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外篇 22 知北游 1
211` 도를 말하는 사람은 도를 알지 못하는 사람이다 (외편:22.지북유,1)
- 장자(외편) ; 제22편 지북유[1]-
지가 북쪽의 현수가에 노닐다 은분의 언덕에 올라가는 길에 무위위를 만났다.
지가 무위위에게 말했다.
“물어볼 것이 있습니다. 어떤 것을 사색하고 어떤 것을 생각하면 도를 알게 됩니까? 어떻게 처신하고 어떻게 행동하면 도에 편안히 지낼 수 있게 됩니까? 어떤 것을 따르고 어떤 길로 가면 도를 얻을 수가 있습니까?”
세 번이나 물었으나 무위위는 대답하지 않았다. 대답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대답을 알지 못했던 것이다. 지는 물음에 대답을 얻지 못하고, 백수의 남쪽으로 되돌아와 호결산 위에 올라갔다가 광굴을 만났다.
지는 앞에서와 같은 말을 광굴에게도 물어보았다.
광굴이 말했다.
“나는 그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당신에게 말하려하니, 마음속으로 말을 하려하다가도 하려고 하던 말을 잊게 되는군요.”
지는 물음에 대답을 얻지 못하고 돌아와 황제에게 앞에 물었던 말을 다시 물었다.
황제가 말했다.
“사색도 없고 생각도 없어야 비로소 도를 알게 된다. 처신하는 곳도 없고 행하는 것도 없어야만 비로소 도에 편안히 지내게 된다. 따르는 것도 없고 가는 길도 없어야만 비로소 도를 얻게 된다.”
지가 황제에게 물었다.
“저와 임금님은 도에 대해서 알고 있지만 무위위와 광굴은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누가 옳은 것입니까?”
황제가 말했다. “무위위가 진실로 옳은 것이다. 광굴은 그와 비슷하다. 도를 알고 있는 사람은 말하지 않고, 말하는 사람은 알지 못한다. 그러므로 성인께서는 말로 표현하지 않는 가르침을 행했던 것이다.”
- 莊子(外篇) ; 第22篇 知北游[1]-
知北遊於元水之上, 登隱弅之丘而適遭无爲謂焉. 知謂无爲謂曰:「予欲有問乎若. 何思何慮則知道? 何處何服則安道? 何從何道則得道?」 三問而无爲謂不答也, 非不答, 不知答也.
知不得問, 反於白水之南, 登狐闋之上, 而睹狂屈焉. 知以之言也問乎狂屈. 狂屈曰.「唉! 予知之, 將語若, 中欲言而忘其所欲言.」
知不得問, 反於帝宮, 見黃帝而問焉. 黃帝曰:「无思无慮始知道, 无處无服始安道, 无從无道始得道.」
知問黃帝曰:「我與若知之, 彼與彼不知也, 其孰是邪?」
黃帝曰:「彼无爲謂眞是也, 狂屈似之. 我與汝終不近也. 夫知者不言, 言者不知, 故聖人行不言之敎.
(지북유어원수지상, 등은분지구이적조무위위언. 지위무위위왈:[여욕유문호약. 하상하려즉지도? 하처하복즉안도? 하종하도즉득도?] 삼문이무위위부답야, 비부답, 부지답야.
지부득문, 반어백수지남, 등호결지상, 이도광굴언. 지이지언야문호광굴. 광굴왈.[희! 여지지. 장어약, 중욕언이망기소욕언.]
지부득문, 반어제궁, 견황제이문언. 황제왈:[무사무려시지도. 무려무복시안도, 무종무도시득도.]
지문황제왈:[아여약지지, 피여피부지야, 기숙시야?]
황제왈:[피무위위진시야, 광굴사지. 아여여종불근야. 부지자불언, 언자부지, 고성인행불언지교.])
隱 숨을 은 1. 숨다 2. 점치다(占--) 3. 가엾어 하다 4.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5. 음흉하다(陰凶--) 6. 쌓다 7. 무게 있다 8. 기대다 9. 수수께끼 [부수]阝(좌부변)
弅 봉긋한 모양 분 1. 봉긋한 모양 2. 언덕이 조금 솟아 있는 모양 3. 봉긋하다 [부수]廾(스물입발)
遭 만날 조 1. (우연히)만나다 2. (나쁜 일을)당하다(當--) 3. 두르다 4. 둘레 5. 번(횟수를 세는 말) 6. 바퀴(둘레를 세는 말) [부수]辶(책받침)
狐 여우 호 1. 여우 2. 여우털옷 3. 부엉이(올빼밋과의 새) 4. 의심하다(疑心--) [부수]犭(개사슴록변)
闋 문 닫을 결 1. 문을 닫다 2. 끝나다 3. 쉬다, 휴식하다(休息--) 4. 다하다 5. 비다 [부수]門(문문)
睹 [dǔ] 볼 도 1. 보다(=覩) 2. 가리다, 분간하다(分揀--) 3. 분별하다(分別--) 4. 자세(仔細ㆍ子細)히 보다 5. 알다, 예견하다(豫見--) 6. 국명(國命) [부수]目(눈목)
狂 [kuáng] 미칠 광,개 달릴 곽 1. 미치다(말과 행동이 보통 사람과 다르게 되다) 2. 사납다, 기세(氣勢)가 세다 3. 경망하다(輕妄--), 경솔하다(輕率--) 4. 황급하다(遑急--), 허둥거리다 5. 거만하다(倨慢--) 6. 어리석다 7. 정처(定處)... [부수]犭(개사슴록변)
屈 [qū] 굽힐 굴,옷 이름 궐 1. 굽히다 2. 굽다, 구부러지다, 한쪽으로 휘다 3. 오그라들다, 움츠리다 4. 쇠하다(衰--), 쇠퇴하다(衰退ㆍ衰頹--) 5. 다하다 6. (길이가)짧다 7. 꺾다, 억누르다 8. 베다, 자르다 9. 강하다(強--), 굳세다... [부수]尸(주검시엄)
唉 물을 애,한탄할 희 1. 묻다 2. 대답하다(對答--) 3. 대답(對答)하는 소리 a. 한탄하다(恨歎ㆍ恨嘆--) (희) b. 한탄하여 지르는 소리 (희) [부수]口(입구)
宮 집 궁 1. 집, 가옥(家屋) 2. 대궐(大闕), 궁전(宮殿) 3. 종묘(宗廟: 역대 임금과 왕비의 위패를 모시던 왕실의 사당) 4. 사당(祠堂) 5. 절, 불사(佛寺) 6. 학교(學校) 7. 담, 장원(牆垣ㆍ墻垣) 8. 마음 9. 임금의... [부수]宀(갓머리)
慮 생각할 려,생각할 여,사실할 록,사실할 녹 1. 생각하다 2. 이리저리 헤아려 보다 3.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4. 걱정하다 5. 어지럽게 하다 6. 맺다, 연결하다 7. 꾀하다 8. 흩뜨리다(흩어지게 하다) 9. 생각 10. 계획(計劃ㆍ計畫)... [부수]心(마음심)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 外篇 22 知北游 3 (0) | 2016.09.28 |
---|---|
莊子 - 外篇 22 知北游 2 (0) | 2016.09.28 |
莊子 - 外篇 21 田子方 10 (0) | 2016.09.27 |
莊子 - 外篇 21 田子方 9 (0) | 2016.09.27 |
莊子 - 外篇 21 田子方 8 (0) | 2016.09.27 |