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內篇 4 人間世 10~12


53` 상대에 맞추어 무리 없이 처신해야 한다 (내편:4.인간세,10) 

- 장자(내편) ; 제4편 인간세[10]- 

안합이 위나라 영공의 태자의 스승이 되어 거백옥을 찾아가 물었다. 

“한사람이 있는데 그의 덕은 천성적으로 각박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 그와 함께 무도한 짓을 하면 곧 나라가 위태로워집니다. 그의 지혜는 남의 잘못을 알기에 알맞은 정도이고, 자기의 잘못은 알지 못합니다. 이런 사람을 어떻게 대했으면 좋겠습니까?” 

거백옥이 대답했다.  “경계하고 조심하십시오. 그리고 당신의 몸을 올바로 가지십시오. 태도는 순순히 따르는 것이 좋으며, 마음은 온화한 것이 좋습니다. 그렇지만 이 두 가지에도 조심함이 필요합니다. 

순순히 따르되 남에게 끌려 들어가지 않아야 하며, 온순함은 남에게 드러내지 않아야 합니다. 온순히 따르는 태도로 남에게 끌려 들어가다 보면 멸망을 당하고 낭패를 보게 됩니다. 마음의 온화함을 남에게 드러내다 보면, 나쁜 평판이 생기고 재난을 당하게 됩니다. 

상대방이 아이와 같다면 그와 더불어 아이같이 되십시오. 상대방이 분수 없는 사람이라면 더불어 분수 없이 행동하십시오. 상대방이 종잡을 수 없는 사람이라면 그와 더불어 종잡을 수 없이 행동하십시오. 여기에 통달하게 되면 아무 탈이 없게 될 것입니다.”

 

- 莊子(內篇) ; 第4篇 人間世[10]- 

顔闔將傅衛靈公太子, 而問於蘧伯玉曰:「有人於此, 其德天殺. 與之爲無方, 則危吾國. 與之爲有方, 則危吾身. 其知適足以知人之過, 而不知其所以過. 若然者, 吾奈之何?」 

蘧伯玉曰:「善哉問乎? 戒之, 愼之, 正汝身也哉! 形莫若就, 心莫若和. 雖然, 之二者有患. 就不欲入, 和不欲出. 形就而入, 且爲顚爲滅, 爲崩爲蹶. 心和而出, 且爲聲爲名, 爲妖爲孼. 彼且爲嬰兒. 亦與之爲嬰兒. 彼且爲無町畦, 亦與之爲無町畦, 彼且爲無崖, 亦與之爲無崖. 達人入於無疵. 

(안합장부위령공태자, 이문어거백옥왈:유인어차, 기덕천살. 여지위무방, 즉위오국. 여지위유방, 즉위오신. 기지적족이지인지과, 이부지기소이과. 약연자, 오나지하?

거백옥왈:선재문호? 계지, 진지, 정여신야재! 형막약취, 심막약화. 수연, 지이자유환. 취불욕입, 화불욕출. 형취이입, 차위전위멸, 위붕위궐. 심화이출, 차위성위명, 위요위얼. 피차위영아. 역여지위영아. 피차영아. 피차취무정휴, 역여지위무정휴, 피차위무애, 역여지위무애. 달입어어무자.)


闔 문짝 합  1. 문짝(門-) 2. 거적(짚으로 쳐서 자리처럼 만든 물건), 뜸(짚, 띠, 부들 따위로 거적처럼 엮어 만든 물건) 3. 온통 4. 전부의(全部-) 5. 통할하다(統轄--: 모두 거느려 다스리다) 6. 어찌 ~아니하랴...

盍 덮을 합,할단새 갈  1. 덮다 2. 합하다(合--) 3. 모이다 4. 어찌 아니하다 a. 할단새(鶡鴡-: 꿩과에 속하는 새의 하나) (갈)

傅 스승 부 1. 스승, 사부(師傅) 2. 수표(手票), 증서(證書) 3. 돌보다, 보좌하다(補佐ㆍ輔佐--) 4. 가까이하다 5. 붙다, 부착하다(附着ㆍ付着--) 6. 바르다, 칠하다 7. 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到達--)...

衛 지킬 위  1. 지키다 2. 보위하다(保衛--) 3. 호위하다(護衛--) 4. 막다 5. 아름답다 6. 좋다 7. 의심하다(疑心--) 8. 경영하다(經營--) 9. 덮다 10. 지킴 11. 경영(經營) 12. 나라의 이름 13. 성(姓)의 하나

靈 신령 령,신령 영  1. 신령(神靈) 2. 혼령(魂靈), 혼백(魂魄), 영혼(靈魂) 3. 귀신(鬼神), 유령(幽靈), 도깨비 4. 정기(精氣), 영기(靈氣) 5. 정신(精神), 감정(感情) 6. 존엄(尊嚴) 7. 하늘, 천제(天帝) 8. 영적인 존재(存在)...

蘧 패랭이꽃 거,패랭이꽃 구  1. 패랭이꽃 2. 형태 있는 모양 a. 패랭이꽃 (구) b. 연꽃 (구) c. 줄버섯 (구) d. 주막, 여관 (구)

顚 엎드러질 전,이마 전 1. 엎드러지다 2. 뒤집히다 3. 거꾸로 하다 4. 미혹하다(迷惑--) 5. 넘어지다 6. 미치다(공간적 거리나 수준 따위가 일정한 선에 닿다), 닿다 7. 차다 8. 채우다 9. 머리 10. 이마(앞머리) 11. 정수리(頂--:...

蹶 넘어질 궐,일어설 궐,뛰어 일어날 궤  1. 넘어지다 2. 뛰다 3. 거꾸러뜨리다 4. 밟다 5. 차다 6. 일어서다 7. 달리다 a. 뛰어 일어나다 (궤) b. 움직이다 (궤) c. 허둥지둥하다( 궤)

妖 요사할 요  1. 요사하다(夭死--: 젊은 나이에 죽다) 2. 요염하다(妖艶--) 3. 아리땁다 4. 괴이하다(怪異--) 5. 재앙(災殃) 6. 요괴(妖怪)

孼 서자 얼  1. 서자(庶子), 첩의 소생(所生) 2. 재앙(災殃), 근심 3. 천민 4. 움(나무를 베어 낸 뿌리에서 나는 싹), 움돋이 5. 거스름, 불효(不孝) 6. 업(業), 과보(果報) 7. 불길한, 흉악한 8. 꾸미다, 치장하다(治粧--)...

嬰 어린아이 영  1. 어린아이 2. 갓난아이 3. 두르다 4. 목에 걸다 5. 잇다 6. 지니다 7. 더하다 8. 닿다 9. 안다 10. 연약하다(軟弱--)

町  밭두둑 정,빈 터 전  1. 밭두둑, 밭두렁(밭이랑의 두둑한 부분) 2. 밭, 경작지(耕作地) 3. 경계(境界) 4. 지적(地籍) 단위(單位)(=3,000坪) 5. 평지(平地) a. 빈 터 (전)

畦 밭두둑 휴  1. 밭두둑, 밭두렁(밭이랑의 두둑한 부분) 2. 지경(地境: 땅의 가장자리, 경계) 3. 쉰 이랑(밭 넓이 단위)

崖 언덕 애 1. 언덕 2. 벼랑, 낭떠러지 3. 모, 모서리(물체의 모가 진 가장자리) 4. 끝, 경계(境界), 지경(地境: 땅의 가장자리, 경계) 5. 물가, 기슭, 물기슭 6. 눈초리 7. 모나다(사물의 모습이나 일에 드러난 표가...

疵 허물 자,노려볼 제,앓을 새  1. 허물 2. 흠, 결점(缺點) 3. 흉 4. 흑반(黑斑), 혹 5. 재앙(災殃) 6. 흉보다 7. 알랑거리다 8. 헐뜯다, 비난하다(非難--) a. 노려보다 (제) b. 앓다 (새)








54` 상대방의 본성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 (내편:4.인간세,11) 

- 장자(내편) ; 제4편 인간세[11]- 

“당신은 사마귀를 아십니까? 화가 나서 그의 앞발을 벌리고 수레바퀴 앞에 막아서서 자기가 바퀴에 깔려 죽을 것도 모르고 물러서지 않습니다. 자기 재질의 훌륭함만을 믿고 있는 것입니다. 경계하고 조심해야 할 일입니다. 

자기의 훌륭함을 크게 뽐내면서 상대방의 권위를 건드리면 위태로워집니다. 호랑이를 기르는 사람은 호랑이에게는 감히 산 것을 먹이로 주지 않는데, 호랑이가 산 먹이를 죽이는 사이에 사나움이 되살아날 것이기 때문입니다. 호랑이에게 먹이를 통째로 주지 않는데, 그것은 먹이를 찢는 사이에 또한 사나움이 되살아날 것이기 때문입니다. 호랑이의 배고픔과 배부름을 살펴 그 사나운 마음이 수그러들게 해줍니다. 

사람과 호랑이는 종류가 다른 동물이지만, 호랑이가 자기를 길러주는 사람에게는 잘 보이려하는 것은 호랑이의 성질에 따라 맞추어 주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호랑이가 자기를 길러주는 사람을 죽이는 것은 호랑이의 성질을 거슬렀기 때문입니다. 

말을 사랑하는 사람은 바구니에 똥을 받고, 큰 조개 껍질에 오줌을 받습니다. 그러나, 모기나 등에가 말에 앉아 있어 그것을 잡으려고, 갑자기 손바닥으로 말의 등을 치면, 말은 놀라 재갈을 부수고 사람의 머리를 깨거나 가슴을 떠받습니다. 노여움이 생겨 사랑이 잊혀지기 때문입니다. 어찌 조심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 莊子(內篇) ; 第4篇 人間世[11]- 

「汝不知夫螳螂乎? 怒其臂以當車轍, 不知其不勝任也, 是其才之美者也. 戒之, 愼之! 績伐而美者以犯之, 幾矣. 

「汝不知夫養虎者乎? 不敢以生物與之, 爲其殺之之怒也. 不敢以全物與之, 爲其決之之怒也. 時其飢飽, 達其怒心. 虎之與人異類而媚養己者, 順也. 故其殺之者, 逆也. 

「夫愛馬者, 以筐盛矢, 以蜃盛溺. 適有蚊虻僕緣, 而拊之不時, 則缺衝毁首碎胸. 意有所至而愛有所亡, 可不愼邪!」  

(여부지부당랑호? 노기비이당차차러, 부지기불승임야, 시기재지미자야. 계지, 진지! 적벌이미자이범지, 기의.

여부지부양호자호? 불감이생물여지, 위기살지지노야. 불감이전물여지, 위기결지지노야. 시기기포, 달기노심. 호지여인이류이미양기자, 순야. 고기살지자, 역야.

부애마자, 이광성시, 이신성뇨. 적유문맹복연, 이부지불시, 즉결충훼수쇄흉. 의유소지이애유소망, 가불신야!)


螳螂 [tángláng]  1.[명사][동물] 사마귀(류). 버마재비.

臂 팔 비  1. 팔(어깨와 손목 사이의 부분) 2. 팔뚝 3. 쇠뇌(여러 개의 화살이나 돌을 잇따라 쏘는 큰 활) 자루(끝에 달린 손잡이)

轍 바퀴 자국 철  1. 바퀴 자국 2. 궤도(軌道) 3. 차도(車道) 4. 흔적(痕跡ㆍ痕迹) 5. 노선(路線) 6. 진로 7. 행적(行跡ㆍ行績ㆍ行蹟)

美 [měi] 1.[형용사] 아름답다. 예쁘다. 곱다. 어여쁘다. 2.[형용사] 좋다. 훌륭하다. 3.[동사] 미화하다. 아름답게 하다〔가꾸다•꾸미다〕.

績 길쌈할 적  1. 길쌈하다(실을 내어 옷감을 짜다) 2. 깁다(떨어지거나 해어진 곳을 꿰매다) 3. 뽑다, 잣다(물레 따위로 섬유에서 실을 뽑다) 4. 삼다 5. 잇다 6. 방적(紡績) 7. 공적(功績) 8. 성과(成果) 9. 일 10....

伐 칠 벌  1. 치다, 정벌하다(征伐--) 2. 베다 3. (북을)치다 4. 찌르다, 찔러 죽이다 5. 비평하다(批評--) 6. 모순되다(矛盾--), 저촉되다(抵觸--) 7. 무너지다 8. 자랑하다 9. 치료하다(治療--) 10. 방패(防牌ㆍ旁牌)...

飢 주릴 기  1. 주리다, 굶주리다 2. 굶기다 3. 모자라다, 결핍되다(缺乏--) 4. 흉년(凶年) 들다 5. 굶주림 6. 기근(飢饉ㆍ饑饉), 흉작(凶作)

飽 배부를 포  1. 배부르다 2. 속이 꽉 차다 3. 옹골지다 4. 옹골차다 5. (내용이)충실하다(充實--) 6. 물리다 7. 가득 차다 8. 만족하다(滿足--) 9. 착복하다(着服--) 10. 배불리 11. 족히 12. 충분히

媚 아첨할 미,예쁠 미  1. 아첨하다(阿諂--) 2. 예쁘다 3. 아양을 떨다 4. 아름답다 5. 사랑하다 6. 요염하다(妖艶--) 7. 좇다 8. 아첨(阿諂) 9. 아양 10. 요괴(妖怪) 11. 천천히

筐 광주리 광 1. 광주리(대, 싸리, 버들 따위를 재료로 하여 만든 그릇) 2. 평상(平床: 네모진 침상) 3. 작은 비녀(여자의 쪽 찐 머리가 풀어지지 않도록 꽂는 장신구)

矢 화살 시  1. 화살 2. 산가지(算--: 수효를 셈하는 데에 쓰던 막대기) 3. 똥, 대변(大便) 4. 곧다, 똑바르다 5. 정직하다(正直--) 6. 베풀다(일을 차리어 벌이다, 도와주어서 혜택을 받게 하다), 늘어놓다 7. 시...

蜃 큰 조개 신 1. 큰 조개(판새류의 연체동물 총칭) 2. 대합조개(大蛤--: 백합과의 조개) 3. 무명조개(백합(白蛤), 백합과의 조개) 4. 상여(喪輿: 사람의 시체를 실어서 묘지까지 나르는 도구) 5. 제기(祭器: 고기를...

溺 빠질 닉,빠질 익,오줌 뇨,오줌 요,약할 약 1. 빠지다 2. 빠뜨리다 3. 그르치다 4. 지나치다, 정도를 넘다 a. 오줌, 소변(小便) (뇨) b. (오줌을)누다 (뇨) c. 약하다(弱--)(=弱) (약) d. 연약하다(軟弱--) (약)

盛 성할 성  1. 성하다(盛--: 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2. 성대하다(盛大--) 3. 두텁다 4. 많다 5. 무성하다(茂盛--) 6. 장하게 여기다 7. 담다 8. 높다

蚊 모기 문  1. 모기 

虻 등에 맹  1. 등에(등엣과에 속하는 곤충의 총칭) 2. 패모(貝母: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3. 새 이름(날개 한 짝으로 두 마리가 도와서 난다는 전설상의 새) 4. 다리 한 짝

僕 종 복 1. (사내)종 2. 마부(馬夫), 거마(車馬)를 모는 사람 3. 저(자기의 겸칭) 4. 무리(모여서 뭉친 한 동아리), 벗 5. 동아리(같은 뜻을 가지고 모여서 한패를 이룬 무리), 패거리 6. 관리하다(管理--) 7...

緣 인연 연,부인 옷 이름 단  1. 인연(因緣), 연줄 2. 연분(緣分) 3. 가장자리, 가선(-縇: 의복의 가장자리를 딴 헝겊으로 가늘게 싸서 돌린 선) 4. 까닭, 이유(理由) 5. 가설(架設) 6. 장식(裝飾) 7. 겉(물체의 바깥 부분) 8. 연유...

拊 어루만질 부  1. 어루만지다, 사랑하다 2. 붙다 3. 치다, 가볍게 두드리다 4. (악기를)타다 5. 자루(끝에 달린 손잡이), 손잡이 6. 악기(樂器) 이름

缺 이지러질 결,머리띠 규  1. 이지러지다(한쪽 귀퉁이가 떨어져 없어지다) 2. 없다 3. 없어지다 4. 모자라다 5. 부족하다(不足--) 6. (할 일을)빠뜨리다 7. 비다 8. 아니하다 9. 나오지 않다 10. 빠지다 a. 머리띠 (규)

衝 찌를 충,뒤얽힐 종  1. 찌르다, 치다 2. 부딪치다 3. 향하다(向--) 4. 움직이다 5. 돌다, 회전하다(回轉ㆍ廻轉--) 6. 용솟음치다 7. 목, 요긴(要緊)한 곳 8. 길, 통로(通路) 9. 거리 10. 전거(戰車)의 이름 a. 뒤얽히다 (종)

毁 헐 훼 1. 헐다 2. 부수다 3. 제거하다(除去--), 철거하다(撤去--) 4. 이지러지다(불쾌한 감정 따위로 얼굴이 일그러지다) 5. 무너지다 6. 감손하다(減損--) 7. 훼손하다(毁損--) 8. 손상하다(損傷--) 9. 비방...

碎 부술 쇄  1. 부수다 2. 부서지다 3. 깨뜨리다 4. 잘다 5. 부스러기

愼 삼갈 신,땅 이름 진  1. 삼가다(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2. 근신하다(謹愼--) 3. 두려워하다 4.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5. 따르다 6. 삼감(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함) 7. 성(姓)의 하나 8. 진실로(眞實-),...




55` 쓸모 없으므로 자신을 보전할 수 있다 (내편:4.인간세,12) 

- 장자(내편) ; 제4편 인간세[12]- 

장석이 제나라로 가다가 토신묘 앞의 참나무를 보았다. 그 크기는 수천 마리의 소를 뒤덮을 만하였고, 그 둘레는 백 아름이나 되었으며, 그 높이는 산을 열 길 위에서 내려다 볼만한 데서부터 가지가 나 있었다. 배를 만들 만한 가지들도 몇 십 개나 되었다. 구경꾼들이 장이 선 것처럼 모여 있었다. 장석은 돌아다보지도 않고 멈추는 일도 없이 걸어갔다. 그의 제자는 그 나무를 실컷 구경하고 나서 장석에게 달려가 말했다. 

“제가 도끼를 들고 스승님을 따라 다닌 후로 이처럼 훌륭한 재목은 본적이 없습니다. 그런데 선생님께서는 거들떠보지도 않으시고, 발길을 멈추지도 않으시니 어찌된 일입니까?” 

장석이 말했다. 

“그런 말 말아라. 쓸모 없는 나무다. 그것으로 배를 만들면 가라앉고, 관을 만들면 빨리 썩어 버리고, 그릇을 만들면 쉽게 깨져 버리고, 문짝을 만들면 나무진이 흘러내리고, 기둥을 만들면 곧 좀이 먹는다. 그것은 재목이 못될 나무이다. 쓸 만한 곳이 없어서 그토록 오래 살고 있는 것이다.” 

장석이 집에 돌아와 잠을 자는데 그 큰 나무가 꿈에 나타나 말했다. 

“그대는 나를 어디에 비교하는 것인가? 그대는 나를 좋은 재목에 견주려는 것인가? 돌배, 배, 귤, 유자 등 과일이 열리는 나무는 과일이 열리면 따게 되고, 따는 과정에서 욕을 당하게 된다. 큰 가지는 꺾어지고 작은 가지는 휘어진다. 이들은 자기 능력으로 말미암아 그의 삶을 괴롭히는 것들이다. 그러므로 타고난 목숨대로 끝까지 살지 못하고 중간에 일찍 죽어 버리는 것이다. 스스로 세속에서 얻어맞는 것이나 같은 것이다. 어떤 물건이고 이와 같지 않은 것이 없다. 나는 쓸 곳이 없기를 원해 온 지가 오래되었다. 거의 죽을 뻔하다가 이제야 뜻대로 되어 쓸모 없음이 나의 큰 쓸모가 된 것이다. 만약 내가 쓸모가 있었다면 어찌 이렇게 커질 수가 있었겠는가? 또한 그대와 나는 모두가 같은 물건이다. 어찌하여 그대는 나를 다른 물건으로 보는가? 그리고 거의 죽어가는 쓸모 없는 사람이 어찌 쓸 데 없는 나무를 알 수가 있겠는가?” 

장석은 깨어나서 그의 꿈을 얘기했다. 그의 제자가 말했다. 

“쓸모 없음에 뜻을 두었다면, 그 나무가 신목이 된 것은 무슨 이유일까요?” 

장석이 말했다. 

“아무 말도 하지 마라. 그는 사당에 몸을 기탁하고 있을 뿐인데도 자기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욕을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신목이 되지 않았다면 땔나무로 베어졌겠지, 또한 그의 보전 방법은 다른 사람들과는 다르다. 그런데도 겉만 보고 그를 칭찬한다면 그 또한 사실과 동떨어진 일이 아니겠느냐?” 


- 莊子(內篇) ; 第4篇 人間世[12]- 

匠石之齊, 至於曲轅, 見櫟社樹. 其大蔽數千牛, 絜之百圍, 其高臨山, 十仞而後有枝其可以爲舟者旁十數. 觀者如市, 匠伯不顧, 遂行不輟. 弟子厭觀之, 走及匠石, 曰:「自吾執斧斤以隨夫子, 未嘗見材如此其美也. 先生不肯視, 行不輟, 何邪?」 

曰:「已矣, 勿言之矣! 散木也, 以爲舟則沈, 以爲棺槨則速腐, 以爲器則速毁, 以爲門戶則液樠, 以爲柱則蠹. 是不材之木也, 無所可用, 故能若是之壽.」 

匠石歸, 櫟社見夢曰:「女將惡乎比予哉? 若將比予於文木邪? 夫柤梨橘柚, 果蓏之屬, 實熟則剝, 剝則辱. 大枝折, 小枝泄. 此以其能苦其生者也, 故不終其天年而中道夭, 自掊擊於世俗者也. 物莫不若是. 且予求無所可用久矣, 幾死, 乃今得之, 爲予大用. 使予也而有用, 且得有此大也邪? 且也若與予也皆物也, 奈何哉其相物也? 而幾死之散人, 又惡知散木!」 

匠石覺而診其夢. 弟子曰:「趣取無用, 則爲社何邪?」 

曰:「密! 若無言! 彼亦直寄焉, 以爲不知己者詬厲也. 不爲社者, 且幾有翦乎! 且也彼其所保與衆異, 而以義喩之, 不亦遠乎!」 

(장석지제, 지어곡월, 견력사수. 기대폐수천우, 혈지백위, 기고임산, 십인이후유지기가이위주자방십수. 관자여시, 장백불고, 수행불철. 제자염관지, 도급장석, 왈:자오집부근이수부자, 미상견재여차기미야. 선생불긍시, 행불철, 하야?

왈:이의, 물언지의! 산목야, 이위주즉침, 이위관곽즉부, 이위기즉속훼, 이위문호즉액만, 이위주즉두. 시부재지목야, 무소가용, 고능약시지수. 

장석귀, 력사견몽왈:녀장오호비예재? 약장비예어문목야? 부사리귤유, 과라지속, 실숙즉박, 박즉욕. 대지절, 소지예. 차이기능고기생자야, 고불종기천년이중도요, 자배격어세속자야. 물막불약시. 차예구무소가용구의, 기사, 급금득지, 위여대용. 사여야이유용, 차득유차대야야? 차야약여여야개물야, 나하재기상물야? 이기사지산인, 우오지산목!

장석각이진기몽. 제자왈:취취무용, 즉위사하야?

왈:비! 약무언! 피역직기언, 이위부지기자후리야. 불위사자, 차지유전호! 차야피기소보여중이, 이이의유지, 불역원호!) 


匠 장인 장  1. 장인(匠人), 장색(匠色), 바치(물건을 만드는 것을 업으로 삼는 사람) 2. 기술자(技術者) 3. 고안(考案), 궁리(窮理) 4. 우두머리 5. 가르침

轅 끌채 원  1. 끌채(멍에를 매는 부분) 2. 끌다

櫟 상수리나무 력,상수리나무 역,문지를 로,문지를 노,고을 이름 약,가마에 구울 조  단어장 추가

1. 상수리나무 2. 난간(欄干ㆍ欄杆) 3. 땅의 이름 4. 성(姓)의 하나 5. 치다, 때리다 6. 밟고 넘다 7. 찌르다 a. 문지르다 (로) b. 긁다 (로) c. 고을 이름 (약) d. 가마에 굽다 (조)

蔽 덮을 폐,닦을 별  1. 덮다 2. 가리다 3. 총괄하다(總括--) 4. 개괄하다(槪括--: 줄거리를 대강 추려내다) 5. 판단하다(判斷--) 6. 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到達--) 7. 해지다 8. 발 9. 울타리 10. 결점(缺點)...

絜 헤아릴 혈,깨끗할 결,들 계,홀로 갈  1. 헤아리다 2. 재다 3. 두르다, 묶다 4. 삼 한 단 a. 깨끗하다 (결) b. 결백하다(潔白--) (결) c. 고요하다 (결) d. 밝다 (결) e. 희다 (결) f. 들다 (계) g. 휴대하다(携帶--) (계) h. 홀로, 혼자 (갈)

圍 에워쌀 위,나라 국  1. 에워싸다 2. 둘러 싸다 3. 포위하다 4. 두르다 5. 지키다 6. 사냥하다 7. 둘레 8. 경계(境界) 9. 포위 10. 아름(양 팔을 벌려 낀 둘레) a. 나라, 국가(國家) (국) b. 서울, 도읍(都邑) (국) c. 고향(故鄕)..

仞 길 인  1. 길다 2. 재다 3. 깊다 4. 높다 5. 차다 6. 채우다 7. 알다 8. 길(길이의 단위)

遂 드디어 수,따를 수  1. 드디어, 마침내 2. 두루, 널리 3. 도랑(매우 좁고 작은 개울), 수로(水路) 4. 이루다 5. 생장하다(生長--) 6. 끝나다 7. 가다, 떠나가다 8. 나아가다 9. 답습하다(踏襲--) 10. 오래되다 11. 멀다, 아득하다...

輟 그칠 철  1. 그치다 2. 버리다 3. 깁다(떨어지거나 해어진 곳을 꿰매다) 4. 조금 부서진 수레를 다시 고친 것

厭 싫어할 염,누를 엽,빠질 암  1. 싫어하다 2. 물리다 3. 조용하다 4. 가리다 5. 막다 6. 가위눌리다(움직이지 못하고 답답함을 느끼다) a. 누르다 (엽) b. 따르다 (엽) c. 마음에 들다 (엽) d. 젖다(물이 배어 축축하게 되다) (엽)...

隨 따를 수,게으를 타  1. 따르다 2. 추종하다(追從--) 3. 부화하다(附和--: 주견이 없이 경솔하게 남의 의견에 따르다) 4. 좇다, 추구하다(追求--) 5. 발 6. 발꿈치 7. 괘(卦)의 이름 8. 따라서 9. 즉시, 곧바로 a. 게으르다...

散 흩을 산  1. 흩다(한데 모였던 것을 따로따로 떨어지게 하다), 흩뜨리다 2. 한가롭다(閑暇--), 볼일이 없다 3. 흩어지다, 헤어지다 4. 내치다, 풀어 놓다 5. 달아나다, 도망가다(逃亡--) 6. 절룩거리다 7. 비틀거리다,...

槨 외관 곽  1. 외관(外棺) 2. 덧널(관을 담는 궤(櫃: 나무로 네모나게 만든 그릇))

液 진 액,담글 석  1. 진, 진액(津液) 2. 즙(汁) 3. 겨드랑이 4. 곁, 옆 5. 성(姓)의 하나 6. (얼음이)녹다 7. (윤기가)나다 a. (물에)담그다 (석) b. 흩어지다 (석)

樠 송진 만  1. 송진 2. 흑단(黑檀: 감나뭇과의 상록 활엽 교목) 3. 느릅나무의 한 가지, 나무의 이름

蠹 좀 두  1. 좀(좀과의 곤충) 2. 나무좀(나무좀과의 곤충) 3. 쐐기(불나방의 애벌레) 4. 좀먹다 5. 해치다

比 견줄 비  1. 견주다(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서로 대어 보다), 비교하다(比較--) 2. 본뜨다, 모방하다(模倣ㆍ摸倣ㆍ摹倣--) 3. 나란히 하다 4. 고르다, 가려 뽑다 5. 갖추다 6. 같다, 대등하다(對等--)...

柤 풀명자나무 사,도마 조 1. 풀명자나무(장미과의 낙엽 활엽 소관목) 2. 아가위나무(산사나무) 3. (나무로 만든)난간(欄干ㆍ欄杆) 4. 방죽(물이 밀려들어 오는 것을 막기 위하여 쌓은 둑), 둑 5. 보(洑: 논에 물을 대기 위한 수리...

橘 귤 귤  1. 귤 2. 귤나무 3. 달 이름

柚 유자 유,바디 축  1. 유자(柚子: 유자나무의 열매) 2. 유자나무(柚子--) 3. 대나무의 이름 a. 바디(베틀, 가마니틀, 방직기 따위에 딸린 기구의 하나) (축)

蓏 열매 라,열매 나  1. 열매

屬 무리 속,이을 촉  1. 무리(모여서 뭉친 한 동아리) 2. 동아리(같은 뜻을 가지고 모여서 한패를 이룬 무리) 3. 벼슬아치 4. 혈족(血族) 5. 붙다 6. 부착하다(附着ㆍ付着--) 7. 거느리다 8. 복종하다(服從--) 9. 수행하다(遂行--)...

剝 벗길 박  1. 벗기다 2. 벗겨지다 3. 깎다 4. 다치다 5. 상하다(傷--) 6. 두드리다 7. 떨어뜨리다 8. 찢다 9. 64괘의 하나

辱 욕될 욕  1. 욕되다(辱--), 수치스럽다(羞恥---) 2. 더럽히다, 욕(辱)되게 하다 3. 모욕(侮辱)을 당하다(當--) 4. 욕보이다(辱---) 5. 무덥다 6. 황공하다(惶恐--) 7. 거스르다 8. 치욕(恥辱), 수치(羞恥)

泄 샐 설,흩어질 예  1. 새다, 알려지다 2. 싸다, 설사하다(泄瀉--) 3. 일어나다, 발생하다(發生--) 4. 없애다, 줄다 5. 고하다(告--), 아뢰다 6. 섞다 7. 통하다(通--) 8. 업신여기다, 깔보다 9. 친압해지다(親押---), 버릇없다...

夭 일찍 죽을 요,어릴 요,어린아이 오,땅 이름 옥,예쁠 외  1. 일찍 죽다, 나이 젊어서 죽다 2. (몸을)굽히다 3. 꺾다 4. 칙칙하다 5. 어리다, 젊다 6. 한창 때를 만나다, 성(盛)하게 자라다 7. 무성하다(茂盛--) 8. 화평하다(和平--) 9. 막다, 멈추게 하다 10....

擊 칠 격  1. 치다 2. 부딪치다 3. 공격하다(攻擊--) 4. 마주치다 5. 보다 6. 두드리다 7. 지탱하다(支撐--) 8. 죽이다

診 진찰할 진  1. 진찰하다(診察--) 2. 맥보다 3. 보다 4. 증험하다(證驗--: 실지로 사실을 경험하다) 5. 고하다(告--) 6. 증상(症狀)

詬 꾸짖을 구,꾸짖을 후 1. 꾸짖다 2. 욕보이다(辱---) 3. 욕하다(辱--), 매도하다(罵倒--) 4. 성내다, 노하다(怒--) 5. 부끄러움 6. 교묘(巧妙)히 꾸며대는 말 7. 치욕(恥辱) a. 꾸짖다 (후) b. 욕보이다(辱---) (후) c. 욕하다(辱--),...

厲 갈 려,갈 여,문둥병 라,문둥병 나  1. 갈다 2. 괴롭다 3. 힘쓰다 4. 높다 5. 사납다 6. 위태롭다(危殆--) 7. 빠르다 8. 맑다 9. 미워하다 10. 화 11. 좋지 않은 일 12. 귀신(鬼神) 13. 숫돌(연장을 갈아 날을 세우는 데 쓰는 돌) 14. 경계(境界),...

翦 자를 전  1. 자르다 2. 끊다, 베다 3. 깎다 4. 멸망시키다(滅亡---) 5. 제거하다(除去--), 없애다 6. 가위 7. 깃에 붙인 화살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