 통하다(通--), 길을 이루다 5. 모이다 6. 8괘의 하나 7. 서방(西方), 서쪽 8. 구멍 a. 날카롭다 (예) b. 데치다, 삶다 (예)...
卻 물리칠 각 1. 물리치다 2. 물러나다 3. 피하다(避--) 4. 돌아가다 5. 그치다, 쉬다, 멎다 6. 사양하다(辭讓--) 7. 뒤집다 8. 도리어 9. 반대로(反對-) 10. 어조사(語助辭) 11. 발어사(發語辭) 12. 틈, 벌어진 사이
停 머무를 정 1. 머무르다, 멎다 2. 멈추다, 정지하다(停止--), 중지하다(中止--) 3. 서다, 정거하다(停車--), 정박하다(碇泊ㆍ渟泊--) 4. 밀리다, 막히다, 지체하다(遲滯--) 5. 정해지다, 고정하다(固定--) 6. 정비...
蕩 방탕할 탕 1. 방탕하다(放蕩--) 2. 방종하다(放縱--) 3. 흔들다 4. 움직이다 5. 방자하다(放恣--) 6. 광대하다(廣大--), 넓고 크다 7. 헌걸차다(매우 풍채가 좋고 의기가 당당한 듯하다) 8. 용서하다(容恕--) 9....
修 닦을 수 1. 닦다, 익히다, 연구하다(硏究--) 2. 꾸미다, 엮어 만들다 3. 고치다, 손질하다 4. 다스리다, 정리하다(整理--) 5. 갖추다, 베풀다(일을 차리어 벌이다, 도와주어서 혜택을 받게 하다) 6. (도덕, 품...
離 떠날 리,떠날 이,붙을 려,붙을 여,교룡 치 1. 떠나다 2. 떼어놓다, 떨어지다 3. 갈라지다 4. 흩어지다, 분산하다 5. 가르다, 분할하다(分割--) 6. 늘어놓다 7. 만나다, 맞부딪다 8. 잃다, 버리다 9. 지나다, 겪다 10. 근심 11. 성(姓)의 하나 13....
閔 성씨 민,위문할 민 1. 성(姓)의 하나 2. 근심 3. 우환 4. 땅의 이름 5. 가을 하늘 6. 위문하다(慰問--) 7. 걱정하다 8.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9. 가엾게 여기다 10. 앓다 11. (사리에)어둡다 12. 힘쓰다 13....
才 재주 재 1. 재주 2. 재능(才能)이 있는 사람 3. 근본(根本) 4. 바탕 5. 기본(基本) 6. 사격의 하나 7. 겨우 8. 조금 9. 결단하다(決斷--)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 內篇 6 大宗師 01~03 (4) | 2016.05.09 |
---|---|
莊子 - 內篇 5 德充符 07~08 (0) | 2016.05.09 |
莊子 - 內篇 5 德充符 03~04 (0) | 2016.05.02 |
莊子 - 內篇 5 德充符 01~02 (1) | 2016.04.30 |
莊子 - 內篇 4 人間世 13~16 (0) | 2016.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