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外篇 17 秋水 6


162` 시대와 환경에 자연스럽게 따를 줄 알아야 한다 (외편:17.추수,6) 

- 장자(외편) ; 제17편 추수[6]- 

옛날에 요와 순은 천자의 자리를 물려받아 제업을 이루었고, 연나라 임금 증은 재상의 아들 지에게 임금자리를 물려주었으나 나라가 멸망하고 말았다. 

은나라 탕왕이나 주나라 무왕은 다툼을 통하여 왕이 되었으나, 초나라 백공은 다툼을 통하여 멸망했다. 

이처럼 다투고 사양하는 예절이나, 요임금과 걸왕 같은 행동이 때에 따라 귀하게도 되고 천하게도 되는 것이어서 일정한 표준에 의하여 생각할 수 없는 것이다. 

들보나 기둥같이 큰 재목은 성벽을 무너뜨리는 데에는 유용하지만 작은 구멍을 막는 데는 소용이 없다. 그것은 기구가 다르기 때문이다. 천리마는 하루에 천리를 달릴 수 있지만 쥐를 잡는 데는 삵쾡이만 못하다. 그것은 재주가 다르기 때문이다. 올빼미는 밤에도 벼룩을 잡고 터럭 끝도 볼 수 있지만 낮에 나와서는 눈을 뜨고도 큰산도 보지 못한다. 그것은 본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런데 어찌 옳다는 것을 존중하고 그르다는 것은 무시하며, 다스림은 존중하고 혼란은 무시하는가? 그것은 하늘과 땅의 이치와 만물의 진상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마치 하늘은 존중하면서 땅은 무시하고, 음은 존중하면서 양은 무시하는 것과 같은 것이니, 그것이 통용될 수 없는 것임은 분명한 일이다. 

그런데도 그런 주장을 버리지 않고 내세우는 자들은 어리석은 자가 아니면 거짓말쟁이인 것이다. 

옛날 제왕들을 보면 물려주는 방법이 서로 달랐고, 하·은·주 3대의 왕위 계승 방법도 각기 달랐다. 그 시대와 어긋나게 하고, 그 때의 세속을 거스르는 자를 두고 찬탈자라 부르며, 그 시대에 합당하게 하고 그 때의 세속을 따르는 사람을 두고 의로운 사람이라 부르는 것이다.  


- 莊子(外篇) ; 第17篇 秋水[6]- 

「昔者堯舜讓而帝, 之噲讓而絶. 湯武爭而王, 白工爭而滅. 由此觀之, 爭讓之禮, 堯桀之行, 貴賤有時, 未可以爲常也. 梁麗可以衝城, 而不可以窒穴, 言殊器也. 騏驥驊騮, 一日而馳千里, 捕鼠不如狸狌, 言殊技也. 鴟鵂夜撮蚤, 察毫末, 晝出瞋目而不見丘山, 言殊性也. 故曰, 蓋師是而无非, 師治而无亂乎? 是未明天地之理 萬物之情者也. 是猶師天而无地, 師陰而无陽, 其不可行明矣. 然且語而不舍, 非愚則誣也. 帝王殊禪, 三代殊繼. 差其時, 逆其俗者, 謂之簒夫. 當其時, 順其俗者, 謂之義之徒. 黙黙乎河伯! 女惡知貴賤之門, 小大之家!」 

(석자요순양이제, 지쾌양이절. 탕무쟁이왕, 백공쟁이멸. 유차관지, 재양지례, 요걸지행, 귀천유시, 미가이위상야. 량려가이충성, 이불가이질혈, 언수기야. 기기화류, 일일이치천리, 포서불여리성, 언수기야. 치휴야촬조, 찰호말, 주출진목이불견구산, 언수성야. 고왈, 개사시이무비, 사치이무란호? 시미명천지지리 만물지정자야. 시유사천이무지, 사음이무양, 기불가행명의. 연차어이불사, 비우즉무야. 제왕수선, 삼대수계. 차기시, 역기속자, 위지찬부. 당기시, 순기속자, 위지의지도. 묵묵호하백! 여오지귀천지문, 소대지가!)


噲 목구멍 쾌,까칠까칠할 괄  1. 목구멍 2. 시원하다, 상쾌하다(爽快--) 3. 밝다, 환하다 a. 까칠까칠하다 (괄) b. 야위다, 초췌하다(憔悴ㆍ顦顇--) (괄) [부수]口(입구)

絶 끊을 절  1. 끊다 2. 단절하다(斷切ㆍ斷截--), 숨이 끊어지다, 죽다 3. 다하다, 끝나다 4. 막히다, 막다르다 5. 뛰어나다, 비할 데 없다 6. 건너다 7. 기발하다(奇拔--), 색다르다 8. 으뜸 9. 매우, 몹시 10. 심히,... [부수]糸(실사)

爭 다툴 쟁  1. 다투다 2. 논쟁하다(論爭--) 3. 다투게 하다 4. 간하다(諫--: 웃어른이나 임금에게 옳지 못하거나 잘못된 일을 고치도록 말하다) 5. 경쟁하다(競爭--) 6. 모자라다 7. 차이(差異) 나다 8. 다툼 9. 싸움... [부수]爪(손톱조)

桀 홰 걸,하왕 이름 걸  1. 홰, 닭의 홰 2. 준걸(俊傑), 뛰어난 인재(人材) 3. 하왕(夏王) 이름, 걸왕(桀王) 4. 특출하다(特出--), 뛰어나다(=傑) 5. 용감하다(勇敢--), 씩씩하다 6. 흉포하다(凶暴ㆍ兇暴--), 흉악하다(凶惡ㆍ兇惡--)... [부수]木(나무목)

梁 들보 량,들보 양  1. 들보(칸과 칸 사이의 두 기둥을 건너질러는 나무), 대들보(大--: 기둥과 기둥 사이에 건너지른 큰 들보) 2. 나무다리(나무로 놓은 다리) 3. 교량(橋梁), 징검다리 4. 제방(堤防), 둑 5. 관골(顴骨:... [부수]木(나무목)

麗 고울 려,고울 여  1. 곱다 2. 아름답다 3. 맑다 4. 짝짓다 5. 빛나다 6. 매다 7. 붙다(부착) 8. 나라의 이름 9. 마룻대(용마루 밑에 서까래가 걸리게 된 도리) 10. 짝 11. 수, 수효(數爻) [부수]鹿(사슴록)

衝 찌를 충,뒤얽힐 종  1. 찌르다, 치다 2. 부딪치다 3. 향하다(向--) 4. 움직이다 5. 돌다, 회전하다(回轉ㆍ廻轉--) 6. 용솟음치다 7. 목, 요긴(要緊)한 곳 8. 길, 통로(通路) 9. 거리 10. 전거(戰車)의 이름 a. 뒤얽히다 (종) [부수]行(다닐행)

窒 막힐 질  1. 막다, 막히다 2. 멈추다, 그치다 3. (가득)차다 4. 메이다, 통하지 않다 5. 7월의 딴 이름 6. 종묘문(宗廟門), 무덤의 문 7. 질소(窒素) [부수]穴(구멍혈)

穴 구멍 혈,굴 휼  1. 구멍 2. 굴(窟), 동굴(洞窟) 3. 구덩이 4. 움집(움을 파고 지은 집), 움막 5. 무덤, 묘혈(墓穴) 6. 광맥(鑛脈) 7. 혈(穴: 용맥(龍脈)의 정기가 모인 자리) 8. 곁, 옆 9. (구멍을)뚫다 10. 혈거하다(穴居--)... [부수]穴(구멍혈)

殊 다를 수  1. 다르다 2. 뛰어나다 3. 거의 죽다 4. 결심하다(決心--) 5. 끊어지다 6. 죽이다 7. 지나다 8. 특히 9. 유달리 [부수]歹(죽을사변)

騏 준마 기  1. 준마(駿馬: 빠르게 잘 달리는 말) 2. 검푸른말 3. 털총이(검푸른 말) 4. 현(縣) 이름 5. 검푸른빛 [부수]馬(말마)

驥 천리마 기  1. 천리마(千里馬) 2. 준마(駿馬: 빠르게 잘 달리는 말) [부수]馬(말마)

驊 준마 화  1. 준마(駿馬: 빠르게 잘 달리는 말) [부수]馬(말마)

騮 월따말 류,월따말 유  1. 월따말(털빛이 붉고 갈기가 검은 말) [부수]馬(말마)

馳 달릴 치  1. 달리다 2. 질주하다(疾走--) 3. 지나가다, 경과하다(經過--) 4. 쫓다, 추격하다 5. 빨리 몰다 6. 방자하다(放恣--), 제멋대로 하다 7. 베풀다(일을 차리어 벌이다, 도와주어서 혜택을 받게 하다) 8.... [부수]馬(말마)

狸 삵 리,삵 이,묻을 매  1. 삵(살쾡이. 고양잇과의 포유류) 2. 살쾡이(고양잇과의 포유류) 3. 너구리(갯과의 포유류) 4. 성(姓)의 하나 5. 죽이다 a. 묻다 (매) b. 매장하다(埋葬--) (매) c. 제사(祭祀) 지내다 (매) [부수]犭(개사슴록변)

狌 성성이 성  1. 성성이(猩猩-: 오랑우탄) 2. 열대 지방(地方)에 사는 큰 원숭이의 한 가지 3. 족제비(족제빗과의 동물) [부수]犭

鴟 올빼미 치  1. 올빼미(올빼밋과의 새) 2. 수리부엉이(올빼밋과의 새) 3. 솔개(수릿과의 새) 4. 술 부대, 술 단지(목이 짧고 배가 부른 작은 항아리) 5. 가벼이 여기다 [부수]鳥(새조)

鵂 수리부엉이 휴  1. 수리부엉이(올빼밋과의 새) 2. 수알치새(=수리부엉이)  [부수]鳥

鴟鵂 치휴, 수리부엉이. 올빼밋과의 새

撮 모을 촬,사진 찍을 촬  1. 모으다, 취합하다(聚合--) 2. (사진을)찍다 3. 빼내다, 골라내다 4. (손가락으로)집다 5. 취하다(取--) 6. 자밤(손가락 끝으로 집을 만한 분량) 7. 취포관(緇布冠: 검은 베로 만든 관) a. 수레 이름... [부수]扌(재방변)

蚤 벼룩 조  단어장 추가 1. 벼룩 2. 일찍(=早) 3. 손톱 [부수]虫(벌레훼)

晝 낮 주  1. 낮 2. 정오(正午) 3. 땅의 이름 [부수]日(날일)

瞋 부릅뜰 진  1. (눈을)부릅뜨다 2. 성내다 [부수]目(눈목)

蓋 덮을 개,어찌 합  1. 덮다 2. 덮어 씌우다 3. 숭상하다(崇尙--) 4. 뛰어나다 5. 해치다(害--) 6. 뚜껑 7. 덮개 8. 하늘 9. 상천(上天) 10. 일산(日傘: 자루가 굽은 부채의 일종(一種)으로 의장(儀杖)의 한 가지) 11. 모두... [부수]艹(초두머리)

師 스승 사  1. 스승 2. 군사(軍士), 군대(軍隊) 3. 벼슬아치 4. 벼슬 5. 뭇 사람 6. 신령(神靈), 신의 칭호(稱號) 7. 전문적인 기예를 닦은 사람 8. 악관(樂官), 악공(樂工) 9. 육십사괘의 하나 10. 사자(獅子) 11. 스승으로 삼다, 모범(模範)으로 삼다 12. 기준(基準)으로 삼고 따르다, 법으로 삼게 하다 13. (수효가)많다 [부수]巾(수건건)

愚 어리석을 우  1. 어리석다 2. 우직하다 3. 고지식하다 4. 어리석게 하다 5. 나(자기의 겸칭) 6. 어리석은 사람 7. 어리석은 마음 8. 자기(自己)에 관계(關係)되는 사물(事物)에 붙이는 겸칭 [부수]心(마음심)

誣 속일 무  1. 속이다 2. 꾸미다 3. 더럽히다 4. 강제(強制)로 하다 5. 과장하다(誇張--) 6. 남용하다(濫用--) 7. 비방하다(誹謗--) 8. 왜곡하다(歪曲--) [부수]言(말씀언)

禪 선 선  1. 선, 좌선(坐禪) 2. 봉선(封禪: 산천에 제사 지내던 일) 3. 선종(禪宗) 4. 불교와 관련(關聯)된 것 5. 좌선하다(坐禪--) 6. 터 닦다 7. 전수하다(傳授--), 물려주다 8. 양위하다(讓位--) 9. 선위하다(禪位--)... [부수]示(보일시)

繼 이을 계  1. 잇다 2. 이어나가다 3. 계속하다(繼續--) 4. 지속하다(持續--) 5. 이어받다 6. 매다 7. 그 다음에 8. 그 후에 9. 이어서 10. 뒤이어 [부수]糸(실사)

簒 빼앗을 찬  1. 빼앗다 2. 강탈하다(強奪--) 3. 붉은 끈 [부수]竹(대죽)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 外篇 17 秋水 8  (0) 2016.08.02
莊子 - 外篇 17 秋水 7  (0) 2016.08.01
莊子 - 外篇 17 秋水 5  (0) 2016.07.30
莊子 - 外篇 17 秋水 4  (0) 2016.07.29
莊子 - 外篇 17 秋水 3  (0) 2016.07.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