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外篇 17 秋水 11
167` 우물 안의 개구리 (외편:17.추수,11)
- 장자(외편) ; 제17편 추수[11]-
공손룡이 위모에게 물었다.
“저는 어릴 적부터 옛 훌륭한 임금들의 도를 배웠고, 자라서는 어짊과 의로움의 행동을 밝혔습니다. 같고 다른 것들을 하나로 합하여 논하였고, 같은 돌에서 굳다는 개념과 희다는 개념을 둘로 분리시켰습니다. 그렇지 않은 것을 그렇다 하고, 불가능한 것을 가능하다 했습니다. 그리하여 여러 학자들의 지혜를 곤경으로 몰아 넣었고, 여러 사람들의 구변을 궁지로 몰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스스로 지극히 통달한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장자의 말을 듣고 나서는 멍하니 정신을 잃고 이상하다고 여기고 있습니다. 저의 이론이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것인지, 저의 지혜가 그만 못한 것인지는 알지 못하겠습니다, 저는 지금 입을 열 수가 없습니다. 그의 도는 어떤 것입니까?”
공자모가 책상에 기대어 크게 한숨을 짓고 하늘을 우러러 웃으며 말했다.
“당신은 무너진 우물 안의 개구리 얘기를 듣지 못하였습니까?
개구리가 어느 날 동해의 거북에게 말했습니다.
「나는 참 즐겁다. 나는 우물가 위로 뛰어올라가 놀기도 하고, 깨어진 벽 틈으로 들어가 쉬기도 한다. 물로 들어가서는 양편 겨드랑이를 수면에 대고 턱을 물 위에 받치며, 진흙을 발로 차면 발등까지 밖에 빠지지 아니한다. 장구벌레나 게나 올챙이를 둘러보아도 나만한 자가 없다. 거기다가 한 우물을 독점하고서 무너진 우물을 지배하는 즐거움이란 또한 최고의 것이다. 당신도 한 번 들어와 보는 것이 어떻겠는가.」
그래서 동해의 거북이 들어가 보려고 왼발을 넣기도 전에 오른편 무릎이 걸려버리고 말았다. 그래서 어정어정 걸어나와 개구리에게 바다 얘기를 했습니다.
「천리의 먼 거리로도 바다를 크기를 표현하기는 부족하며, 천 길의 높이로도 바다의 깊이를 형용하기는 부족하다. 우 임금 때 십 년 동안에 아홉 번이나 큰 장마가 졌지만 바다의 물은 불어나지 않았고, 탕 임금 때 팔 년 동안에 일곱 번이나 가뭄이 들었지만 바다의 물은 줄어들지 않았다. 시간이 짧고 긴데 따라 변화하는 법이 없으며, 물의 많고 적음에 따라 줄고 늘지 않는 것이 바다의 즐거움이다.」
그 얘기를 듣고 나자 우물안 개구리는 소스라치게 놀라서 멍하니 정신을 잃어버렸다합니다.”
- 莊子(外篇) ; 第17篇 秋水[11]-
公孫龍問於魏牟曰:「龍少學先王之道, 長而明仁義之行. 合同異, 離堅白然不然, 可不可. 困百家之知, 窮衆口之辯. 吾自以爲至達已. 今吾聞莊子之言, 汒焉異之. 不知論之不及與, 知之弗若與? 今吾无所開吾喙, 敢問其方.」
公子牟隱机大息, 仰天而笑曰:「子獨不聞夫埳井之䵷乎? 謂東海之鱉曰:‘吾樂與! 出跳梁乎井幹之上, 入休乎缺甃之崖. 赴水則接腋持頤, 蹶泥則沒足滅跗. 還視虷蟹與科斗, 莫吾能若也. 且夫擅一壑之水, 而跨跱埳井之樂, 此亦至矣, 夫子奚不時來入觀乎!’ 東海之鱉左足未入, 而右膝已縶矣. 於是逡巡而却, 告之海曰:‘夫千里之遠, 不足以擧其大. 千仞之高, 不足以極其深. 禹之時十年九潦, 而水弗爲加益. 湯之時八年七旱, 而崖不爲加損. 夫不爲頃久推移, 不以多少進退者, 此亦東海之大樂也.’ 於是埳井之䵷聞之, 適適然驚, 規規然自失也.
(공손룡문어위모왈:[룡소학선왕지도, 장이명인의지행. 합동이, 리견백연불연, 가불가. 곤백가지지, 궁중구지변. 오자이위지달이. 금오문장자지언, 망언이지. 부지론지불급여, 지지불약여? 금오무소개오훼, 감문기방.]
공자모은기대식, 앙천이소왈:[자독불문부감정지와호? 위동해지별왈:’오락여! 출도량호정한지상, 입휴호결추지애. 부수즉접액지이, 궐니즉몰족멸부. 환시간해여과두, 막오능약야. 차부천일학지수, 이과지감정지락, 차역지의, 부자해불시래입관호!’ 동해지별좌족미입, 이우슬이집의. 어시준순시각, 고지해왈:’부천리지원, 부족이거기대. 천인지고, 부족이극기심. 우지시십년구료, 이수불위가익. 탕지시팔년칠한, 이애불위가손. 부불위경구추이, 불이다소진퇴자, 차역동해지대락야.’ 어시감정지와문지, 적적연경, 규규연자실야.])
魏 나라 이름 위,빼어날 외 1. 나라의 이름 2. 대궐(大闕), 궁궐(宮闕) 3. 높다 4. 능(能)히 하다 5. 좋다 6. 성(姓)의 하나 a. 빼어나다 (외) b. 출중(出衆)한 모양 (외) c. 큰 모양 (외) [부수]鬼(귀신귀)
牟 소 우는 소리 모,보리 모,어두울 무 1. 소 우는 소리 2. 보리(볏과의 두해살이풀) 3. 투구(쇠로 만든 모자) 4. 제기(祭器: 제사에 쓰는 그릇) 5. 질냄비 6. 눈동자 7. 성(姓)의 하나 8. 소가 울다 9. 크다 10. 늘다 11. 범하다(犯--) 12.... [부수]牛(소우)
離 떠날 리,떠날 이,붙을 려,붙을 여,교룡 치 1. 떠나다 2. 떼어놓다, 떨어지다 3. 갈라지다 4. 흩어지다, 분산하다 5. 가르다, 분할하다(分割--) 6. 늘어놓다 7. 만나다, 맞부딪다 8. 잃다, 버리다 9. 지나다, 겪다 10. 근심 11. 성(姓)의 하나 13.... [부수]隹(새추)
堅 굳을 견 1. 굳다 2. 굳어지다 3. 굳게 하다 4. 단단하게 하다 5. 굳세다 6. 강하다(強--) 7. 변(變)하지 아니하다 8. 갑옷 9. 갑주(甲胄: 갑옷과 투구) 10. 굳게 11. 튼튼하게 [부수]土(흙토)
汒 황급할 망 1. 황급하다(遑急--) 2. 아득하다 3. 망연하다(茫然--: 매우 넓고 멀어서 아득하다) 4. 총급하다 5. 물이 질펀한 모양 6. 경황(景況)이 없는 모양 [부수]氵(삼수변)
茫 아득할 망,황홀할 황
喙 부리 훼,부리 달 1. (새의)부리, 주둥이 2. (사람의)입 3. 뾰족한 끝 4. 괴로워하다, 피곤하다(疲困--) 5. 숨이 차다 6. 성급하다(性急--) a. 부리 (달) [부수]口(입구)
埳 구덩이 감,빠질 함 1. 구덩이 a. 빠지다 (함) b. 빠뜨리다 (함) c. 움푹 파이다 (함) d. 날조하다(捏造--) (함) e. 모함하다(謀陷--) (함) f. 점령당하다(占領當--) (함) g. 함락당하다 (함) h. 함정(陷穽ㆍ檻穽) (함) i....[부수]土(흙토)
䵷 개구리 와,비로소 왜,목멜 화 1. 개구리 2. 두꺼비(두꺼빗과의 양서류) 3. 음란(淫亂)한 소리ㆍ음악(音樂)(=哇) a. 비로소 (왜) b. 처음, 시초(始初) (왜) c. 목메다 (화) d. 막히다 (화) [부수]黽(맹꽁이맹)
鱉 자라 별 1. 자라(자랏과의 동물) 2. 고사리(양치식물 고사릿과의 여러해살이풀) [부수]魚(물고기어)
跳 뛸 도,뛸 조 1. 뛰다 2. 뛰어넘다 3. 솟구치다 4. 도약하다(跳躍--) 5. 도전하다(挑戰--) 6. 빨리 달리다 7. 가지고 놀다 8. 횡행하다(橫行--: 아무 거리낌 없이 제멋대로 행동하다) 9. 달아나다(=逃) 10. 절뚝발이(한쪽... [부수]𧾷(발족변)
梁 들보 량,들보 양 1. 들보(칸과 칸 사이의 두 기둥을 건너질러는 나무), 대들보(大--: 기둥과 기둥 사이에 건너지른 큰 들보) 2. 나무다리(나무로 놓은 다리) 3. 교량(橋梁), 징검다리 4. 제방(堤防), 둑 5. 관골(顴骨:... [부수]木(나무목)
跳梁 도량, /함부로 날뜀
缺 이지러질 결,머리띠 규 1. 이지러지다(한쪽 귀퉁이가 떨어져 없어지다) 2. 없다 3. 없어지다 4. 모자라다 5. 부족하다(不足--) 6. (할 일을)빠뜨리다 7. 비다 8. 아니하다 9. 나오지 않다 10. 빠지다 a. 머리띠 (규) [부수]缶(장군부)
甃 벽돌 추 1. 벽돌 2. 우물 3. (우물을)수리하다(修理--) 4. (벽돌을)쌓다 5. 꾸미다 6. (지붕을)덮다 7. 동글납작하다 [부수]瓦(기와와)
赴 다다를 부,갈 부 1. 다다르다 2. 나아가다, 향하여 가다 3. 힘쓰다 4. 달려가다 5. 들어가다 6. 넘어지다 7. 알리다, 가서 알리다 8. 부고하다(訃告--: 사람의 죽음을 알리다) 9. 부고(訃告: 사람의 죽음을 알림) [부수]走(달릴주)
腋 겨드랑이 액 1. 겨드랑이 [부수]月(육달월)
持 가질 지 1. 가지다, (손에)쥐다, 잡다 2. 지니다 3. 버티다, 견디어내다, 대립하다(對立--) 4. 보전하다(保全--), 보존하다(保存--) 5. 지키다, 유지하다(維持--) 6. 균형(均衡)이 깨지지 아니하다, 형편(形便)에... [부수]扌(재방변)
頤 턱 이 1. 턱(발음하거나 씹는 일을 하는 기관) 2. 아래턱 3. 괘(卦)의 이름 4. 기르다 5. 보양하다(保養--: 잘 보호하여 기르다) 6. 부리다 7. 이사하다(頤使--: 턱으로 부리다. 사람을 마음대로 부리다) [부수]頁(머리혈)
蹶 넘어질 궐,일어설 궐,뛰어 일어날 궤 1. 넘어지다 2. 뛰다 3. 거꾸러뜨리다 4. 밟다 5. 차다 6. 일어서다 7. 달리다 a. 뛰어 일어나다 (궤) b. 움직이다 (궤) c. 허둥지둥하다( 궤) [부수]𧾷(발족변)
泥 진흙 니,진흙 이,물들일 녈,물들일 열 1. 진흙, 오니(汚泥: 더러운 흙) 2. 진창(땅이 질어서 질퍽질퍽하게 된 곳) 3. 수렁 4. 벌레 이름 5. 야드르르한 모양 6. 윤기(潤氣) 도는 모양 7. 이슬에 젖은 모양 8. 약하다(弱--) 9. 칠하다, 바르다...[부수]氵(삼수변)
滅 꺼질 멸,멸할 멸 1. (불이)꺼지다 2. 끄다 3. 멸하다(滅--) 4. 멸망하다(滅亡--) 5. 없어지다 6. 다하다 7. 빠지다 8. 빠뜨리다 9. 숨기다 10. 죽다 11. 잠기다 12. 열반 [부수]氵(삼수변)
跗 발등 부 1. 발등 2. 발 3. 물체(物體)의 족부(足部) 4. 긴 막대 같은 물건(物件)의 끝 5. 꽃받침 6. 껍질 [부수]𧾷(발족변)
虷 장구벌레 간 1. 장구벌레 2. 범하다(犯--) 3. 침범하다(侵犯--) 4. 좀먹다 5. 좀이 물건(物件)을 쏘다 [부수]虫(벌레훼)
蟹 게 해 1. 게(갑각류 꽃게, 방게 등) 2. 가물치(가물칫과의 민물고기) [부수]虫(벌레훼)
擅 멋대로 할 천 1. 멋대로 하다 2. 천단하다(擅斷--: 제 마음대로 처단하다) 3. 차지하다, 점유하다(占有--) 4. 물려주다 5. 오로지 6. 멋대로 [부수]扌(재방변)
壑 골 학 1. 골, 산골짜기 2. 도랑(매우 좁고 작은 개울), 개천(-川: 개골창 물이 흘러 나가도록 길게 판 내) 3. 구렁(움쑥하게 팬 땅) 4. 해자(垓子) 5. 석굴(石窟), 암굴(巖窟) [부수]土(흙토)
跨 넘을 과,걸터앉을 고 1. 넘다, 넘어가다 2. 타넘다 3. 자랑하다 4. 사타구니 a. 걸터앉다 (고) b. 점거하다(占據--) (고) c. 빼앗아 소유하다(所有--) (고) d. 살, 사타구니 (고) [부수]𧾷(발족변)
跱 그칠 치 1. 그치다 2. 서다 3. 머뭇거리다 4. 갖추다 5. 두다 [부수]𧾷(발족변)
埳 구덩이 감,빠질 함 1. 구덩이 a. 빠지다 (함) b. 빠뜨리다 (함) c. 움푹 파이다 (함) d. 날조하다(捏造--) (함) e. 모함하다(謀陷--) (함) f. 점령당하다(占領當--) (함) g. 함락당하다 (함) h. 함정(陷穽ㆍ檻穽) (함) i....[부수]土(흙토)
膝 무릎 슬 1. 무릎 [부수]月(육달월)
縶 맬 집,맬 칩 1. 매다 2. (마소를)잡아 매다 3. 연잇다 4. 고삐(코뚜레, 굴레에 잡아매는 줄) 5. 굴레(마소의 머리에 씌워 고삐에 연결한 물건) a. 매다 (칩) b. (마소를)잡아 매다 (칩) c. 연잇다 (칩) d. 고삐(코뚜레,... [부수]糸(실사)
逡巡 ①(나아가지 못 하고) 뒤로 멈칫멈칫 물러남 ②어떤 일을 단행(斷行)하지 못하고 우물쭈물함
逡 뒷걸음질칠 준 1. 뒷걸음질치다 2. 머뭇거리다 3. 차례(次例)가 있다 4. 빠르다 5. 토끼 6. 달의 운행(運行) [부수]辶(책받침)
巡 돌 순,순행할 순,따를 연 1. 돌다 2. 순행하다(巡行--) 3. 따르다 4. 돌아보다, 살피다 5. 어루만지다 6. 활 쏘는 수를 세는 단위(單位) a. 따르다(=沿) (연) b. 끼고 돌다 (연) [부수]巛(개미허리)
却 물리칠 각 1. 물리치다 2. 물러나다 3. 피하다(避--) 4. 돌아가다 5. 그치다, 쉬다, 멎다 6. 사양하다(辭讓--) 7. 뒤집다 8. 도리어, 다시 9. 반대로(反對-) 10. 어조사(語助辭) 11. 발어사(發語辭) 12. 틈, 틈새 [부수]卩(병부절)
潦 큰비 료,큰비 요,초라할 료,초라할 요,큰비 로,큰비 노 1. 큰비(상당한 기간에 걸쳐 많이 쏟아지는 비) 2. 장마 3. 길바닥에 괸 물, 요수(潦水) 4. 사물(事物)의 형용(形容) 5. 적시다, 담그다 6. (물에)잠기다, (수해가)나다 7. 떨쳐 일어나지 못하다 8. 초라하다,... [부수]氵(삼수변)
潦水 ①갑자기 땅에 괸 빗물 ②깊은 산중의 인적이 없는 곳에 새로 움푹 팬 땅에 괸 물. 움직이지 않고 흙기운(-氣運)이 있으므로 비위(脾胃) 조절(調節)ㆍ진식(進食)ㆍ보익(補益)ㆍ중기(中氣)의 약제(藥劑)를 달이는 데 쓰임. 무근수(無根水)
旱 가물 한 1. 가물다 2. 사납다 3. 가뭄 4. 뭍, 육지(陸地) 5. 육로(陸路) 6. 밭 [부수]日(날일)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 外篇 17 秋水 13 (0) | 2016.08.08 |
---|---|
莊子 - 外篇 17 秋水 12 (0) | 2016.08.07 |
莊子 - 外篇 17 秋水 10 (0) | 2016.08.04 |
莊子 - 外篇 17 秋水 9 (0) | 2016.08.03 |
莊子 - 外篇 17 秋水 8 (0) | 2016.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