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外篇 18 至樂 7
178` 나고 죽는 변화는 큰 문제가 아니다 (외편:18.지락,7)
- 장자(외편) ; 제18편 지락[7]-
열자가 길을 가다가 길가에서 밥을 먹고 있었다. 마침 백년은 된 듯 한 해골을 보고서 쑥대를 뽑아 가지고 해골을 가리키면서 말했다.
“오직 나와 그대만이 진정한 죽음도 없고, 진정한 삶도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 과연 죽어 있는 그대는 슬픈 것인가? 살아 있는 나는 기쁜 것인가?”
여러 가지 물건은 각기 생겨난 기틀이 있다. 물을 만나면 물때가 되고, 물에 젖은 흙 사이에 있게 되면 푸른 이끼가 되며, 언덕 위에 나면 질경이가 된다. 질경이가 썩은 흙을 만나면 오족이 된다. 뿌리는 굼벵이가 되며, 그 잎새는 나비가 된다. 나비는 변화하여 벌레가 되는데, 아궁이 밑에 생겨날 때에는 매미껍질 같은데 그 이름을 구철이라 한다. 이 구철이 천 날이 지나면 변화하여 새가 되는데, 그 이름을 건여골이라 한다. 건여골이 밷는 침이 사미라는 벌레가 되고, 사미는 식혜가 된다. 이노라는 벌레는 식혜에서 생겨난다. 황황이라는 벌레는 구유에서 생겨나고, 구유는 무예에서 생겨나며, 무예는 부권에서 생겨난다고 한다.
양해라는 풀은 죽순이 나지 않는 오래된 대와 합치어서 청녕이란 벌레를 낳는데, 청녕이 표범을 낳고, 표범이 말을 낳고, 말이 사람을 낳기도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사람은 또 변화의 오묘한 기틀로 들어가 변화한다. 만물은 모두 변화의 기틀에서 생겨나서, 모두가 변화의 기틀에 의하여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 莊子(外篇) ; 第18篇 至樂[7]-
列子行食於道從, 見百歲髑髏, 攓蓬而指之曰:「唯予與汝知而未嘗死, 未嘗生也. 若果養乎? 予果歡乎?」
種有幾, 得水則爲繼, 得水土之際則爲䵷蠙之衣, 生於陵屯則爲陵舃, 陵舃得鬱棲則爲烏足. 烏足之根爲蠐螬, 其葉爲胡蝶. 胡蝶胥也化而爲蟲, 生於竈下, 其狀若脫, 其名爲鴝掇. 鴝掇千日爲鳥, 其名爲乾餘骨. 乾餘骨之沫爲斯彌, 斯彌爲食醯. 頤輅生乎食醯. 黃軦生乎九猷. 瞀芮生乎腐蠸. 羊奚比乎不箰, 久竹生靑寧. 靑寧生程, 程生馬, 馬生人, 人又反入於機. 萬物皆出於機, 皆入於機.
(열자행식어도종, 견백세촉루, 건봉이지지왈:[유여여녀지이미상사, 미상생야. 약과양호? 여과탄호?]
종유기, 득수즉위계, 득수토지제즉위와빈지의, 생어릉둔즉위릉석, 릉석득울서즉위오족. 오족지근위제조, 기엽위호접. 호접서야화이위충, 생어조하, 기상약탈, 기명위구철. 구철천일위조, 기명위건여골. 건여골지말위사미, 사미위식혜. 이로생호식혜. 황황생호구유. 무예생호부권. 양해비호불순, 구죽생청녕, 청녕생정, 정생마, 마생인, 인우반입어기. 만물개출어기, 개입어기.)
髑 해골 촉,해골 독 1. 해골 2. 머리뼈 a. 해골 (독) b. 머리뼈 (독) [부수]骨(뼈골)
髏 해골 루,해골 누 1. 해골 2. 두개골 [부수]骨(뼈골)
攓 취할 건 1. 취하다(取--) 2. 손에 잡다(=搴) 3. 오그라들다 4. 업신여기다 5. 낮잡다 [부수]扌(재방변)
蓬 쑥 봉 1. 쑥(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2. 뜸(물에 띄워서 그물, 낚시 따위의 어구를 위쪽으로 지탱하는 데에 쓰는 물건) 3. (과일의)껍질 4. 봉래산(蓬萊山) 5. 흐트러지다 6. 떠돌아다니다 7. 성(盛)하게 일어나다 [부수]艹(초두머리)
予 나 여,줄 여,미리 예 1. 나(=余) 2. 주다(=與) 3. 하사하다(下賜--) 4. 승인하다(承認--) 5. 허락하다(許諾--), 용서하다(容恕--) 6. 인정하다(認定--) 7. 팔다 8. 매각하다(賣却--) 9. 함께하다 10. 함께 a. 미리 (예) b.... [부수]亅(갈고리궐)
繼 이을 계 1. 잇다 2. 이어나가다 3. 계속하다(繼續--) 4. 지속하다(持續--) 5. 이어받다 6. 매다 7. 그 다음에 8. 그 후에 9. 이어서 10. 뒤이어 [부수]糸(실사)
際 즈음 제,가 제 1. 즈음 2. 가, 끝 3. 변두리 4. 사이 5. 때 6. 닿다 7. 만나다 8. 사귀다 [부수]阝(좌부변)
䵷 개구리 와,비로소 왜,목멜 화 1. 개구리 2. 두꺼비(두꺼빗과의 양서류) 3. 음란(淫亂)한 소리ㆍ음악(音樂)(=哇) a. 비로소 (왜) b. 처음, 시초(始初) (왜) c. 목메다 (화) d. 막히다 (화) [부수]黽(맹꽁이맹)
蠙 진주조개 빈 1. 진주조개(眞珠--: 진주조갯과의 하나) 2. 펄조개(석패과의 하나) 3. 구슬 이름 4. 진주(眞珠) 5. 물이끼 6. 청태(靑苔) [부수]虫(벌레훼)
陵 언덕 릉,언덕 능 1. 큰 언덕 2. 능, 무덤 3. 가벼이 여기다 4. 업신여기다 5. 범하다(犯--) 6. 넘다 7. 오르다 8. 불리다 9. 물에 담그다 10. 능이하다(凌夷ㆍ陵夷--: 차차 쇠하다) 11. 짓밟다 12. 험하다(險--) [부수]阝(좌부변)
屯 진 칠 둔,어려울 준 1. 진치다, 수비하다(守備--) 2. 진, 병영(兵營) 3. 언덕, 구릉 a. 어렵다 (준) b. 많다, 무리를 이루다 (준) c. 견고하다(堅固--), 험난하다(險難--) (준) d. 태초(太初) (준) e. 괘(卦) 이름 (준) [부수]屮(왼손좌)
舃 신 석,까치 작,클 탁 1. 신, 신발 2. 주춧돌(기둥 밑에 기초로 받쳐 놓은 돌) 3. 소금밭, 개펄(갯가의 개흙이 깔린 벌판) 4. 빛나다, 빛내다 5. 잇다, 이어지다 a. 까치 (작) b. 성(姓)의 하나 (작) c. 크다 (탁) d. 큰 모양... [부수]臼(절구구)
鬱 답답할 울,울창할 울 1. 답답하다 2. 우울하다(憂鬱--) 3. 울적하다(鬱寂--) 4. 울창하다(鬱蒼--) 5. 우거지다 6. 무성하다(茂盛--) 7. 향기롭다(香氣--) 8. 화려하다(華麗--) 9. 찬란하다(燦爛ㆍ粲爛--) 10. 아름답다 11.... [부수]鬯(울창주창)
棲 깃들일 서 1. 깃들이다 2. 살다, 거처하다(居處--) 3. 쉬다, 휴식하다(休息--) 4. 쌓다, 저장하다(貯藏--) 5. 집, 보금자리 6. 평상(平牀ㆍ平床), 침상(寢牀) 7. 바쁜 모양 8. 고적(孤寂)한 모양 [부수]木(나무목)
蠐螬 굼벵이. 매미의 애벌레
蠐 굼벵이 제 1. 굼벵이(하늘솟과의 애벌레를 통틀어 이르는 말) [부수]虫(벌레훼)
螬 굼벵이 조 1. 굼벵이(하늘솟과의 애벌레를 통틀어 이르는 말) [부수]虫(벌레훼)
胥 서로 서 1. 서로, 함께 2. 다, 모두 3. 잠깐 동안 4. 아전(衙前: 조선 시대(時代)에, 중앙과 지방의 관아에 속한 구실아치) 5. 재주꾼 6. 게장, 게젓 7. 악관(樂官) 8. 어조사(語助辭)(시구의 무의미한 조사) 9.... [부수]月(육달월)
竈 부엌 조 1. 부엌 2. 부엌 귀신(鬼神) 3. 조왕신(竈王神) [부수]穴(구멍혈)
鴝 구관조 구 단어장 추가 1. 구관조(九官鳥) 2. 부엉이(올빼밋과의 새) 3. 꿩이 울다 [부수]鳥(새조)
掇 주을 철 1. 줍다, 주워 모으다 2. 가리다, 선택하다(選擇--) 3. 노략질하다(擄掠---) 4. 그만두다, 중지하다(中止--) 5. 깎다, 삭제하다(削除--) 6. 찌르다 7. 짧다 [부수]扌(재방변)
乾 하늘 건,마를 건,마를 간 1. 하늘 2. 괘(卦)의 이름 3. 임금 4. 남자(男子) 5. 아버지, 친족 관계(關係) 6. 마르다, 건조하다(乾燥--) 7. 말리다 8. 건성(어떤 일을 성의 없이 대충 겉으로만 함)으로 하다, 형식적이다 9. 텅 비다... [부수]乙(새을)
餘 남을 여 1. 남다 2. 남기다 3. 나머지 4. 나머지 시간(時間) 5. 여가 6. 여분 7. 정식 이외의 8. 다른 [부수]飠(밥식변)
沫 물거품 말 1. 물거품 2. 침, 침방울 3. 흐르는 땀 4. 비말(飛沫: 튀어 올랐다 흩어지는 물방울) 5. 거품이 일다 6. 말다, 그만두다 [부수]氵(삼수변)
斯 이 사,천할 사 1. 이, 이것 2. 잠시(暫時), 잠깐 3. 죄다, 모두 4. 쪼개다, 가르다 5. 떠나다, 떨어지다 6. 희다, 하얗다 7. 다하다 8. 떨어지다 9. 천하다(賤--) 10. 낮다 [부수]斤(날근)
彌 미륵 미,두루 미 1. 미륵(彌勒) 2. 두루, 널리 3. 더욱 4. 멀리 5. 갓난아이 6. 장식(裝飾) 7. 물이 꽉 찬 모양 8. 오래다 9. 지내다 10. 다하다, 극에 다다르다 11. 마치다, 그치다, 끝나다 12. 차다, 가득 메우다 13.... [부수]弓(활궁)
醯 식혜 혜 1. 식혜(食醯) 2. 식초(食醋) 3. 술 4. 육장(肉漿: 포(脯)를 썰어 누룩 및 소금을 섞어서 술에 담근 음식) 5. (맛이)시다 [부수]酉(닭유)
頤 턱 이 1. 턱(발음하거나 씹는 일을 하는 기관) 2. 아래턱 3. 괘(卦)의 이름 4. 기르다 5. 보양하다(保養--: 잘 보호하여 기르다) 6. 부리다 7. 이사하다(頤使--: 턱으로 부리다. 사람을 마음대로 부리다) [부수]頁(머리혈)
輅 수레 로,수레 노,작은 수레 락,작은 수레 낙,맞이할 아,수레 앞 가로 댄 나무 핵 단어장 추가
1. 수레 2. 끌채마구리 3. 크다 a. 작은 수레 (락) b. 끌다 (락) c. 맞이하다 (아) d. 수레 앞 가로 댄 나무 (핵) [부수]車(수레거)
黃 누를 황 1. 누렇다 2. 노래지다 3. 앓다 4. 누런빛 5. 황금(黃金) 6. 늙은이 7. 어린아이, 유아(幼兒) 8. 황제(皇帝) 9. 열병(熱病) 10. 병들고 지친 모양 11. 공골말(털빛이 누런 말) 12. 곡식(穀食), 곡류(穀類)... [부수]黃(누를황)
軦 벌레 이름 황 1. 벌레 이름 [부수]車(수레거)
猷 꾀 유 1. 꾀, 모략(謀略), 계책(計策) 2. 길, 법칙(法則), 도리(道理) 3. 공적(功績) 4. 벌레 이름 5. 아! 탄식(歎息ㆍ嘆息)의 소리 6. 꾀하다 7. (그림을)그리다 8. 같다 [부수]犬(개견)
瞀 어두울 무 1. (눈이)어둡다 2. (눈이)흐리다 3. 어리석다 4. (눈을 내리뜨고)공손(恭遜)히 보다 5. 흐트러지다 [부수]目(눈목)
芮 성씨 예,나라 이름 열 1. 성(姓)의 하나 2. 물가 3. 방패(防牌ㆍ旁牌) 끈 4. 옷솜 5. 작은 모양 6. 작은 벌레 이름 7. 풀이 뾰족뾰족 나다 a. 나라 이름 (열) [부수]艹(초두머리)
腐 썩을 부 1. 썩다 2. 썩히다 3. (나쁜)냄새가 나다 4. (마음을)상하다(傷--) 5. 궁형(宮刑: 음부를 제거하는 형벌) 6. 개똥벌레(반딧불이) [부수]肉(고기육)
蠸 노린재 권 1. 노린재(노린재목 노린잿과의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부수]虫(벌레훼)
箰 죽순 순 1. 죽순(竹筍) 2. 대 싹 3. 악기(樂器)를 다는 틀 4. 대로 만든 가마(조그만 집 모양의 탈것) 5. 대 껍질 [부수]竹(대죽)
程 한도 정,길 정 1. 한도(限度) 2. 길 3. 단위(單位) 4. 법칙(法則) 5. 규정(規定) 6. 법(法) 7. 계량기(計量器) 8. 일정(一定)한 분량(分量) 9. 표준(標準) 10. 가늠하다 11. 벼르다 12. 보이다 13. 헤아리다 [부수]禾(벼화)
機 틀 기 1. 틀, 기계 2. 베틀 3. 기틀, 고동(기계 장치) 4. 재치 5. 기교(技巧) 6. 거짓 7. 허위 8. 기회(機會) 9. 때, 시기(時期) 10. 계기(契機) 11. 권세(權勢) 12. 갈림길, 분기점(分岐點) 13. 찌(글을 써서... [부수]木(나무목)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 外篇 19 達生 2 (0) | 2016.08.23 |
---|---|
莊子 - 外篇 19 達生 1 (0) | 2016.08.23 |
莊子 - 外篇 18 至樂 6 (0) | 2016.08.22 |
莊子 - 外篇 18 至樂 5 (0) | 2016.08.19 |
莊子 - 外篇 18 至樂 4 (0) | 2016.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