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外篇 21 田子方 9


209` 참된 사람은 변화에 마음이 움직이지 않는다 (외편:21.전자방,9) 

- 장자(외편) ; 제21편 전자방[9]- 

견오가 손숙오에게 물었다. “선생님께서는 세 번이나 초나라 영윤이 되었었으나 그것을 영화로 생각하지 않았고, 세 번 그 자리를 떠날 때마다 근심하는 빛이 없었습니다. 저는 처음에는 선생님을 이상하다 의심했었지만 지금 선생님의 얼굴을 보니 기쁘고 즐거운 듯합니다. 선생님은 어떻게 그런 마음을 지니고 계십니까?” 

손숙오가 말했다. “내가 남 보다 나은 것이 무엇이 있겠습니까? 나는 닥쳐오게 되어 있는 것은 물리칠 수 없고, 떠나는 것은 멈추게 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얻고 잃게 되는 것이 내 탓이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근심하는 빛이 없을 뿐입니다. 내가 남보다 나은 것이 무엇이 있겠습니까? 또한 내가 존경을 받는 것이 영윤이라는 벼슬 때문인지 나 자신 때문인지도 알지 못합니다. 벼슬 때문이라면 나 자신 때문이 아닐 것이고, 나 자신 때문이라면 벼슬 때문이 아닐 것입니다. 그러니 나는 바로 만족한 마음으로 사방을 둘러보는 여유가 있는데, 어찌 사람들이 귀하고 천하게 여기는 것에 마음을 쓸 틈이 있겠습니까?” 

공자가 그 얘기를 듣고 말했다. 

“옛날의 진인은 지혜 있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설득시킬 수 없었고, 미인이라 하더라도 유혹할 수가 없었으며, 도적들도 겁탈할 수가 없었다. 복희나 황제도 그와 벗할 수가 없었다. 죽고 사는 것은 큰 문제이지만 그의 마음을 변하게 할 수는 없는 것이었으니, 하물며 벼슬과 녹이 문제가 되겠느냐? 그런 사람의 정신은 큰 산을 지나야 하더라도 방해가 되지 않고 깊은 못에 들어가도 젖지 않으며 낮고 천한 지위에 놓여도 고달프지 않다. 언제나 하늘과 땅에 충만하여 남에게 모든 것을 주기만 하는데도 자기는 더욱 많아지는 것이다.” 


- 莊子(外篇) ; 第21篇 田子方[9]- 

肩吾問於孫叔敖曰:「子三爲令尹而不榮華, 三去之而无憂色. 吾始也疑子, 今視者之鼻間栩栩然, 子之用心獨奈何?」 

孫叔敖曰:「吾何以過人哉! 吾以其來不可却也, 其去不可止也, 吾以爲得失之非我也, 而无憂色而已矣. 我何以過人哉! 且不知其在彼乎, 其在我乎? 其在彼邪? 亡乎我. 在我邪? 亡乎彼. 方將躊躇, 方將四顧, 何暇至乎人貴人賤哉!」 

仲尼聞之曰:「古之眞人, 知者不得說, 美人不得濫, 盜人不得劫, 伏戱黃帝不得友. 死生亦大矣, 而无變乎己, 況爵祿乎! 若然者, 其神經乎大山而无介, 入乎淵泉而不濡, 處卑細而不憊, 充滿天地, 旣以與人, 己愈有.」 

(견오문어손숙오왈:[자삼위령윤이불영화, 삼거지이무우색. 오시야의자, 금시자지비간허허연, 자지용심독나하?]

손숙오왈:[오하이과인재! 오이기래불가각야, 기거불가지야, 오이위득실지비아야, 이무우색이이의. 아하이과인재! 차부지기재피호, 기재아호? 기재피야? 망호아. 재아야? 망호피. 방장주저, 방장사고, 하가지호인귀인천재!]

중니문지왈:[고지진인, 지자부득설, 미인부득람, 도인부득겁, 복희황제불득우. 사생역대의, 이무변호기, 황작록호! 약연자, 기신경호대산이무개, 입호연천이불유, 처비세이불비, 충만천지, 기이여인, 기유유.])


栩 상수리나무 허  1. 상수리나무(참나뭇과의 낙엽 교목) 2. 기뻐하는 모양 3. 황홀한 모양 [부수]木(나무목)

却 물리칠 각  1. 물리치다 2. 물러나다 3. 피하다(避--) 4. 돌아가다 5. 그치다, 쉬다, 멎다 6. 사양하다(辭讓--) 7. 뒤집다 8. 도리어, 다시 9. 반대로(反對-) 10. 어조사(語助辭) 11. 발어사(發語辭) 12. 틈, 틈새 [부수]卩(병부절)

顧 돌아볼 고  1. 돌아보다 2. 지난날을 생각하다 3. 돌보다 4. 당기다 5. 돌아가다 6. 품을 사다(雇) 7. 다만 8. 생각컨대 9. 도리어 [부수]頁(머리혈)

濫 넘칠 람,넘칠 남,동이 함  1. 넘치다 2. 퍼지다 3. 뜨다 4. 띄우다 5. 훔치다 6. 탐하다(貪--) 7. 외람하다(猥濫--: 하는 행동이나 생각이 분수에 지나치다) 8. 담그다 9. 함부로 하다 10. 마구 하다 11. 범람하다(汎濫ㆍ氾濫 --)... [부수]氵(삼수변)

劫 위협할 겁  1. 위협하다(威脅--), 으르다(무서운 말이나 행동으로 위협하다) 2. 겁탈하다(劫奪--) 3. 빼앗다 4. 부지런하다 5. 어수선하다, 분주하다(奔走--) 6. 겁, 가장 긴 시간 7. 부지런히 일하는 모양 8. 섬돌,... [부수]力(힘력)

空劫 불교(佛敎)에서 말하는 사겁(四劫)의 하나. 사겁(四劫)이란 성겁(成劫)ㆍ주겁(住劫)ㆍ괴겁(壞劫)ㆍ공겁(空劫)으로, 공겁(空劫)은 삼라만상(森羅萬象)이 파괴(破壞)되어 공(空)으로 돌아간다는 이 세상(世上)의 마지막 시기(時期)를 말함

伏 엎드릴 복,안을 부  1. 엎드리다, 머리를 숙이다 2. 굴복하다(屈服--), 항복하다(降伏ㆍ降服--), 인정하다(認定--) 3. 숨다, 감추다, 잠복하다(潛伏--) 4. 살피다, 엿보다 5. 내려가다, 낮아지다 6. 기다 7. 절후(節候), 음력(陰曆)... [부수]亻(사람인변)

戱 희롱할 희,탄식할 호  1. 희롱하다(戱弄--) 2. 놀이하다 3. 놀다 4. 놀이 5. 연극 a. 탄식하다(歎息ㆍ嘆息--) (호) [부수]戈(창과)

濡 적실 유,편안할 여,유약할 연,삶을 이,머리 감을 난  1. (물에)적시다, 젖다(물이 배어 축축하게 되다) 2. 베풀다(일을 차리어 벌이다, 도와주어서 혜택을 받게 하다) 3. 윤(潤)이 나다, 윤기(潤氣)가 있다 4. 부드럽다, 온화하다(穩和--) 5. 더디다, 지체... [부수]氵(삼수변)

卑 낮을 비  1. 낮다 2. 왜소하다(矮小--) 3. 낮추다 4. 겸손(謙遜ㆍ謙巽)하게 대하다(對--) 5. 천하다(賤--) 6. 천하게 여기다 7. 비루하다 8. 저속하다 9. 쇠하다(衰--) 10. 가깝다 11. ~으로 하여금 ~하게 하다...[부수]十(열십)

憊 고단할 비  1. 고단하다 2. 고달프다 3. 피곤하다(疲困--) 4. 앓다 [부수]心(마음심)

細 가늘 세  1. 가늘다 2. 자세하다(仔細ㆍ子細--), 잘다 3. 미미하다(微微--) 4. 작다 5. 적다 6. 드물다 7. 장황하다(張皇--), 번거롭다 8. 천하다(賤--) 9. 가는 실 10. 소인(小人) 11. 자세히(仔細ㆍ子細-) [부수]糸(실사)

旣 이미 기,쌀 희  1. 이미, 벌써, 이전에 2. 원래, 처음부터 3. 그러는 동안에, 이윽고 4. 다하다, 다 없어 지다, 다 없애다 5. 끝나다, 끝내다 a. 쌀 (희) b. 녹미(祿米: 녹봉으로 받는 쌀) (희) [부수]无(이미기방)

愈 나을 유,구차할 투  1. (남보다)낫다, 뛰어나다 2. (병이)낫다 3. 고치다 4. 유쾌하다(愉快--) 5. 즐기다 6.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괴로워하다 7. 근심하는 모양 8. 더욱, 점점 더 a. 구차하다(苟且--) (투) [부수]心(마음심)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 外篇 22 知北游 1  (0) 2016.09.28
莊子 - 外篇 21 田子方 10  (0) 2016.09.27
莊子 - 外篇 21 田子方 8  (0) 2016.09.27
莊子 - 外篇 21 田子方 7  (0) 2016.09.26
莊子 - 外篇 21 田子方 6  (0) 2016.09.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