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外篇 22 知北游 11
221` 도는 어디에나 있고 모든 현상은 도에 의한 것이다 (외편:22.지북유,11)
- 장자(외편) ; 제22편 지북유[11]-
동곽자가 장자에게 물었다.
“도라는 것은 어디에 존재하는 것입니까?”
장자가 말했다. “어디에든 존재하지 않는 곳이 없습니다.”
“예를 들어 있는 곳을 지적해 주십시오.” “개미에게 있습니다.”
“어찌해서 그처럼 하찮은 곳에 있습니까?” “강아지풀이나 논에 자라는 피에도 있습니다.”
“어찌해서 더욱 하찮은 것에 있습니까?” “기와나 벽돌에도 있습니다.”
“어찌해서 더욱 심해집니까?” “오줌과 똥에도 있습니다.”
더 이상 동곽자는 아무 말도 못하게 되었다.
장자가 다시 말했다. “당신의 질문은 본래가 본질적인 질문이 아니었습니다. 시장의 관리인이 시장을 감독하는 사람에게 돼지를 밟아보고 그 살찐 정도를 조사하게 할 때도, 살찌기 어려운 곳을 밟아내려 갈수록 그 정도를 더욱 잘 미루어 알 수 있는 것입니다. 당신은 꼭 어디에 있는가하고 한정시키지 말아야 합니다. 물건은 무엇이나 도에서 벗어나는 것이 없기 때문입니다. 지극한 도는 이와 같은 것이며, 위대한 이론 역시 이런 것입니다.
두루, 언제나, 모두 이 세 가지 표현은 도에 대하여 말은 다르지만 같은 내용을 뜻하여 그 표현하는 것은 한가지인 것입니다.
시험삼아 당신과 더불어 무하유의 궁전에 노닐어 봅시다. 그리고 함께 자연의 도에 합치되어 도를 논해보면 그 무궁함을 알게 될 것입니다. 시험삼아 무위의 경지에 들어가 봅시다. 그러면 담담히 고요해지고 깨끗이 맑아져서 만물과 조화되어 한가하게 될 것입니다.
나의 뜻은 텅비게 되어, 마음은 가려는 곳 없이 자연에 맡겨두어 그 이르는 곳도 알지 못하게 될 것입니다. 되는 대로 갔다 왔다 하며 그 멈춰지는 곳을 알지 못하게 될 것입니다. 나는 이미 왔다갔다하고 있지만 그 끝나는 곳을 알지 못하게 될 것입니다. 텅빈 광대한 곳에 거닐고 있어서 위대한 지혜를 쓴다해도 그 궁극을 알 수 없는 것입니다.
물건을 물건의 존재대로 인정하는 사람은 물건과 한계가 없게 됩니다. 그러나 물건에 대하여 한계를 긋고 구별하는 사람은 이른바 물건에 의하여 자기 한계를 지니게 되는 사람인 것입니다. 물건과의 한계가 없다는 것은 상대적인 한계대로 순응하는 것이며, 물건에 대하여 한계를 긋는다는 것은 상대적인 한계대로 순응하지 않는 것입니다.
찼다가는 비고, 모였다가 없어지는 것으로 말한다면, 어떤 물건이 차고 비고 하는 것은 절대적으로 차고 비는 것이 아니며, 어떤 물건이 모이고 없어지고 하는 것은 절대적으로 모이고 없어지고 하는 것이 아닙니다. 어떤 물건의 근본과 말단도 절대적인 근본과 말단이 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물건이 쌓이고 흩어지고 하는 것도 절대적으로 쌓이고 흩어지고 하는 것은 아닌 것입니다.”
- 莊子(外篇) ; 第22篇 知北游[11]-
東郭子問於莊子曰:「所謂道, 惡乎在?」
莊子曰:「無所不在.」
東郭子曰:「期而後可.」
莊子曰:「在螻蟻.」
曰:「何其下邪?」
曰:「在稊稗.」
曰:「何其愈下邪?」
曰:「在瓦甓.」
曰:「何其愈甚邪?」
曰:「在屎溺.」
東郭子不應. 莊子曰:「夫子之問也, 固不及質. 正獲之問於監市履狶也, 每下愈況. 汝唯莫必, 无乎逃物. 至道若是, 大言亦然. 周遍咸三者, 異名同實, 其指一也.
「嘗相與游乎无何有之宮, 同合而論, 无所終窮乎! 嘗相與无爲乎! 澹而靜乎! 漠而淸乎! 調而閒乎! 寥已吾志, 无往焉而不知其所至, 去而來而不知其所止, 吾已往來焉而不知其所終. 彷徨乎馮閎, 大知入焉而不知其所窮. 物物者與物无際, 而物有際者, 所謂物際者也. 不際之際, 際之不際者也. 謂盈虛衰殺, 彼爲盈虛非盈虛, 彼爲衰殺非衰殺, 彼爲本末非本末, 彼爲積散非積散也.」
(동곽자문어장자왈:[소위도, 오호재?]
장자왈:[무소부재.]
동곽자왈:[기이후가.]
장자왈:[재루의]
왈:[하기하야?]
왈:[재제패]
왈:[하기유하야?]
왈:[재와벽.]
왈:[하기유심야?]
왈:[재시뇨]
동곽자불응. 장자왈:[부자지문야, 고불급질. 정획지문어감시복희야, 매하유황. 여유막필, 무호도물. 지도약시, 대언역연. 주편함삼자, 이명동실, 기지일야.
[상상여유호무하유지궁, 동합이론, 무소종궁호! 상상여무위호! 담이정호! 막이청호! 조이한호! 료이오지, 무왕언이부지기소지, 거이래이부지기소지, 오이왕래언이부지기소종. 방황호빙굉, 대지입언이부지기소궁. 물물자여물무제, 이물유제자, 소위물제자야. 불제지제, 제지불제자야. 위영허쇠살, 피위영허비영허, 피위쇠살비쇠살, 피위본말비본말, 피위적산비적산야.])
惡 恶 [è] 번체 (惡) 나쁠 악 1.[형용사] 나쁘다. 열악하다. 2.[형용사] 모질다. 격심하다. 격렬하다. 흉악하다. 흉포하다. 3.[명사] 악행.
恶 [wū] 번체 (惡) 어찌 오 1.[대명사][문어] 어찌. 어떻게. [반문을 나타냄] 2.[감탄사] (놀라움을 나타내어) 오오. 아니. ☞[恶(ě), 恶(è), 恶(wù)]
恶 [wù] 번체 (惡) 싫어할 오 1.[동사] 싫어〔미워〕하다. 증오〔혐오〕하다. ≒[憎(zēng)]
螻蟻 땅강아지와 개미라는 뜻으로, 작은 힘의 비유(比喩ㆍ譬喩)
蝼蚁 [lóuyǐ] 1.[명사] 땅강아지와 개미. 2.[명사][비유] 세력과 힘이 약하거나 지위가 낮은 사람.
在纳粹统治下犹太人命如蝼蚁。 발음 듣기 출처: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한중사전
나치의 지배하에서 유태인의 목숨은 한낱 파리 목숨이었다.→파리 목숨
螻 땅강아지 루,땅강아지 누 1. 땅강아지(땅강아짓과의 곤충) 2. 청개구리 3. 악취(惡臭) 4. 악취(惡臭)를 풍기다 [부수]虫(벌레훼)
蟻 개미 의 1. 개미 2. 검은 빛깔 3. 술구더기(걸러 놓은 술에 뜬 밥알) 4. 미천함의 비유(比喩ㆍ譬喩) 5. 검다 6. 보잘것없다 [부수]虫(벌레훼)
稊稗 피. 볏과의 한해살이풀
稊 돌피 제 1. 돌피(볏과의 한해살이풀) 2. 싹 3. 움(나무를 베어 낸 뿌리에서 나는 싹) [부수]禾(벼화)
稗 피 패 단어장 추가 1. 피(볏과의 한해살이풀) 2. 작다 3. 잘다 [부수]禾(벼화)
愈 나을 유,구차할 투 1. (남보다)낫다, 뛰어나다 2. (병이)낫다 3. 고치다 4. 유쾌하다(愉快--) 5. 즐기다 6.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괴로워하다 7. 근심하는 모양 8. 더욱, 점점 더 a. 구차하다(苟且--) (투) [부수]心(마음심)
瓦 기와 와 1. 기와 2. 질그릇(잿물을 덮지 아니한, 진흙만으로 구워 만든 그릇) 3. 실패(실을 감아 두는 작은 도구) 4. 방패(防牌ㆍ旁牌)의 등 5. 유곽(遊廓) 6. 와트(watt) 7. (기와를)이다 [부수]瓦(기와와)
甓 벽돌 벽 1. 벽돌 2. 기와 [부수]瓦(기와와)
屎 똥 시,끙끙거릴 히 1. 똥, 대변(大便) 2. 분비물 3. 서툴다 a. 끙끙거리다 (히) b. 신음하다 (히) c. 앓다 (히) [부수]尸(주검시엄)
溺 빠질 닉,빠질 익,오줌 뇨,오줌 요,약할 약 1. 빠지다 2. 빠뜨리다 3. 그르치다 4. 지나치다, 정도를 넘다 a. 오줌, 소변(小便) (뇨) b. (오줌을)누다 (뇨) c. 약하다(弱--)(=弱) (약) d. 연약하다(軟弱--) (약) [부수]氵(삼수변)
獲 얻을 획,실심할 확 1. 얻다 2. 얻어지다 3. (과녁에)맞히다 4. 잡다 5. 붙잡다 6. 당하다(當--) 7. 그르치다, 잘못하다 8. 사냥하여 잡은 짐승 9. 포로(捕虜) 10. 여자(女子) 종 11. 산가지(算--: 수효를 셈하는 데에 쓰던... [부수]犭(개사슴록변)
監 볼 감 1. 보다 2. 살피다 3. 경계하다(警戒--) 4. 독찰하다(督察--: 단속하여 살피다) 5. 거울삼다 6. 비추어보다 7. 감옥(監獄) 8. 마을 9. 관청(官廳), 관아(官衙) 10. 감찰(監察) 11. 거울 12. 성(姓)의 하나 [부수]皿(그릇명)
履 밟을 리,밟을 이,신 리,신 이 1. 밟다 2. (신을)신다 3. 행하다(行--) 4. 겪다 5. 지위(地位)에 오르다, 자리에 나아가다 6. 신, 신발 7. 괘(卦)의 이름 8. 복(福), 복록(福祿) 9. 행실(行實), 행하는 바, 행동(行動) 10. 밟는 땅,...[부수]尸(주검시엄)
狶 돼지 희,사람 이름 시 1. 돼지 2. 돼지 부르는 소리 a. 사람 이름 (시) b. 상고(上古)의 황제(皇帝)의 이름 (시) [부수]犭(개사슴록변)
逃 [táo] 1.[동사] 도망치다. 달아나다. 2.[동사] 피하다. 비키다. 도피하다. ↔[追(zhuī)]
逃避 [táobì] 1.[동사][폄하어] 도피하다. ≒[躲避(duǒbì)]
咸 다 함,짤 함,덜 감 1. 다(남거나 빠진 것이 없이 모두) 2. 모두 3. 소금기 4. 함괘 5. 짜다 6. 소금기가 있다 7. 두루 미치다(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하여지다) 8. 널리 미치다(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하여지다)... [부수]口(입구)
遍 두루 편 1. 두루 2. 모든, 전면적인(全面的-) 3. 번, 횟수(回數) 4. 두루 미치다(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하여지다) 5. 두루 퍼지다 6. 널리 퍼져 있다 7. 널리 ~하다 8. 보편적(普遍的)으로 ~하다 [부수]辶(책받침)
宮 집 궁 1. 집, 가옥(家屋) 2. 대궐(大闕), 궁전(宮殿) 3. 종묘(宗廟: 역대 임금과 왕비의 위패를 모시던 왕실의 사당) 4. 사당(祠堂) 5. 절, 불사(佛寺) 6. 학교(學校) 7. 담, 장원(牆垣ㆍ墻垣) 8. 마음 9. 임금의... [부수]宀(갓머리)
漠 넓을 막,사막 막 1. 넓다, 광막하다(廣漠--) 2. 쓸쓸하다 3. 그윽하다 4. 조용하다, 고요하다 5. 소리가 없다 6. 맑다, 투명하다(透明--) 7. 어둡다, 어둠침침하다 8. 자리 잡다, 움직이지 아니하다 9. 우거지다, 무성... [부수]氵(삼수변)
調 고를 조,아침 주 1. 고르다 2. 조절하다(調節--) 3. 어울리다 4. 길들이다 5. 꼭 맞다, 적합하다(適合--) 6. 지키다, 보호하다(保護--) 7. 비웃다, 조롱하다(嘲弄--) 8. 속이다, 기만하다(欺瞞--) 9. 뽑히다, 선임되다(選任--)... [부수]言(말씀언)
寥 쓸쓸할 요,쓸쓸할 료 1. 쓸쓸하다, 적막하다(寂寞--) 2. 휑하다 3. 텅 비다, 공허하다(空虛--) 4. 넓다, 광활하다(廣闊--) 5. 성기다(물건의 사이가 뜨다), 드물다 6. 잠잠하다 7. 둘러싸다 8. 교란시키다(攪亂---) 9. 하늘,... [부수]宀(갓머리)
彷 헤맬 방,비슷할 방 1. 헤매다, 거닐다 2. 배회하다(徘徊--) 3. 비슷하다, 어울리다 4. 확연히 구별할 수 없는 모양 5. 벌레 이름 [부수]彳(두인변)
徨 헤맬 황 1. 헤매다, 방황하다(彷徨--) 2. 노닐다 3. 배회하다(徘徊--) 4. 어정거리다 5. (마음이)불안하다(不安--) [부수]彳(두인변)
彷徨 ①방향(方向)이나 위치(位置)를 잘 몰라 이리저리 헤매는 것 ②삶의 분명(分明)한 목표(目標)를 정(定)하지 못하고 마음의 갈등(葛藤)을 겪거나 갈팡질팡하는 것
馮 성씨 풍,업신여길 빙 1. 성(姓)의 하나 a. 업신여기다 (빙) b. 기대다 (빙) c. 성내다 (빙) d. 도섭하다(徒涉--: 걸어서 물을 건넘) (빙) e. 뽐내다 (빙) f. 서운하다 (빙) g. 힘입다 (빙) h. 의지하다(依支--) (빙) [부수]馬(말마)
閎 마을 문 굉 1. 마을의 문(門) 2. 문(門) 3. 하늘의 문(門) 4. 문설주(門-柱: 문짝을 끼워 달기 위하여 문의 양쪽에 세운 기둥) 5. 크다 6. 안이 넓다 7. 넓히다 8. 공허하다(空虛--) [부수]門(문문)
際 즈음 제,가 제 1. 즈음 2. 가, 끝 3. 변두리 4. 사이 5. 때 6. 닿다 7. 만나다 8. 사귀다 [부수]阝(좌부변)
盈 찰 영 1. 차다 2. 가득하다 3. 충만하다(充滿--), 피둥피둥하다 4. 남다, 여유(餘裕)가 있다 5. 불어나다, 증가하다(增加--) 6. 채우다, 미치다(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하여지다) 7. 교만하다(驕慢--)... [부수]皿(그릇명)
虛 빌 허 1. 비다, 없다 2. 비워 두다 3. 헛되다 4. 공허하다(空虛--) 5. 약하다(弱--) 6. 앓다 7. 살다, 거주하다(居住--) 8. 구멍 9. 틈, 빈틈 10. 공허(空虛), 무념무상(無念無想) 11. 마음 12. 하늘 13. 폐허(廢墟)... [부수]虍(범호엄)
衰 쇠할 쇠,상옷 최,도롱이 사 1. 쇠하다(衰--) 2. 약하다(弱--) a. 상옷 (최) b. 줄다, 줄이다 (최) c. 도롱이(짚, 띠 따위로 엮어 허리나 어깨에 걸쳐 두르는 비옷) (사) [부수]衣(옷의)
殺 죽일 살,감할 살,빠를 쇄,맴 도는 모양 설,윗사람 죽일 시 1. 죽이다 2. 죽다 3. 없애다 4. 지우다 5. 감하다(減--) 6. 얻다 7. 어조사(語助辭) a. 감하다(減--) (쇄) b. 내리다 (쇄) c. 덜다 (쇄) d. 심하다(甚--: 정도가 지나치다) (쇄) e. 빠르다 (쇄) f. 매우... [부수]殳(갖은등글월문)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 外篇 22 知北游 13 (0) | 2016.10.11 |
---|---|
莊子 - 外篇 22 知北游 12 (0) | 2016.10.10 |
莊子 - 外篇 22 知北游 10 (0) | 2016.10.06 |
莊子 - 外篇 22 知北游 9 (0) | 2016.10.04 |
莊子 - 外篇 22 知北游 8 (0) | 2016.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