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重爲輕根, 靜爲躁君, 是以聖人終日行不離輜重, 雖有榮觀, 燕處超然, 

    중위경근  정위조군  시이성인종일행불리치중  수유영관  연처초연

靜(정)고요할, 깨끗하다,휴식하다/躁(조)조급할, 떠들다, 성급하다,시끄럽다/君(군)임금,남편,부모,아내,군자,어진이,조상의 경칭,그대,자네/輜(치)짐수레, 고요함


柰何萬乘之主, 而以身輕天下, 輕則失本, 躁則失君. 

나하만승지주  이이신경천하  경즉실본  조즉실군

柰(내)능금나무,(나)어찌, 어떻게



- 참고 : 무거움은 가벼움의 뿌리고, 고요함은 시끄러움의 뿌리다. 이런 이유로 군자는 종일 걸어도 짐을 나누지 않으며, 아무리 화려한 모습을 보아도 편히 머물며 초연하다. 어찌 세상의 주인으로서, 몸으로는 천하를 가벼이 하는가? 가벼우면 뿌리를 잃고, 성급하면 군자를 잃는다.



- 참고자료 : 무거운 것은 가벼운 것의 뿌리가 되고, 안정한 것은 조급한 것의 머리가 된다. 그러하므로 성인은 종일 걸어 다녀도 무거운 짐을 내려놓지 않고, 비록 영화로운 모습 속에 살더라도 한가로이 처하며 마음을 두지 않는다. 어찌 일만 수레의 주인으로서 하늘아래 그 몸을 가벼이 굴릴 수 있으리오? 가벼이 하면 그 뿌리를 잃고, 조급히 하면 그 머리를 잃는다.


* 해탈된 인간들일수록 무거운 멍에를 지닐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기(氣)를 타고 가볍게 붕붕 날아다닐 것이 아니라 이 땅의 모든 희노애락의 수고스러운 삶속에 그 뿌리를 박아야 한다는 것이다. 쉬운 해결은 금물이다. 무거운 짐을 질 줄 아는 자만이 가벼운 해방의 논리를 터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무거운 것은 가벼운 것의 뿌리가 된다” 함이다.


* 세상을 일시에 구원할 수 있는 수학공식을 다 풀어냈다 할지라도 오늘 여기 하루의 실천의짐은 무겁고 또 무겁기만 하다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 어떠한 방식으로든지 자리의 영관(榮觀)을 현실적으로 지속시키려는 집착이 있다. 즉, 그 영관의 지속에 연연하기 때문이다. 영관 속에 살면서도 그 영관에 초연한 삶의 자세를 유지하면모든 문제는 해결될 것이다.



- 준이해석 : 무거움은 가벼움의 뿌리가 되고, 고요함은 시끄러움을 낳는다. 이러함에 성인은 하루종일 무거운 짐(차)에서 떨어지지 않고 가는 것이다. 비록 영화로움을 접하더라도 이에 처하여 초연하다. 어찌 감히 만대의 수레의 주인(천자, 황제)으로서 몸으로 천하를 가벼이 할까? 가벼이 하면 근본을 잃고, 시끄러우면 임금을 잃는다(윗사람의 신의를 잃는다)


- 준이생각 : 성인은 어떤 사람일까? 굳이 무거운 것을 내려놓으려고 하지 않는 사람 ? 이와 비교 한다면 보통 사람들은 조금이라도 무거우면 내려놓을 궁리를 하는 사람 ? 역시나 여기서도 자신에게 주어진 길을, 짐을 묵묵히 짊어지고 꿋꿋이 가는 사람을 묘사하는 거 같다. 조바심내지 않고, 불평하지 않고, 시끄럽게 떠들지 않고 의연히 짊어지고 가는 성인은 왜 그런 것일까? 그 무거움이 어려움이 무르익으면 그것이 다시 가벼움이 되고 고요함은 시끄러움이 되고 다시 무거워지고 이러한 자연의 순리를 알고 있기에 굳이 조바심내지 않음이 아닐까 한다. 이를 순리에 따르지 않는다면 그 근본을 잃고 신의를 잃는 것이리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