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外篇 24 徐無鬼 4


246` 천하를 다스리는 것은 말을 기르는 것과 같다 (잡편:24.서무귀,4) 

- 장자(잡편) ; 제24편 서무귀[4]- 

헌원 황제가 대외를 만나기 위해 구자산으로 찾아갔다. 방명이 수레를 몰고, 창우가 참승이 되고, 장약과 습붕이 말 앞에서 길을 인도하고, 곤혼과 활계가 수레 뒤를 따랐다. 양성의 들판에 이르러 함께 가던 일곱 명의 성인이 모두 그만 길을 잃게 되었다. 길을 물을 곳이 없었는데 마침 목동을 만나게 되었다. 황제가 그 목동에게 물었다. 

“너는 구자산을 알고 있느냐?” 

목동이 대답했다. “예.” 

“대외가 있는 곳을 알고 있느냐?” 

목동이 대답했다. “예.” 

황제가 다시 물었다. “신기한 아이로구나. 구자산이 어디에 있는지를 알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외가 있는 곳까지 알고 있다니. 천하를 다스리는 방법에 대해 말을 해줄 수 있겠느냐?” 

목동이 대답했다. 

“천하를 다스리는 일은 지금 저처럼 이런 일을 하고 있으면 되는 것이지, 무슨 특별한 것이 있겠습니까? 저는 어렸을 때 자연 속에 유유히 살다가, 마침 눈이 안보이게 되는 병에 걸리게 되었습니다. 한 노인께서 저에게 해가 뜨면 수레를 타고 양성의 들판에서 노닐라고 했습니다. 지금은 병이 조금 나았기 때문에 다시 자연 속을 유유히 살려고 합니다. 무릇 천하를 다스린다는 것도 바로 제가 병을 고친 일과 같을 뿐입니다.” 

황제가 물었다. “천하를 다스리는 일이 너의 일은 아니겠지만, 천하를 다스리는 일에 대하여 알고 싶구나.” 

소년은 아무 말이 하지 않았다. 황제가 다시 묻자 소년은 입을 열었다. 

“천하를 다스리는 것이 어찌 말을 치는 것과 다르겠습니까, 그저 말을 해치는 것을 없애는 것일 뿐입니다.” 

황제는 머리를 숙여 큰절을 두 번하고, 그 소년을 천사(天師)라고 부른 뒤 물러났다. 


- 莊子(雜篇) ; 第24篇 徐無鬼[4]- 

黃帝將見大隗乎具茨之山, 方明爲御, 昌寓驂乘, 張若謵朋前馬, 昆閽滑稽後車. 至於襄城之野, 七聖皆迷, 无所問塗. 

適遇牧馬童子, 問塗焉, 曰:「若知具茨之山乎?」 曰:「然.」 

「若知大隗之所存乎?」 曰:「然.」 

黃帝曰:「異哉小童! 非徒知具茨之山, 又知大隗之所存. 請問爲天下.」 

小童曰:「夫爲天下者, 亦若此而已矣, 又奚事焉! 予少而自遊於六合之內, 予適有瞀病, 有長者敎予曰:‘若乘日之車而遊於襄城之野.’ 今予病少痊, 予又且復遊於六合之外. 夫爲天下亦若此而已. 予又奚事焉!」 

黃帝曰:「夫爲天下者, 則誠非吾子之事. 雖然, 請問爲天下.」 小童辭. 

黃帝又問. 小童曰:「夫爲天下者, 亦奚以異乎牧馬者哉! 亦去其害馬者而已矣!」 黃帝再拜稽首, 稱天師而退. 

(황제장견대외호구자지산, 방명위어, 창우참승, 장약습명전마, 곤혼활계후차. 지어양성지야, 칠성개미, 무소문도. 

적우목마동자, 문도언, 왈:[약지구자지산호?] 왈:[연.]

[약지대외지지소존호?] 왈[연.]

황제왈:[이재소동! 비도지구자지산, 우지대외지소존. 청문위천하.]

소동왈:[부위천하자, 역약차이이의, 우해사언! 여소이자유어육합지내, 여적유무병, 유장자교여왈:’약승일지차이유어양성지야.’ 금여병소전, 여우차복유어육합지외. 부위천하역약차이이. 여우해사언!]

황제왈:[부위천하자, 즉성비오자지사. 수연, 청문위천하.] 소동사.

황제우문. 소동왈:[부위천하자, 역해이이호목마자재! 역거기해마자이이의!] 황제재배계수, 칭천사이퇴.)


隗 높을 외  1. 높다 2. 성(姓)의 하나 [부수]阝(좌부변)

茨 지붕 일 자  1. 지붕을 이다 2. 잇다 3. 쌓다 4. 이엉으로 덮은 지붕 5. 남가새(남가샛과에 딸린 한해살이풀) [부수]艹(초두머리)

寓 부칠 우  1. 부치다, 보내다 2. 맡기다, 위탁하다(委託--) 3. 기탁하다(寄託--) 4. 붙어 살다, 임시로 살다, 남에게 의지(依支)하여 살다 5. 머무르다, 객지(客地)에서 묵다 6. 핑계 삼다, 구실 삼다 7. 우거(寓居:... [부수]宀(갓머리)

驂 곁마 참 1. 곁마(-馬: 마차 옆에 따라가는 말) 2. 곁마(-馬)로 세우다 3. 성(姓)의 하나 [부수]馬(말마)

謵 익힐 습 1. 익히다 2. 겁먹고 말하다 3. 속삭이다 [부수]言(말씀언)

昆 맏 곤,벌레 곤,뒤섞일 혼 1. 맏, 형(=晜) 2. 자손(子孫), 후예 3. 벌레(=蜫) 4. 산(山) 이름(=崑) . 종족(種族) 이름 6. 같이, 함께 7. 뒤, 다음, 나중 8. 많다, 잡다하다(雜多--) 9. 같다 a. 뒤섞이다, 뒤얽히다(=渾, 混) (혼)... [부수]日(날일)

閽 문지기 혼  1. 문지기 2. 궁문 3. 환관(宦官) [부수]門(문문)

滑 미끄러울 활,익살스러울 골 1. 미끄럽다 2. 미끄럽게 하다 3. 반드럽다 4. 부드럽게 하다 5. 교활하다(狡猾--) a. 익살스럽다 (골) b. 어지럽다 (골) c. 다스리다 (골) d. 물이 흐르다 (골) e. 흐리(게하)다 (골) [부수]氵(삼수변)

稽 상고할 계  1. 상고하다(詳考--), 조사하다(調査--) 2. 헤아리다 3. 논의하다(論議--), 상의하다(相議ㆍ商議--) 4. 묻다, 점을 치다 5. 셈하다, 세다 6. 견주다(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서로 대어 보다)... [부수]禾(벼화)

塗 칠할 도,길 도  1. 칠하다 2. 칠하여 없애다 3. 지우다 4. 더럽히다 5. 매흙질하다(벽 거죽에 매흙을 바르다) 6. 두텁고 많다 7. 길 8. 도로(道路) 9. 진흙 10. 진흙탕 11. 진창(땅이 질어서 질퍽질퍽하게 된 곳) 12.... [부수]土(흙토)

瞀 어두울 무  1. (눈이)어둡다 2. (눈이)흐리다 3. 어리석다 4. (눈을 내리뜨고)공손(恭遜)히 보다 5. 흐트러지다 [부수]目(눈목)

痊 나을 전  1. (병이)낫다 2. (병을)고치다 [부수]疒(병질엄)

六合 천지(天地)와 사방(四方)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 外篇 24 徐無鬼 6  (0) 2016.11.07
莊子 - 外篇 24 徐無鬼 5  (0) 2016.11.04
莊子 - 外篇 24 徐無鬼 3  (0) 2016.11.02
莊子 - 外篇 24 徐無鬼 2  (0) 2016.11.01
莊子 - 外篇 24 徐無鬼 1  (0) 2016.10.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