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外篇 17 秋水 7


163` 평가에 관계없이 자연스럽게 살아야 한다 (외편:17.추수,7) 

- 장자(외편) ; 제17편 추수[7]- 

황하의 신이 말했다. 

“저는 무엇을 해야하고,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합니까? 제가 사양하거나 밟고 나아가거나 멈추는데 있어서 저는 도대체 어떻게 해야 됩니까?” 

북해의 신이 말했다. 

“도의 입장에서 볼 때 무엇을 귀하게 여기고, 무엇을 천히 여기겠는가? 이런 경지를 혼돈하게 통일된 상태라고 말하는 것이다. 

자기 뜻에 구속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면 도에 크게 어긋나게 된다. 도의 입장에서 볼 때 무엇을 적다하고 무엇을 많다 하겠는가? 이런 경지를 구별 없이 연결되는 상태라 말하는 것이다. 

한편에만 치우치는 행동을 하여서는 안 된다. 그러면 도에 어긋나게 된다. 엄격하기가 나라의 임금과 같아서 사사로운 은덕을 베푸는 일이 없어야 한다. 유유자득하기가 제사를 받는 땅의 신과 같아서 사사로이 복을 내려주는 일이 없어야 한다. 대범하기가 사방이 끝없는 것과 같아서 아무런 한계도 없어야 한다. 만물을 다 같아 아울러 감싸서 그 어떤 사람만을 아껴주거나 도와 주는 일이 없으면 이것을 두고 일정한 넓이가 없는 사람이라 하는 것이다. 

만물은 한결같이 평등한 것이니, 어느 것이 못하고 어느 것이 더 나은가? 

도에는 시작도 끝도 없지만 물건에는 삶과 죽음이 있다. 그래서 물건의 공용이란 믿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어떤 때는 비어 있다가도 어떤 때는 차게 마련이어서 그 형세에는 일정한 위치가 없다. 늙어 가는 나이는 막을 수가 없고, 흘러가는 시간은 멈출 수가 없다. 생성소멸과 찼다가는 비는 일을 반복하여 그치면 또 시작을 한다. 이것이야말로 내가 위대한 도의 뜻을 얘기하고 만물의 이치를 논하는 까닭인 것이다. 

물건의 생성은 말이 뛰거나 달리는 것처럼 변화한다. 조금도 변하지 않고 있는 것이란 없고, 잠시도 바뀌지 않는 것이란 없는 것이다. 그런데 무엇을 하겠는가? 그대로 스스로 변화하게 내버려두면 그만이다.” 


- 莊子(外篇) ; 第17篇 秋水[7]- 

河伯曰:「然則我何爲乎, 何不爲乎? 吾辭受趣舍, 吾終奈何?」 

北海若曰:「以道觀之, 何貴何賤, 是謂反衍. 无拘而志, 與道大蹇. 何少何多, 是謂謝施. 無一而行, 與道參差. 嚴嚴乎若國之有君, 其无私德. 繇繇乎若祭之有社, 其无私福. 泛泛乎其若砂防之无窮, 其无所畛域. 兼懷萬物, 其孰承翼? 是謂无方. 萬物一齊, 孰短孰長? 道无終始, 物有死生, 不恃其成. 一虛一盈, 不位乎其形. 年不可擧, 時不可止. 消息盈虛, 終則有始. 是所以語大義之方, 論萬物之理也. 物之生也, 若驟若馳, 无動而不變, 无時而不移. 何爲乎, 何不爲乎? 夫固將自化.」 

(하백왈:[연즉아하위호, 하불위호? 오사수취사, 오종나하?]

북해약왈:[이도관지, 하귀하천, 시위반연. 무구이지, 여도대건. 하소하다, 시위사시. 물일이행, 여도참치. 엄엄호약국지유군, 기무사덕. 요요호약제지유사, 기무사복. 범범호기약사방지무궁, 기무소진역. 겸회만물, 기숙승익? 시위무방. 만물일제, 숙단숙장? 도무종시, 물유사생, 불시기성. 일허일영, 불위호기형. 년불가거, 시불가지. 소식영허, 종즉유시. 시소이어대의지방, 론만물지리야. 물지생야, 약취약치, 무동이불변, 무시이불이. 하위호, 하불위호? 부고장자화.])


辭 말씀 사  1. 말씀 2. 문체(文體) 이름 3. 핑계 4. 사퇴하다 5. 알리다 6. 청하다(請--) 7. 타이르다 8. 사양하다(辭讓--) [부수]辛(매울신)

趣 뜻 취,재촉할 촉,벼슬 이름 추  1. 뜻 2. 취지(趣旨), 내용(內容) 3. 풍취(風趣), 멋, 자태(姿態) 4. 달리다 5. 빨리 달려가다 6. 향하다(向--) 7. 미치다(공간적 거리나 수준 따위가 일정한 선에 닿다), 다다르다 8. 취하다(取--) a.... [부수]走(달릴주)

舍 집 사,버릴 사,벌여놓을 석  1. 집, 가옥(家屋) 2. 여관 3. 버리다 4. 포기하다(抛棄--) 5. 폐하다(廢--) 6. 내버려 두다 7. 개의(介意)하지 않다 8. 기부하다(寄附--) 9. 희사하다(喜捨--) 10. 바치다 11. 베풀다(일을 차리어 벌이다,... [부수]舌(혀설)

衍 넓을 연  1. 넓다 2. 넓히다, 확충하다(擴充--) 3. 넘치다, 흐르다 4. 남다 5. 넉넉하다, 풍부하다(豐富--) 6. 지나다 7. 펴다, 산개하다(散開--), 배치하다(配置--) 8. 이끌다, 초빙하다(招聘--) 9. (널리)퍼지다... [부수]行(다닐행)

反衍 반연 , 자기(自己) 마음대로 함

蹇 절뚝발이 건  1. 절뚝발이(한쪽 다리가 짧거나 탈이 나서 뒤뚝뒤뚝 저는 사람) 2. 다리를 저는 당나귀 3. 노둔(老鈍: 늙어서 재빠르지 못하고 둔함)한 말 4. 괘(卦) 이름(=艮下坎上) 5. 굼뜨다 6. 걷다 7. 머무르다... [부수]足(발족)

謝 사례할 사  1. 사례하다(謝禮--) 2. 갚다, 보답하다(報答--) 3. 양보하다 4. 사양하다(辭讓--) 5. 물러나다, 그만두다 6. 면하다(免--) 7. 물리치다, 없애다 8. 쇠퇴하다(衰退ㆍ衰頹--) 9. 시들다, 이울다 10. 갈... [부수]言(말씀언)

施 베풀 시,옮길 이  1. 베풀다(일을 차리어 벌이다, 도와주어서 혜택을 받게 하다) 2. 실시하다(實施--) 3. 미치게 하다, 나누어 주다 4. 널리 퍼지다, 번식하다(繁殖ㆍ蕃殖ㆍ蕃息--) 5. 드러내다 6. 뽐내다, 과장하다(誇張--)... [부수]方(모방)

參差,  參差不齊 , 길고 짧고 들쭉날쭉하여 가지런하지 아니함

參 참여할 참,석 삼  1. 참여하다(參與--) 2. 간여하다(干與--), 관계하다(關係--) 3. 나란하다(여럿이 줄지어 늘어선 모양이 가지런하다), 가지런하다, 나란히 서다 4. 섞이다, 뒤섞다 5. 헤아리다, 비교하다(比較--), 살피다...[부수]厶(마늘모)

差 다를 차,차별 치,버금 채  1. 다르다 2. 어긋나다 3. 기이하다(奇異--), 남다르다 4. 부리다, (사신으로)보내다, 파견하다(派遣--) 5. (병이)낫다 6. 견주다(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서로 대어 보다) 7. 가리다, 선택... [부수]工(장인공)

繇 역사 요,말미암을 유,점사 주  1. 역사(役事) 2. 노래, 가요(歌謠)(=謠) 3. 어조사(語助辭)(=於) 4. 고요(皐陶: 중국 고대의 전설상의 인물) 5. 무성하다(茂盛--) 6. 우거지다 7. 흔들리다(=搖) 8. 멀다 a. 말미암다 (유) b. 지나다... [부수]糸(실사)

繇 [yóu]  발음 듣기   1.[개사][문어] ‘由(yóu)’와 같음. 2.[명사][문어] ‘徭(yáo)’와 같음. 3.[명사][문어] ‘谣(yáo)’와 같음. ☞[繇(zhòu)]

祭 제사 제,나라 이름 채  1. 제사(祭祀) 2. 제사(祭祀) 지내다 3. 서로 접하다 4. 사귀다 5. 미루어 헤아리다 6. 갚다, 보답하다(報答--) a. 나라 이름 (채) b. 땅 이름 (채) [부수]示(보일시)

泛 뜰 범,물소리 핍,엎을 봉  1. 뜨다 2. 넓다 a. 물소리 (핍) b. 엎다 (봉) c. 전복시키다 (봉) [부수]氵(삼수변)

泛然 차근차근한 맛이 없이 데면데면함, 또는 그 모양

砂防 산ㆍ바닷가ㆍ강가 등(等)에 바위가 무너지거나 흙ㆍ모래가 바람과 비에 씻기어 밀려 내리는 것을 막기 위(爲)해 시설(施設)하는 일. 산비탈에는 듬성듬성 층이 지게 흙을 쌓아 떼를 입히거나 나무를 심으며, 골짜기에는 돌을 쌓아 올리는 등(等) 여러 가지의 시설(施設)을 함. 모래막이. 사태막이. 사방림(砂防林)

砂 모래 사,봉황 사,목 쉴 사  1. 모래 2. 사막(沙漠ㆍ砂漠) 3. 모래알 4. 모래땅 5. 단사(丹沙ㆍ丹砂: 수은으로 이루어진 황화 광물) 6. 사공(沙工ㆍ砂工) 7. 물가 8. (얇은)비단(緋緞) 9. 짐승의 암컷 10. 베짱이(여칫과의 곤충) 11....[부수]石(돌석)

防 막을 방  1. 막다, 방어하다(防禦--) 2. 맞서다, 필적하다(匹敵--: 능력이나 세력이 엇비슷하여 서로 맞서다) 3. 헤살놓다, 훼방하다(毁謗--) 4. 둑, 방죽(물이 밀려들어 오는 것을 막기 위하여 쌓은 둑) 5. 요새(要塞),... [부수]阝(좌부변)

畛域 ①밭두렁  ②경계(境界)

畛 두둑 진  1. 두둑(논이나 밭을 갈아 골을 타서 만든 두두룩한 바닥) 2. 지경(地境: 땅의 가장자리, 경계) 3. 본 바탕 4. 아뢰다 [부수]田(밭전)

域 지경 역  1. 지경(地境: 땅의 가장자리, 경계) 2. 구역(區域), 한정(限定)된 일정(一定)한 곳이나 땅 3. 나라, 국토(國土) 4. 국가(國家) 5. 땅 가장자리 6. 묘지(墓地), 무덤 자리 7. 경계(境界)를 짓다 8. 보... [부수]土(흙토)

翼 날개 익  1. 날개 2. 지느러미 3. 이튿날 4. 솥귀, 솥의 손잡이 5. 도움 6. 처마(지붕이 도리 밖으로 내민 부분) 7. 배, 선박(船舶) 8. 법칙(法則), 법도(法度) 9. 정치적(政治的)인 파벌(派閥) 10. 진형(陣形)의...[부수]羽(깃우)

恃 믿을 시,어머니 시  1. 믿다, 의지하다(依支--) 2. 의뢰하다(依賴--) 3. 자부하다(自負--) 4. 어머니(≠怙) [부수]忄(심방변) 

兼 겸할 겸  1. 겸하다(兼--), 아우르다 2. 둘러싸다 3. 포용하다(包容--), 겸용하다(兼用--) 4. 얻다 5. 쌓다, 포개다, 겹치다 6. 배가 되게 하다 7. 나란히 하다 8. 배향하다(配享--) 9. 다하다, 진하다(津--) 10.... [부수]八(여덟팔)

懷 품을 회  1. 품다 2. 임신하다(妊娠--) 3. 생각하다 4. 싸다, 둘러싸다 5. 따르다 6. 위로하다(慰勞--) 7. 달래다 8. 보내다, 보내어 위로하다(慰勞--) 9. 길들이다, 따르게 하다 10. 편안하다(便安--) 11. 이르다(어떤... [부수]忄(심방변)

消 사라질 소  1. 사라지다 2. 삭이다 3. 없애다, 소멸시키다(消滅---) 4. 녹이다 5. (쇠하여)줄어들다 6. 소모하다(消耗--), (시간을)보내다 7. 거닐다, 배회하다(徘徊--) 8. 물러서다 9. (남몰래)행하다(行--) 10.... [부수]氵(삼수변)

息 쉴 식  1. 쉬다 2. 숨 쉬다, 호흡하다(呼吸--) 3. 생존하다(生存--) 4. 살다, 생활하다(生活--) 5. 번식하다(繁殖ㆍ蕃殖ㆍ蕃息--) 6. 자라다, 키우다 7. 그치다, 그만두다, 중지하다(中止--) 8. 망하다(亡--),... [부수]心(마음심)

消息 ①천지(天地) 시운(時運)이 돌고 돌아 자꾸 변화(變化)함. 일월(日月)의 내왕(來往). 때의 변천(變遷). 영고(榮枯)와 성쇠(盛衰). 풍신(風信)  ②안부(安否) 상황(狀況) 또는 새로이 생기는 사실(事實) 등(等)에 관(關)한 기별(奇別)이나 알림

驟 달릴 취  1. 달리다 2. 빠르다 3. 몰아가다 4. 갑작스럽다 5. 자주 6. 여러 번 7. 갑자기 8. 돌연히(突然-), 홀연히(忽然-) [부수]馬(말마)

馳 달릴 치  1. 달리다 2. 질주하다(疾走--) 3. 지나가다, 경과하다(經過--) 4. 쫓다, 추격하다 5. 빨리 몰다 6. 방자하다(放恣--), 제멋대로 하다 7. 베풀다(일을 차리어 벌이다, 도와주어서 혜택을 받게 하다) 8.... [부수]馬(말마)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 外篇 17 秋水 9  (0) 2016.08.03
莊子 - 外篇 17 秋水 8  (0) 2016.08.02
莊子 - 外篇 17 秋水 6  (0) 2016.07.30
莊子 - 外篇 17 秋水 5  (0) 2016.07.30
莊子 - 外篇 17 秋水 4  (0) 2016.07.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