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善行, 無轍迹, 善言, 無瑕謫, 善數, 不用籌策, 善閉, 無關楗而不可開, 

   선행  무철적  선언  무하적  선수  불용주책  선폐  무관건이불가개

轍迹-수레바퀴의 자국, 먼저 지나간 어떤 사물의 흔적(痕跡ㆍ痕迹)/轍(철)바퀴자국/迹(적)자취/瑕(하)허물,티,틈새, 멀다, 어찌/謫(적)귀양 갈, 꾸짖다, 책망하다, 벌하다,결점/籌(주)살,꽤,산가지, 제비, 꾀하다/策(책)꾀, 채찍/關(관)관계할,(완)당길/楗(건)문빗장


善結, 無繩約而不可解, 是以聖人常善救人, 故無棄人, 常善救物, 故無棄物, 

선결  무승약이불가해  시이성인상선구인  고무기인  상선구물  고무기물

繩(승)노끈/約(약)맺을,묶다,다발을 짓다,검소하게 하다, 아끼다, 멈추다 (요)부절, (적)기러기발/棄(기)버릴


是謂襲明, 故善人者, 不善人之師, 不善人者, 善人之資, 不貴其師, 

시위습명  고선인자  불선인자사  불선인자  선인지자  불귀기사

襲(습)엄습할,잇다,물려받다,인하다/資(자)재물, 자본, 바탕, 비용, 도움, 돕다, 취하다, 주다, 쓰다


不愛其資, 雖智大迷, 是謂要妙. 

불애기자  수지대미  시위요묘


- 참고 1: 잘 다니면 흔적이 남지않고, 잘 말하면 흠잡을 것이 없다. 잘 헤아리는 이는 꾀부리지 않는다. 잘 닫으면 빗장을 걸지 않아도 열리지 않으며, 잘 묶으면 밧줄을 쓰지 않아도 풀리지 않는다. 이렇게 성인은 항상 사람을 잘 구하니 사람을 버림이 없고, 물건을 잘 구하니 물건을 버림이 없다. 이를 일러 밝음을 입는다고 한다. 따라서 잘하는 자는 그렇지 못한 자의 스승이고, 잘 못하는 자는 잘하는 자에게 기댄다. 스승을 소중히 여기지 않고 기대는 이를 아끼지 않으면, 비록 알더라도 크게 모르는 바가 있으니, 이는 중요하고 알 수 없는 일이다.



- 참고자료 : 잘 가는 자는 자취를 남기지 아니하고, 잘 하는 말은 흠을 남기지 아니한다. 잘 헤아리는 자는 주산을 쓰지 아니하고, 잘 닫는 자는 빗장을 쓰지 않는데도 열 수가 없다. 잘 맺는 자는 끈으로 매지 않는데도 풀 수가 없다. 그러하므로 성인은 늘 사람을 잘 구제하며 그렇기 때문에 사람을 버리지 않는다. 그 사물을 잘 구제하며 그렇기 때문에 사물을 버리지 않는다. 이것을 일컬어 밝음을 잇는다고 한다. 그러므로 좋은 사람은 좋지 못한 사람의 스승이며, 좋지 못한 사람은 좋은 사람의 거울이다. 그 스승을 귀히 여기지 않고, 그 거울을 아끼지 아니하면 지혜롭다 할지라도 크게 미혹될 것이다. 이것을 일컬어 현묘한 요체라 한다.


* 선(善)이란 도덕적 의미에서 “선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잘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잘가는 자는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정말 위대하게 행동하는 자들은 자취를 남기지 않는다. 스스로 그러함을 따라갈 뿐이다. 사물은 자신이 가야할 길을 다갈 뿐이다. 그래서 “자취가 없다”고 말한 것이다. 언어는 그자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위대한 언어는 언어의 궤적을 남기지 아니한다. 언어는 느낌을 유발시키고, 곧 느낌의 대해 속으로 사라질 뿐이다. 언어는 실재가 아니다.


* “주책 籌策”이란 “주산” 즉, 셈을 하는 기구를 말한다. 우리말에 “주책이 없다”, “주책맞다”라는 표현은 바로 그 사람의 언행에 어떤 합리적인 “셈”이 없다는 뜻이다. 주책맞은 사람들은 “셈”이 안서기 때문에 그 행동을 예상하기 어려운 것이다. 정말 수학을 잘하는 사람은 수를 쓰지 않는다. 위대한 과학자의 영감은 인식되지 못한 세계에 대한 의문이요, 새로운 우주에 대한 통찰이다. 과학은 영감이다.


* 항상 백성들의 마음을 욕심이 없게 하고, 의혹됨이 없게 하는 것 그것이 곧 “사람을 버리지 않는다.”함이다. 인간의 구원은 반드시 사물의 구원과 더불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천지자연의 이치는 인간을 고립시키지 않는다. 인간이 인간다웁고자 한다면, 물론 우리 주변의 모든 사물도 사물답고자 하는 것이다. 밝음은 어둠과 끊임없이 순환적인 관계에 놓여있지만 성인이 해야 할일은 곧 그 밝음을 이어가는 것이다.



- 준이해석 : 좋은 행동은 흔적을 남기지 않고, 좋은 말은 꾸짖을 허물이 없고, 셈을 잘 하면 산가지(셈할 때 쓰는 도구)를 쓰지 않는다. 잘 닫으면 문빗장을 당기지 않고서는 열 수 없고, 잘 묶으면 끈을 묶지 않고서는 풀 수 없다. 이리하야 성인은 항상 사람을 잘 구하기에 고로 사람을 버리지 않고, 물건을 잘 구하기에 고로 물건을 버리지 않는다. 이를 일컬어 습명(襲明,밝음을 잇다)이라 하고 고로 선인한 사람은 선인하지 않은 사람의 스승이고, 선인하지 않은 자는 선인의 재물이다.  그 스승을 귀히 여기지 않고 그 재물을 사랑하지 않으면 비록 슬기롭다 해도 크게 헤맬 것이고, 이를 일컬어 要妙라고 한다.


- 준이생각 : 여기서 사용된 선善은 ‘착함’이라기 보다는 ‘잘, 능숙한’이러한 의미로 사용되어 지고 있다고 보이나, 결국엔 이렇게 잘 행동하고, 말하고, 셈도 하고, 하는 것처럼 성인의 반열에 올라 있는 사람은 사람이나 물건을 구함에도 ‘잘’ 구하기에, 나중에 버릴 일이 없다는 것이다. 실은 필요하다고 구했다가, 당장 필요치 않게 되면 내치고 버리는 것이 세상 평범한 사람들의 사는 방식이니, 결국엔 ‘잘’하지 못하기에 원망도 하고, 원한도 사고 그러는 것이 아닐까? 노자의 생각과는 좀 벗어나는 느낌이 들지만 신중히 ‘잘’하는 것이 결국 ‘착하게’사는 것과 닿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여기서 나온 아주 어려운 말이 襲明, 要妙. 이 말들은 나중에라도 다시 생각해 봐야 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