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청난 속도의 시대변화
2ch VIP 개그 2009/10/17 21:02
전업주부가 일반적이었던 것은 고도 경제성장기의 수십년간, 단 1세대에 불과하다는 사실.
흔히 있는 일이지만, 지금 현재의 사회적 관습이 영원할 것이라고 모두가 착각해버리는 것이다.
집집마다 자동차 한 대씩을 소유하게 된 것은 아직 1세대.
누구나 손목시계를 갖게 된 것도 1세대지만, 휴대폰 탓에 매상이 3분의 1로 격감.
직장을 가진 사회인 모두가 하나 정도 약간의 돈이 드는 정도의 취미생활은 갖게 될 것이라 확실시된
것이 역시 고도성장기의 단 1세대 만에 어이없이 종료.
담배와 술의 소비량이 폭발적으로 증가, 지금같은 과잉섭취하게 된 것도 1세대만의 일.
바보처럼 술로 찌든 회식 문화가 자리잡은 것도 사실은 베이비붐 세대 단 1세대만의 일.
담배는 지금 페이스라면 남은 0.5세대 내에 멸망한다.
자유연애라는 흐름 역시 1~2세대. 사실 고백이라는 풍습 자체가 소녀만화 등에서 퍼진 것. 1세대.
(사회관습은 의외로 픽션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일본의 여성들이 브래지어를 입게 된 것은 1.5세대 정도.
지금 스타일의 장례식은 좀 더 길게 봐도 2세대 정도?
그 밖에도「사실은 단 1세대」식의 물건이나 관습은 무수히 많다.
그리고 우리는 이 사실에 공포를 느끼는 편이 좋다.
그러니까 아무 것도 생각하지 않고 그저 전 세대의 흉내를 내려는 것은 관두는 편이 좋다. 무리니까.
부모님이 하는 말들도 별로 크게 들을 필요는 없다. 대개의 부모님들도 적당히 주변에서 들은 이야기의
반복일 뿐이고, 바보는 경험으로 배울 뿐이니까. 게다가 그나마도 단 1세대.
종신고용은 개그가 된지 오래이고, 대출로 집을 사기 전에는 최소한 경제잡지라도 구독해서 흐름을
읽어야 한다.
블루 칼라나 화이트 칼라는 커녕, 요즘에는 두뇌 노동자라는 새로운 직종이 나올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덤으로...
> * 2010년까지 수요가 있는 업무 중 상위 10개가
> * 2004년에는 아직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 우리는 자릿수 자체가 성장하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 5000만명의 이용자를 확보하기까지 걸린 시간
> * 라디오 38년 * 텔레비전 13년 * 인터넷 4년 * iPod 3년 * Facebook 2년
변화에 대응할 수 없게 되는 순간 즉시 버려진다. 간단히 묘지까지 도망칠 수 있다고 생각하지 말아라
2009. 10.
'좋은 펌 글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한쪽 눈이 보이지 않는 나의 남편 외 (0) | 2015.05.27 |
---|---|
[펌]마돈나 (0) | 2015.05.27 |
[펌]강남 아파트 한 채 가진 대기업 간부도 하류층? (0) | 2015.05.27 |
도연명의 귀거래사 (0) | 2015.04.27 |
17 Powerful Images Showing The Devastating Effects Of Overpopulation (0) | 201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