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內篇 2 齊物論 16~18


27` 드러나는 것은 참된 것이 아니다 (내편:2.제물론,16) 

- 장자(내편) ; 제2편 제물론[16]- 

위대한 도는 말로 표현하지 않으며, 위대한 이론은 말로 나타내지 않는 것이다. 위대한 사랑(仁)은 사랑하지 않는 듯하며, 위대한 청렴은 그 모습을 드러내지 않으며, 위대한 용기는 남을 해치지 않는다. 

도가 밝게 드러난다면 도가 아닌 것이며, 말이 이론화하면 불충분한 것이다. 사랑을 늘 한다면 완전한 것이 못되며, 청렴함이 분명히 드러난다면 믿을 수 없는 것이며, 용기가 남을 해친다면 완전한 것이 못된다. 이 다섯 가지를 버리지 않고 있어야만 도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의 지혜가 그의 지혜로써는 알 수 없는 곳에 머물러 있게 되었다면 지극한 경지에 이른 것이다. 

어느 누가 말로 표현되지 않은 이론이나, 도의 모습을 지니지 않은 도를 알고 있는가? 만약 그런 것을 잘 아는 이가 있다면 그를 자연의 보고인 천부(天府)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물을 부어도 차는 일이 없고, 퍼내도 마르는 일이 없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 근원은 알 수가 없으니, 이러한 경지를 바로 빛을 싸서 감추는 보광이라 하는 것이다. 


- 莊子(內篇) ; 第2篇 齊物論[16]- 

夫大道不稱, 大辯不言, 大仁不仁, 大廉不嗛, 大勇不忮. 道昭而不道, 言辯而不及, 仁常而不周, 廉淸而不信, 勇忮而不成. 五者园而幾向方矣. 

故知止其所不知, 至矣. 孰知不言之辯, 不道之道? 若有能知, 此之謂天府. 注焉而不滿, 酌焉而不竭, 而不知其所由來, 此之謂葆光. 

(부대도부칭, 대변불언, 대인불인, 대렴불겸, 대용불기. 도소이부도, 언변이불급, 인상이불주, 렴청이불신, 용기이불성. 오자완이기향방의.

고지지기소부지, 지의. 숙지불언지변, 부도지도? 약유능지, 차지위천부. 주언이불만, 작언이불갈, 이부지기소유래, 차지위


稱 일컬을 칭,저울 칭  1. 일컫다 2. 부르다 3. 칭찬하다(稱讚--) 4. 저울질하다 5. 무게를 달다 6. 드러내다 7. 들다, 거행하다(擧行--) 8. 걸맞다, 부합하다(符合--: 들어맞듯 사물이나 현상이 서로 꼭 들어맞다) 9. 알맞다...

廉 청렴할 렴,청렴할 염,살필 렴,살필 염 1. 청렴하다(淸廉--), 결백하다(潔白--) 2. 검소하다(儉素--), 검박하다(儉朴--: 검소하고 소박하다) 3. 살피다, 살펴보다 4. 날카롭다, 예리하다(銳利--) 5. 끊다, 끊어지다 6. 곧다, 바르다 7. 값싸다,...

嗛 겸손할 겸,흉년 들 겸,원한 품을 함,마음에 맞을 겹  1. 겸손하다(謙遜ㆍ謙巽--)(=謙) 2. 흉년(凶年) 들다(=歉) 3. 모자라다, 부족하다(不足--) 4. 입 속에 넣다 5. 쥐의 볼 속(=협낭(頰囊)) a. 원한(怨恨)을 품다 (함) b. 싫어하다 (함) c. 머금다 (함) d....

忮 해칠 기 1. 해치다, 질투하다 2. 거스르다 3. 흉악하다(凶惡ㆍ兇惡 --), 사납다 4. 뜻이 굳다, 고집스럽다(固執---) 5. 원망하다(怨望--) 6. 악(惡)

夫 [fū] 1.[명사] 성인 남자. 사나이. [성년 남자에 대한 통칭] ↔[妇(fù)]  2.[명사] 남편. 3.[명사][옛말] 육체노동에 종사하는 사람. 

夫 [fú]  1.[대명사][문어] 저. 그. 이. 2.[대명사][문어] 그 (사람). 3.[조사] 대저. 무릇. [문장의 발어사] 

园 깎을 완,동산 원  1. 깎다 2. 닳다 3. 새기다 4. 조각하다(彫刻ㆍ雕刻--) 5. 도려내다 6. 파내다 7. 가파르다 a. 동산(큰 집의 정원에 만들어 놓은 작은 산이나 숲) (원) b. 뜰 (원) c. 밭 (원) d. 구역(區域) (원) e. 능...

酌 술 부을 작,잔질할 작 1. 술을 붓다, (술을)따르다 2. 잔질하다(盞---: 잔에 술을 따르다) 3. (술을)마시다 4. 퍼내다, 푸다 5. 가리다, 선택하다(選擇--) 6. 짐작하다(斟酌--) 7. 참작하다(參酌--), 헤아리다 8. 양치질하다...

竭 다할 갈,다할 걸  1. 다하다 2. 없어지다 3. 끝나다 4. 엉기다(한 덩어리가 되면서 굳어지다) 5. 막히다 6. 제거하다(除去--), 없애다 7. 무너지다, 망가지다(부서지거나 찌그러져 못 쓰게 되다) 8. (물이)마르다 9. 짊어지다...

葆 더부룩할 보  1. (풀이)더부룩하다 2. 보전하다(保全--) 3. 칭찬하다(稱讚--) 4. 뿌리 5. 움돋이 6. 깃으로 된 장식(裝飾) 7. 채소(菜蔬) 8. 포대기 9. 보배 10. 성채(城砦: 성과 요새를 아울러 이르는 말) //[bǎo] 1.[형용사][문어] 풀이 무성하다. 2.[동사][문어] 유지하다. 지키다. 보유하다. 3.[명사] (Bǎo) 성(姓).



28` 태양보다 밝다면 거리낌이 없다 (내편:2.제물론,17) 

- 장자(내편) ; 제2편 제물론[17]- 

옛날에 요가 순에게 물었다. 

“나는 종, 회, 서오 세 나라를 정벌하려 하네. 그러나 임금 자리에 있으면서도 어쩐지 마음이 확연하지 않으니 왜 그런 것일까?” 

순이 말했다. “세나라는 아직 쑥풀이 무성한 미개한 부족 국가입니다. 

마음이 꺼림칙한 것은 어쩐 일이십니까? 옛적에 10개의 태양이 일시에 만물을 샅샅이 비춘 일이 있습니다. 하물며 마음의 덕이 태양보다 밝다면 무슨 거리낌이 있겠습니까?” 


- 莊子(內篇) ; 第2篇 齊物論[17]- 

故昔者堯問於舜曰:「我欲伐宗.膾.胥敖, 南面而不釋然. 其故何也?」 舜曰:「夫三子者, 猶存乎蓬艾之間. 若不釋然, 何哉? 昔者十日竝出, 萬物皆照, 而況德之進乎日者乎!」 

(고석자요문어순왈:아욕벌종.회.서오, 남면이불석연. 기고하야? 순왈:부삼자자, 유존호봉애지간. 약불석연, 하재? 석자십일병출, 만물개조, 이황덕지진호일자호!)


膾 회 회  1. 회(膾: 얇게 썬 고기) 2. 회치다 3. 얇게 썰다

胥 서로 서  1. 서로, 함께 2. 다, 모두 3. 잠깐 동안 4. 아전(衙前: 조선 시대(時代)에, 중앙과 지방의 관아에 속한 구실아치) 5. 재주꾼 6. 게장, 게젓 7. 악관(樂官) 8. 어조사(語助辭)(시구의 무의미한 조사) 9....

敖 거만할 오  1. 거만하다(倨慢--) 2. 놀다 3. 희롱하다(戱弄--) 4. 시끄럽다

釋 풀 석,기뻐할 역  1. 풀다 2. 설명하다(說明--) 3. 풀리다, 깨닫다 4. (의심이나 오해가)사라지다, 벗다 5. 용서하다(容恕--) 6. 놓아주다, 석방하다(釋放--) 7. 내놓다, 내버리다 8. 쫓기다, 추방하다(追放--) 9. (쌀을)씻다...

蓬 쑥 봉  1. 쑥(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2. 뜸(물에 띄워서 그물, 낚시 따위의 어구를 위쪽으로 지탱하는 데에 쓰는 물건) 3. (과일의)껍질 4. 봉래산(蓬萊山) 5. 흐트러지다 6. 떠돌아다니다 7. 성(盛)하게 일어나다

艾 쑥 애,다스릴 예 1. 쑥, 약쑥 2. 미모(美貌) 3. 푸른빛 4. 늙은이 5. 햇수, 나이 6. 남색(男色: 비역. 사내끼리 성교하듯이 하는 짓) 7. 늙다 8. 다하다, 끝나다 9. 갚다, 보답하다(報答--) 10. 예쁘다 11. 기르다, 양... 

竝 나란히 병,곁 방,짝할 반  1. 나란히 2. 모두 3. 나란히 서다 4. 견주다(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서로 대어 보다) 5. 함께 하다 6. 겸하다(兼--) 7. 아우르다 8. 떼지어 모이다 9. 어울리다 10. 병합하다(倂合--), 합...

南面 [nánmiàn] 1.[명사] (~儿) 남쪽. 2.[동사][문어] 남면하다. 얼굴을 남쪽으로 향하다. //예전에 임금이 남쪽을 향(向)하여 앉아서 뭇 신하(臣下)의 조례(朝禮)를 받았던 데서,  ①군주(君主)가 됨을 이르는 말  ②남쪽으로 향함  ③남쪽에 있는 면(面) ④임금이 앉던 자리의 방향




29` 분별은 의미 없는 것이다 (내편:2.제물론,18) 도망 가는 물고기` 미인` 아름다움` 미의 기준` 

- 장자(내편) ; 제2편 제물론[18]- 

설결이 왕예에게 물었다. “물건은 모두가 다 같다는 말의 근거가 무엇입니까?” 

“내가 그 것을 어찌 알겠는가?” 

“그렇다면 물건에 대해 아는 것이 없다는 말씀이십니까?” 

“내가 어찌 그것을 알겠느냐? 내가 말하는 안다는 것이 알지 못하는 것이 아님을 그 어찌 알겠느냐? 내가 말하는 알지 못한다는 것이 아는 것이 아님을 어찌 알겠느냐? 

사람이 습지에서 자면 허리에 병이 나고 죽게 되는데 미꾸라지도 그렇더냐? 사람은 나무 위에서 두려워 벌벌 떠는데 원숭이도 그렇더냐? 이 들 중 어느 것이 바른 거처를 알고 있는 것이냐? 

사람들은 소 ·양 ·개 ·돼지를 잡아먹고, 고라니와 사슴은 부드러운 풀을 먹고, 지네는 뱀을 잘 먹고, 솔개와 까마귀는 쥐를 좋아한다. 이들 중에서 어느 것이 올바른 맛을 알고 있는 것이냐? 

원숭이는 편저의 암컷이 되고, 고라니는 사슴과 교미를 하며, 미꾸라지는 물고기와 어울려 논다. 

모장과 여희는 사람들이 미인이라 하지만 물고기는 그들을 보면 물 속 깊이 들어가고, 새는 그들을 보면 높이 날아가고, 고라니와 사슴은 그들을 보면 뛰어 달아난다. 이들 중 누가 천하의 올바른 아름다움을 알고 있는 것이냐? 어짊과 의로움의 기준이나 옳고 그른 판단의 방향이 어지러이 뒤섞여 있다. 내 어찌 그 분별을 알 수 있겠느냐?” 

 

- 莊子(內篇) ; 第2篇 齊物論[18]- 

齧缺問乎王倪曰:「子知物之所同是乎?」 

曰: 「吾惡乎知之!」 

「子知子之所不知邪?」 

曰: 「吾惡乎知之!」 

「然則物无知邪?」 

曰: 「吾惡乎知之! 雖然嘗試言之. 庸詎知吾所謂知之非不知邪? 庸詎知吾所謂不知之非知邪? 且吾嘗試問乎汝:民濕寢則腰疾偏死, 鰌然乎哉? 木處則惴慄恂懼, 猨猴然乎哉? 三者孰知正處? 民食芻豢, 麋鹿食薦, 蝍蛆甘帶, 鴟鴉嗜鼠, 四者孰知正味? 猨猵狙以爲雌, 麋與鹿交, 鰌與魚游. 毛嬙.西施, 人之所美也. 魚見之深入, 鳥見之高飛, 麋鹿見之決驟. 四者孰知天下之正色哉? 自我觀之, 仁義之端, 是非之塗, 樊然殽亂, 吾惡能知其辯!」 

(설결문호왕예왈:자지물지소동시호?

왈:오오호지지!

자지자지소부지야?

왈:오오호지지!

연즉물무지야?

왈:오오호지지! 수연상시언지. 용거지오소위지지비부지야? 용거지오소위부지지비지야? 차오상시문호여:민습침즉요질편사, 추연호재? 목처즉췌율순구, 원후연호재? 삼자숙지정처? 민식추환, 미록식천, 즉저감대, 치아기서, 사자숙지정미? 원편저이위자, 미여록교, 추여어유. 호상.서시, 인지소미야. 어견지심입, 조견지고비, 미록견지혈취. 사자숙지천하지정색재? 자아관지, 인의지단, 시비지도, 변연효난, 오오능지기변!)


齧 물 설  1. 물다 2. 깨물다 3. 침식하다(侵蝕--: 세력이나 범위 따위가 점점 줄어들다) 4. 씹다 5. 갉아먹다

缺 이지러질 결,머리띠 규  1. 이지러지다(한쪽 귀퉁이가 떨어져 없어지다) 2. 없다 3. 없어지다 4. 모자라다 5. 부족하다(不足--) 6. (할 일을)빠뜨리다 7. 비다 8. 아니하다 9. 나오지 않다 10. 빠지다 a. 머리띠 (규)

倪 어린이 예,다시 난 이 예  1. 어린이 2. 우리들 3. 끝, 가, 가장자리 4. 다시 난 이(=鯢) 5. 성가퀴(城--: 성 위에 낮게 쌓은 담) 6. 가냘프다 7. 연약하다(軟弱--) 8. 흘겨보다 9. 오만하다(傲慢--) 10. 나누다

邪 간사할 사, 그런가 야, 나머지 여, 느릿할 서 1. 간사하다(奸邪--: 마음이 바르지 않다)  2. 사악하다(邪惡--) 3. 기울다, 비스듬하다 4. 바르지 아니하다 5. 사사롭다(私私--) 6. 사기(邪氣) 7. 품행(品行)이 부정(不正)한 사람 8. 사사(私私)로운 마음 a. 그런가 (야) b. 어여차 (야) c. 어조사(語助辭) (야) d. 땅 이름 (야) e. 나머지 (여) f. 느릿하다 (서) 

詎 어찌 거  1. 어찌 2. 부터 3. 몇 4. 적어도 5. 진실로(眞實-) 6. 멈추다 7. 그치다 8. 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到達--)

濕 젖을 습,나라 이름 합,물 이름 답  1. 젖다(물이 배어 축축하게 되다) 2. 축축하다 3. 마르다, 말리다 4. 낮추다 5. 스스로 비하하다(卑下--) 6. 습기(濕氣) 7. 물기 8. 자연(自然) 그대로의 것 a. 나라 이름 (합) b. 물 이름 (답)

偏 치우칠 편  1. 치우치다, 쏠리다, 기울다 2. 편향되다(偏向--), 편중되다(偏重--) 3. 먼저 실례하다(失禮--) 4. 속이다 5. 나부끼다 6. 곁, 가 7. 반, 절반(折半) 8. 한쪽, 한편 9. 하나, 한 사람 10. 보좌(補佐ㆍ輔佐)...

鰌 미꾸라지 추  1. 미꾸라지(미꾸릿과의 민물고기) 2. 능가하다(凌駕--: 능력이나 수준 따위가 비교 대상을 훨씬 넘어서다) 3. 밟다

惴 두려워할 췌,꿈틀거릴 천  1. 두려워하다 2. 두려워 벌벌 떨다 a. (벌레가)꿈틀거리다 (천)

慄 떨릴 률,떨릴 율  1. 떨리다 2. 떨다 3. 두려워하다 4. 슬퍼하다, 비통해 하다 5. 오싹하다, 소름이 끼치다

恂 정성 순,엄할 준  1. 정성(精誠), 참된 마음 2. 미쁘다, 진실(眞實)하다고 하다 3. 진실(眞實)하게 여기다 4. 여러 가지 사물(事物)의 형용(形容) a. 엄하다(嚴--: 매우 철저하고 바르다) (준) b. 두려워하다, 두려워서...

懼 두려워할 구  1. 두려워하다, 두렵다 2. 걱정하다 3. 염려하다(念慮--) 4. 으르다(무서운 말이나 행동으로 위협하다), 위협하다(威脅--) 5. 경계하다(警戒--), 조심하다 6. 두려움

猨 원숭이 원  1. 원숭이 2. 짐승 이름

猴 원숭이 후  1. 원숭이

芻 꼴 추  1. 꼴(말이나 소에게 먹이는 풀) 2. 꼴꾼(말이나 소에게 먹일 꼴을 베는 사람) 3. 짚(이삭을 떨어낸 줄기와 잎) 4. 풀 먹는 짐승 5. 기르다

豢 기를 환  1. (가축을)기르다 2. 치다 3. (음식을)잘 이바지하다 4. (미끼로)꾀다 5. 탐하다(貪--) 6. 가축(家畜)

芻豢추환 ①풀을 먹는 소ㆍ말ㆍ양 등(等)과 곡식(穀食)을 먹는 개ㆍ돼지 등(等)을 통틀어 이르는 말  ②가축(家畜)을 기르는 일  ③썩 잘차린 음식(飮食)을 이르는 말

麋 큰 사슴 미  1. 큰 사슴 2. 눈썹(=眉) 3. 물가(=湄) 4. 궁궁이(芎藭-: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蘼) 5. 죽, 미음(米飮: 푹 끓여 체에 걸러 낸 걸쭉한 음식)(=糜) 6. 부서지다 7. 짓무르다(채소나 과일 따위가 너무...

薦 천거할 천,꽂을 진  1. 천거하다(薦擧--) 2. 드리다, 올리다 3. 늘어놓다, 진술하다(陳述--) 4. 깔다 5. 우거지다 6. 견뎌 내다, 이겨 내다 7. 줄곧, 계속(繼續) 8. 거듭 9. 자리, 깔개, 거적(짚으로 쳐서 자리처럼 만든 물건)...

蝍 지네 즉  1. 지네 2. 잠자리 3. 자벌레 4. 척확(尺蠖)

蛆 구더기 저  1. 구더기(파리의 애벌레)

鴟 올빼미 치  1. 올빼미(올빼밋과의 새) 2. 수리부엉이(올빼밋과의 새) 3. 솔개(수릿과의 새) 4. 술 부대, 술 단지(목이 짧고 배가 부른 작은 항아리) 5. 가벼이 여기다

鴉 갈까마귀 아  1. 갈까마귀 2. 큰부리까마귀 3. 검다

嗜 즐길 기  1. 즐기다 2. 좋아하다 3. 탐하다(貪--)

猵 수달 편  1. 수달(족제비과에 속하는 짐승) 2. 짐승 이름(원숭이를 닮았으며 대가리는 개를 닮았음)

狙 원숭이 저,엿볼 저  1. (긴팔)원숭이 2. 엿보다 3. 노리다 4. 교활하다(狡猾--) 5. 찾다

決 결단할 결,빠를 혈  1. 결단하다(決斷--), (승부를)가리다 2. 결정하다(決定--), 분별하다(分別--), 판단하다(判斷--) 3. 과감하다(果敢--) 4. 틔우다, 흐르게 하다 5. 터지다, 열리다 6. 자르다, 절단하다(切斷ㆍ截斷--)...

驟 달릴 취  1. 달리다 2. 빠르다 3. 몰아가다 4. 갑작스럽다 5. 자주 6. 여러 번 7. 갑자기 8. 돌연히(突然-), 홀연히(忽然-)

樊 울타리 번  1. 울타리 2. 새장(-欌: 새를 넣어 기르는 장), 우리 3. 뱃대끈(마소의 배에 걸쳐 조르는 끈) 4. 농(버들, 싸리 따위로 만든 그릇) 5. 가, 곁, 변두리 6. 어지러운 모양 7. 에워싸다, 둘러치다 8. 어수선하다

殽 섞일 효  1. 섞이다 2. 섞다 3. 어지럽다 4. 어지럽히다 5. 본받다, 배우다 6. 뼈 붙은 살 7. 안주(按酒)(=肴) 8. 반찬(飯饌) 9. 보람 10. 효과(效果)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